주식 차트분석의 종류와 유형, 원리
본 콘텐츠에서 가장 유입이 많은 검색어는 "주식 차트 보는 방법"(으)로 전체 트래픽의 100.0%를 차지합니다. "주식 차트 보는 방법"(은)는 하루 평균 174개의 콘텐츠가 등록되며 경쟁강도는 아주좋음입니다.
본 콘텐츠는 7월10일을 기준으로 검색어 별 콘텐츠 순위에서 2위를 기록중이며 이 기록은 상위 1.1%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주가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며 수요 공급의 결과가 가격과 거래량 형식으로 차트에 그려집니다 이 차트를 분석해 주가를 예측하는 것을 차트분석 혹은 기술적 분석이라고 합니다 차트분석의 종류와 분석지표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트분석은 분석방법에 따라 추세 분석 패턴 분석 장세 분석 목표치 계산의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추세 분석 추세 분석 은 주가의 움직임 속에서 추세선이나 추세대를 찾아보고 또 추세선이 언제 붕괴되는가를 관찰함으로써 주식의 매매시점을 포착하는 기법입니다 지지선과 저항선 의 설정 추세선의 신뢰도 추세선의 수정 추세선의 전환 등을 관찰해서 투자판단에 이용하는 기법입니다 패턴 분석 패턴 분석 은 추세선이 변화할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주가 변동 패턴을 정형화해 놓고 이를 분석해 향후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입니다 과거 주가 흐름을 통해 검증된 패턴을 현재의 주가 흐름에 대입해 주가의 등락을 예측하는 기법입니다 장세 분석 장세 분석 이란 주식시장에 나타나는 각종 신호들을 파악하고 그것을 시장언어 로 해석하여 장세를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증권시장의 흐름을 강세시장 과 약세시장 으로 나누고 이들 시장의 사이클을 알아내는 것이 그 목적입니다 목표치 계산 목표치 계산 은 여러 가지 차트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주가가 어느 선까지 상승하거나 하락할 것인가를 예측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신기술적 분석 지표가 등장하면서 차트의 종류를 아래와 같은 가지 지표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편화되었습니다 지표 유형별 특징과 지표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추세 지표 주가가 진행하는 방향 즉 주가 추세를 알아보는 지표입니다 주가 추세는 다음과 같은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상승추세 주가의 고점과 저점을 높이며 상승을 이어가는 형태입니다 하락추세 주가의 고점과 저점을 낮추며 하락을 이어가는 형태입니다 횡보추세 또는 비추세 주가가 일정한 추세를 갖지 못하고 등락하거나 횡보하며 진행하는 형태입니다 추세 지표를 이용하는 방법은 추세의 변화가 있을 때까지 추세에 따라 매매를 하는 것입니다 추세를 보는 지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추세선 추세 분석 매매방법 자세히 이동평균선 와 모멘텀 지표 와 모멘텀 지표 투자심리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주가 추세의 변곡점을 찾아보는 지표를 의미합니다 모멘텀 지표는 추세 진행을 확인시켜 주거나 추세의 변곡점을 알아보는 데 이용합니다 모멘텀 지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모멘텀 스토캐스틱 이격도 투자심리선 변동성 지표 주가의 변동성을 알아보는 지표입니다 주가의 변동성 또는 탄력성이란 주가가 추세를 따라 움직일 때 그 각도가 차트분석 방법 가파르고 상승할 때는 상승 각도가 가파르고 하락할 때는 하락 각도가 가파른 것을 말함 변동폭이 큰 것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짧은 기간에 주가의 등락폭이 큰 것을 의미합니다 테마 관련주나 저가 종목을 일반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이유는 바로 이 변동성과 탄력성 때문입니다 변동성 지표는 매매 타이밍을 잡는 데 유용하며 단기매매에 도 활용됩니다 변동성 지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주가에 시간 개념을 포함시켜 만든 분석지표 일정한 시간단위로 주가 변동을 예측하게 하는 지표로 추세 확인과 변곡점 확인에 이용합니다 일목균형표가 대표적입니다 시장강도 지표 시장강도 지표란 주가의 추세나 변동성이 얼마나 강한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로 거래량을 포함시켜 주가 분석을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시장강도를 알아보는 지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거래량 또는 거래대금 이동평균 시장동향 지표 증시에 자금이 들어오는지 나가는지를 파악하거나 투자주체별 동향을 분석하여 시장의 강약을 알아보는 지표입니다 고객예탁금 추이 주식형 펀드 잔고 추이 외국인 매매동향 기관 매매동향 이상은 각 지표가 가지는 가장 특징적인 요소로 구분한 것이기 때문에 지표에 따라 추세 지표이면서 모멘텀 지표인 것 스토캐스틱 일목균형표 등 도 있고 추세 지표이면서 시장강도 지표인것 등 도 있는 등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을 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차트분석가들은 무엇을 근거로 주가의 향방을 예측할까요 그 답은 주가 그래프의 가지 본질적인 속성에 있습니다 차트는 수급의 결과를 반영한다 주가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만 움직입니다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으면 주가가 올라가고 수요보다 공급이 많으면 주가가 하락합니다 그리고 수급의 결과는 모두 그래프로 나타납니다 주가는 관성의 원리에 따라 추세를 지속하려는 속성이 있다 주가는 추세를 형성하며 움직이고 추세는 수급에 변화가 있을 때까지 관성의 원리에 따라 추세를 지속하려는 속성이 있습니다 즉 상승하는 주가는 상승추세를 지속하려는 속성이 하락하는 주가는 하락추세를 이어가려는 속성이 있습니다 주가는 파동과 사이클을 반복하려는 속성이 있다 주가는 주가 나름의 파동과 사이클을 그리며 차트분석 방법 진행합니다 아울러 차트에 나타나는 주가 모형은 반복하려는 속성이 있습니다 주가에도 어느 정도 구심력이 있다 주가는 이동평균선으로 단기 이동평균선은 장기 이동평균선으로 회귀하려는 속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 이동평균선은 다수 투자자들이 평가한 기업의 가치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주가는 선행하는 경향이 있다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재료는 일반투자자들이 알기 전에 차트에 먼저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종합주가지수는 경기보다 약 개월 선행하는 경향이 있고 개별기업 주가의 경우 기대수익이 주가에 선반영되거나 대주주나 임직원 등에 의해 정보가 사전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차트분석 무작정 따라하기
주가 차트 분석,봉차트와 연결선
주가는 기본적으로 기업의 가치에 의해 결정되지만, 직접적으로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주가가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주식을 매수할 것이고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매도할 것입니다. 보통 매수세력이 강하면 주가가 올라가고, 매도세력이 강하면 주가는 떨어집니다. 매수세력이 강한 시장을 강세시장이라 하고, 매도세력이 강한 시장은 약세시장이라고 부릅니다.
매수자는 매수자대로 매도자는 매도자대로 이유를 갖고 주식을 사고 파는데요. 매수세력의 자금이 많고 강하면 주가는 상승할 것이고, 매도세력의 물량이 많고 강하면 주가는 하락할 것입니다.
대표적인 기술적 분석방법은 차트!
기술적 분석이란 주가나 거래량 등 주식시장에 나타난 과거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시세를 예측하는 것을 말합니다. 흔히 차트를 이용하면 분석을 통해 투자심리, 주가 동향, 매매시장 등을 예견합니다. 그렇다면 차트를 보고 주가를 어떻게 예견하는지 살펴볼게요.
차트 분석가들은 무엇을 근거로 주가 방향성과 변곡점을 찾아낼까요?
그 답은 주가 그래프가 가지는 세 가지 본질적 속성에 있습니다. 첫째, 그래프는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때까지는 진행방향을 계속 유지합니다. 이를 추세 계속성이라고 합니다. 두 번째, 도표상의 주가 모형은 반복하려는 속성이 있습니다. 이를 반복성이라 부릅니다. 세 번째는 주가에도 어느 정도 구심력이 있는데 이를 기업가치의 회귀성이라 합니다.
차트는 과학, 심리학, 그리고 예술이라고도 하는데요. 차트를 과학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게임이론, 확률론, 기하학 같은 수학적 개념을 도입하기 때문입니다. 군중 심리과 집단 심리에 따라 매수자는 탐욕에, 매도자는 공표에 빠지기 때문에 심리학이라고도 하는 것입니다. 또 분석가들은 차트의 움직임을 보며 감정의 강약이나 리듬을 느끼기도 하므로 예술이라고도 합니다. 인간은 패턴을 따르려는 본능이 있는데요. 대다수 차트 분석가들은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흐름이나 패턴을 발견하면 기계적으로 매매하려고 합니다.
봉차트란 무엇인가?
그래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봉(또는 캔들)차트를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봉차트는 시가(시작 가격), 고가(최고 가격), 저가(최저 가격), 종가(마감 가격)가 그려지며, 막대 모양으로 나타냅니다.
봉차트의 종류는 작성 기간에 따른 분류와 작성 방법에 따른 분류로 나뉩니다. 작성기간에 따라 일봉 차트, 주봉 차트, 월봉차트로 구분되며 일봉은 하루, 주봉은 일주일, 월봉은 한 달 동안의 주가 흐름을 나타냅니다. 일봉은 단기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활용하고, 주봉과 월봉은 중장기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이용합니다.
작성방법에 따라서는 미국식과 일본식 도표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일본식 도표를 사용합니다. 미국식은 저가, 고가, 종가만 표시하고, 일본식은 시가, 저가, 고가, 종가를 그리되 상승한 날은 붉은색으로 하락한 날은 청색(또는 흑색)으로 표시합니다.
주가가 아침 동시호가 때의 시가보다 상승하여 차트분석 방법 종가가 더 높게 끝나는 경우를 양봉이라 하고 붉은색으로 나타냅니다. 반면에 주가가 시가보다 하락하여 종가가 더 낮게 끝나는 경우는 음봉이라 하고 청색으로 나타냅니다.
봉차트와 연결선으로 주가를 예측하기
여러 개의 봉차트를 연결해서 보면 주가의 방향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연결 도표라고 하는데 차트분석 방법 봉차트와 연결 도표를 분석해 투자판단에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강한 양봉의 경우 는 아침 시가부터 시장이 종료할 때까지 강한 매입세력이 꾸준히 들어와 주가가 상승으로 끝났다는 뜻입니다. 몸통이 긴 상승선이 나타나면 주가가 상승국면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때는 매수세력이 강하므로 상승 관점에서 주가를 보는 것입니다.
아래꼬리가 달린 양봉은 일시적으로 장중에 주가기 시가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갔다는 의미입니다 . 바닥권에서 나타나면 속등할 가능성이 높고 상승 전환의 의미로 봅니다. 매수세력이 강하므로 상승의 관점에서 주가를 봅니다.
위꼬리가 달린 양봉은 전일보다 주가가 상승했지만, 고가에서 매도세력에 밀려 종가가 장 중고 가보다 낮은 가격에 끝났다는 의미입니다. 주가가 급격히 떨어지며 반락할 가능성도 있음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매물을 받았으니 상승 세력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이 균형 있게 맞서 있는 상태는 주가가 소폭 등락을 보이며 횡보하고 시세가 전환되기 전에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 관망하다가 다음에 나타나는 신호를 확인한 후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한 음봉의 경우, 매도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가가 계속해서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천정권에서 긴 하락이 나타날 경우에는 하락국면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도세력이 강하므로 하락의 관점에서 주가를 봅니다.
위꼬리가 달린 음봉의 경우, 매도세가 강하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위꼬리를 볼 때 일시 상승 시도가 실패한 모양입니다. 이 형태는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될 때 자주 나타납니다. 천정권에서 매도 관점에서 보고 매수는 다음 봉 확인 이후로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꼬리가 달인 음봉 은 하락세를 나타내지만 아래꼬리가 달려있어 바닥권에서 매수가 들어와 반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 신호를 확인하여 매수시기를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선만 있는 경우는 강력한 평형 국면입니다. 거래량이 적고 침체국면에서 잘 나타냅니다.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후에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매매합니다.
[참고 1] 봉차트를 볼 때 참고할 사항
- 첫 번째는 시가와 종가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종가가 시가보다 올라가면 매수세력이 강하고, 종가가 시가 이하이면 매도세가 강합니다. 초보자들은 아침 시가에 매수하고 프로들은 장중 힘의 균형을 확인한 후 종가 부분에서 매도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두 번째는 오늘의 시세가 신고가 또는 신저가인지 확인해 보길 바랍니다 . 신고가는 강한 매수세력이 형성되었다는 반증으로 추가 상승을 예고하고, 신저가는 강한 매도세력으로 인해 매수세력이 붕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추가 하락이 예상됩니다.
- 세 번째는 거래량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거래량을 수반하는 상승 또는 하락이어야 주도 세력의 힘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연결봉으로 매매전략 살펴보자.
개별 봉들을 연결하면 주가의 방향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래프를 보고 주가가 올라갈 것인지 떨어질 것인지 감각적으로 느껴보세요.
주가가 연속 하락하다가 멈추고 바닥권에서 큰 양봉이 나타나면 주가는 상승반전을 예고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매수 관점에서 보되 다음날 소폭 상승 조정 시 보합선 매수에 적극 가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권에서 긴 꼬리가 달린 망치형 봉이 출현할 때, 즉 하락 추세에서 몸통에 비해 3-4배 이상 긴 꼬리가 달린 망치형 양봉 (또는 망치형 음봉)이 출현하고, 전일 종가보다 높게 가격이 형성될 때는 하락에 대항하여 강력한 반발매수 세력이 들어온 것이므로 상승반전을 예고합니다. 상승 반전될 가능성이 많으므로 매도는 보류하고 매수 관점에서 봅니다.
바닥권에서 큰 음봉이 출현할 때는 하락하던 주가가 멈추는 듯하더니 추가로 폭락하는 경우입니다. 주식을 보유한 사람들이 투가 하락이 겁나서 투매하는 경우에 이런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때 거래량이 늘어나면 일정기간 후에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단 매도해놓고 추세를 관망하는 것이 좋습니다.
천정권에서 큰 음봉이 출현할 때는 상승하던 주가가 천정권에서 크게 하락한 경우입니다. 이익을 실현하려는 매물이 쏟아져 나왔거나 악재가 나온 경우에 나타납니다. 추가 하락이 예상되는 신호로 하락 또는 횡보 추세에서 나타난 것이라면 매도의 관점으로 보고, 상승추세 중에 일시 하락(조정)이 있을 때는 이후 상승하므로 매수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천정권에서 큰 양봉이 나타날 때는 상승하던 주가가 천정권에서 큰 폭으로 추가 상승하는 경우입니다 . 투자자들이 주가가 조정될 때를 기다리다가 기회가 오지 않자 흥분해서 매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수 관점에서 보되 추격매수는 자제하기 바랍니다.
상승 중에 상승갭이 발생했을 때, 상승하던 주가가 가격의 갭을 만들며 상승한 경우로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매수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호재가 나와 투자자들이 흥분하여 매수한 흔적입니다. 추가 상승이 예상되면로 매도를 늦추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2] 갭이란 무엇인가?
- 갭(GAP)이란 인접한 두 개의 봉에서 한 봉의 지점이 다른 봉의 고점보다 높은 모양을 말합니다. 갭은 매도주문이 갑자기 불균형을 이루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상승갭은 매수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돌발 호재 출현 시에, 하락갭은 매도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돌발 악재 출현 시에 주로 발생합니다. 매매세력을 세울 때는 상승갭이 발생하면 추가 상승의 관점에서 보고, 하락갭이 발생하면 추가 하락의 관점에서 봅니다. 그러나 상승갭이 발생한 후 신고점을 갱신하지 못하면 매도하고, 하락갭이 발생한 후 신저점을 경신하지 못하면 매수로 이용합니다.
하락 중에 하락갭이 발생했을 때는 주가가 갭을 만들며 하락하는 경우이므로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매도 관점에서 보되 매수는 준비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천정권에서 장대 같은 윗 꼬리가 나타날 때는 주가가 오른 상태에서 몸통보다 3-4배나 긴 꼬리가 달린 역망치형 봉이 나타난 경우입니다. 지나친 상승 때문에 매물을 받은 경우로 하락할 가능성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매도하거나 매도 준비를 하는 차트분석 방법 차트분석 방법 것이 유리합니다.
두 손 모아 기도하는 모습의 차트는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이 번갈아가며 힘을 겨루는 모습입니다. 조만간 주가의 변화가 예상됩니다. 천정권에서는 매도신호, 바닥권에선 매수 신호로 보이는 경우입니다.
[참고 3] 적삼병과 흑삼병
- 적삼병이란 주가가 3일 동안 연속 상승한 경우를 말합니다. 주가가 상승한 것은 기업에 좋은 재료가 있거나 매수세력이 매우 강한 경우입니다. 주가가 상승으로 전환돼 거 난 상승세가 지속됨을 의미합니다. 보통 주가가 3일 연속 상승 후 반락하게 되는데, 이를 적삼병 후 흑일병이라고 하며 매수 기회로 여깁니다. 특히 주가가 바닥권일 대 적삼병이 나타나면 강력한 매수 신호로 봅니다. 그러나 거래가 판명되지 않은 경우는 속임수로 판단됩니다.
- 흑삼병이란 3일 연속 주가 하락한 경우입니다. 매도세가 강한 것으로 주가가 하락 전환하거나 하락 지속됨을 의미합니다. 보통 주가가 3일 연속 하락한 후 하루 반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흑삼병 후 적일병이라고 하며 매도기회로 이용합니다. 특히 주가가 천정권일 때 흑삼병이 나타나면 강력한 매도신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봉차트와 연결선을 활용한 주가 분석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차트를 계속 보면서 공부를 해나가나 보면 그 흐름을 파악하는 눈이 생기실 겁니다. 기본적인 차트분석으로 주식종목 선택과 매매시점을 잘 선택하여 성공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추세선과 이동평균선 매매시점 파악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추세선과 이동평균선 차트분석은 종목선정과 매매시점 파악하는데 기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입니다. 차트분석에는 봉(캔들)차트와 연결선, 추세선과 이동평
차트분석 방법
데이터 시각화 차트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인터랙티브 기능 3가지 알아보기
Interactivity, 지금 눈에 보이는 것 그 이상을 경험하게 하라!
일반적인 보고서에 포함된 시각화 차트를 생각해볼까요? 이미지 형태의 시각화 차트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정보는 명확하고 간단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미지 그 자체로 알 수 있는 데이터의 의미, 그 이상을 알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갖습니다. 반면, 인터랙티브 데이터 시각화 차트는 사람들이 차트 영역 위에 마우스를 오버하거나, 특정 항목을 클릭하는 등의 사용자 액션에 따라 차트의 시각적 패턴을 달리 표현합니다. 각기 다른 패턴을 보이는 시각화 차트를 통해 사람들은 자신만의 데이터 인사이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인터랙티브 데이터 시각화 차트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고도의 기술이 없는 사람들도 자유롭게 데이터를 탐색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데이터 시각화에서 인터랙티브가 적용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 필터링(Filtering), 하이라이팅(Highlighting), 어노테이팅(Annotating) -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를 사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보고 싶은 데이터만 골라보는 방법, 필터링(Filtering)
시각화 차트에서 데이터 필터링은 사용자가 어떤 방법을 통해 특정한 기준을 선택하면, 해당 기준의 데이터만 차트에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떤 방법’이란 시각화 차트에서 사용자가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차트 영역 밖에 데이터 항목을 골라서 선택할 수 있는 콤보 박스, 체크 박스 등을 따로 두고 선택하도록 합니다. 사용자는 여기에서 보고 싶은 데이터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항목의 데이터만 시각화해서 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차트 영역 내에 특정 항목 요소를 클릭하거나, 해당 요소에 마우스를 오버할 경우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시각화 결과물로 보여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별도의 차트를 그리지 않고 하나의 차트 안에서 다양한 기준에 따른 시각화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사례 1 U.S. Gun Killings in 2010, 2013 (출처 : PERISCOPIC)
사례 1은 미국에서 발생한 총기로 인한 사망 사건 데이터를 시각화한 콘텐츠입니다. 이 콘텐츠에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방법은 차트 영역 밖에 위치한 체크 박스에서 데이터 필터링 기준을 클릭하여 선택하는 것입니다. ‘성별’, ‘연령별’, ‘지역별’, ‘총기 종류’ 등의 조건의 세부 조건을 선택해 한 개 이상의 데이터 필터 기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특정 항목의 체크 박스를 클릭해 데이터 필터 조건을 선택하면, 해당 항목 기준으로 시각화 차트에 표현할 데이터가 달라집니다. 데이터가 달라졌으므로 차트에 표현된 시각적 패턴도 달라집니다. 우리는 각기 다른 시각적 패턴을 근거로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인터랙티브 데이터 시각화 차트를 활용하면, 고도의 데이터 분석 기술이 없더라도 간단한 클릭만으로 데이터 분석의 세부 조건을 선택하고, 바꾸어 나가면서 다양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탐색적 데이터 분석을 위해 시각화 차트를 활용하는 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사례 2 NFL players : height & weight over time (출처 : Noah Veltman)
사례 2는 미국 프로 미식축구 선수의 몸무게와 키 데이터를 시각화한 차트입니다. 이 차트에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기준은 ‘연도’ 입니다. 따라서 연도별 데이터 시각화 차트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특히 이 차트의 경우 연도별로 서로 다른 시각적 패턴을 보이는 개별 차트를 연속적으로 보여줍니다. 하단의 플레이 버튼을 클릭해 사용자가 차트의 화면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요! 이를 두고 시각화 차트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따로 또 같이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방법, 하이라이팅(Highlighting)
하이라이팅은 시각화 차트분석 방법 차트 영역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강조되게 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차트 중 선택된 영역을 제외하고 남은 시각화 요소의 컬러를 흐리게 하여 특정 영역이 강조되도록 합니다. 사용자가 차트 영역 중 일부 영역에 마우스를 오버하거나, 클릭하는 액션에 따라 하이라이팅 기능이 적용됩니다. 필터링의 경우 시각화 차트의 패턴 자체가 변화하지만, 하이라이팅은 시각화 차트의 본래 모습은 유지되면서 독자가 인터랙션을 한 부분만 강조되는 것이 차이입니다.
사례 3 Noble Laureates (출처 : Reuters Graphics)
사례 3는 노벨 수상자의 분포를 국가별, 분야별로 시각화한 콘텐츠로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라 차트 내 항목 요소의 색을 차트분석 방법 다르게 표현하는 하이라이팅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트 위 상단에 위치한 체크 박스에서 사용자가 특정 조건을 선택하면, 차트 영역에서는 조건에 해당하는 항목을 제외하고 나머지 원(circle)의 명도가 낮아지면서 연하게 표현됩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조건의 데이터만 시각적으로 강조된 상태로 한눈에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례 3가 하나의 차트 안에서 하이라이팅 기능을 활용한 사례라면 사례 4, 5은 2개의 차트가 연동된 시각화 콘텐츠에서 하이라이팅 기능을 적용한 사례입니다. 먼저 사례 5를 살펴볼까요?
사례 4 How could the ag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vary? (출처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사례 4는 영국 내 두 지역의 인구 분포를 시각화한 피라미드 차트입니다. 피라미드 차트 영역에서 특정 연령을 의미하는 행에 마우스를 오버하면 두 개의 피라미드 차트 위에 불투명한 회색 선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회색 선 하나로 두 지역의 차트분석 방법 데이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오버뿐만 아니라 드래그 앤 드롭으로 연령 범위를 선택해 하이라이팅 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이 차트의 경우 하이라이팅 기능도 인상적이지만, 앞서 살펴본 데이터 필터링 기능이 함께 적용된 부분도 인상적입니다. 차트 최상단의 드롭박스를 클릭하면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 지역 기준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차트 영역에서 마우스 오버를 하거나 드래그 앤 드롭으로 하이라이팅 기능을 적용하면 그 위의 막대 차트의 데이터가 필터링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인터랙티브 데이터 시각화 차트는 데이터 필터링과 하이라이팅 기능을 종합적으로 제공해 사용자가 자유롭게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사례 5 Workers’ Compensation Reforms by State (출처 : Propublica)
이어서 사례 5을 살펴봅시다! 미국 주별 근로자 보상 개혁 현황을 시각화한 인터랙티브 시각화 콘텐츠입니다. 콘텐츠 내 모든 시각화 차트 – 연도별 지도 시각화, 히트맵 차트 -가 미국 주(지역)를 기준으로 연동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 정보를 기준으로 한 번 인터랙션 할 경우 모든 차트에 동시에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에서 데이터를 하이라이팅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콘텐츠 최상단의 탭을 클릭하는 것입니다. 근로자 보상 개혁 수준을 선택할 수 있는데, 특정한 탭을 선택하면 같은 수준에 해당하는 지역만 하이라이팅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 ‘see them all’ 버튼을 클릭해 하이라이팅 효과를 해제할 수도 있습니다.
두번째는 차트 영역에서 특정 지역을 의미하는 시각화 요소 위에 마우스 오버를 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연동된 모든 차트의 해당 항목 데이터를 표현한 시각화 요소의 겉에 검은색 테두리 선이 나타나면서 데이터가 하이라이팅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는 특정 주의 데이터가 각 차트에서 어디에 있는지 일일이 찾아보지 않아도, 시각적으로 강조되는 부분을 통해 한 번에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시각화에 글자를 더하는 방법, 어노테이팅(Annotating)
어노테이팅은 시각화 차트 영역 내 글자를 표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각화 차트를 보고 발견할 수 있는 데이터 인사이트를 직접 차트 영역 내 표기하여 빠르게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차트 영역 내 글자를 표기하는 방법 외에도 사용자가 차트 영역 내 특정 요소 위에 마우스를 오버하거나 클릭했을 때 나타나도록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사례 6 History through the president’s words (출처 : The Washington Post)
사례 6의 경우 차트의 시각화 요소(버블)에 마우스를 오버하면 글자가 포함된 툴팁이 나타나도록 하여 시각화 차트를 보는 사람이 부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각 요소가 표현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이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알 수 있는지 쉽게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데이터 시각화 차트에서 적용되는 대표적인 인터랙티브 기능 3가지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데이터 필터링은 분석 대상의 데이터 조회 기준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고도의 데이터 분석 기술 없이도 다양한 조건으로 데이터를 탐색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하이라이팅은 데이터 시각화 차트 중 특정 부분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것으로 전체 데이터의 패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관심 있는 데이터 항목을 빠르게 찾아서 볼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 여러 차트가 연동된 시각화 콘텐츠에서의 하이라이팅 기능은 여러 데이터 정보를 한 번에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장점입니다.
마지막으로 살펴본 어노테이팅은 데이터 시각화 차트에 데이터 해석에 도움이 되는 글자를 표기한 것으로 사용자가 데이터의 의미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인터랙티브 데이터 시각화, 여러분은 어떤 생각이 드셨나요? 흔히 인포그래픽과 데이터 시각화의 차이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은 ‘인터랙티브’에 있습니다. 인포그래픽과 달리 데이터 시각화는 인터랙티브 기능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데이터를 쉽게 탐색하고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보는 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에서 인터랙티브 기능이 강조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누구나 데이터를 활용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시각화에 많은 분이 공감하셨길 바라며, 이번 글을 마무리합니다:)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은 사실의 공표
저희 주식회사 카카오는 인터넷 사이트 (www.melon.com) 및 스마트 기기 전용 사이버몰인 ‘멜론(Melon)’ 앱을 운영하면서 아래와 같은 행위를 함으로써‘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였다는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았습니다.
1. 정기결제 상품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2016. 9. 22. 부터 2016. 12. 31. 까지 차트분석 방법 4차례에 걸쳐‘가격인상 동의’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가격인상에 미리 동의해야 할인 혜택 연장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고 가격인상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할인 혜택 연장을 받을 수 없는 것처럼 광고하고 실제로는 가격인상에 동의하지 않는 이용자들에게도 할인혜택을 지속적으로 제공함
2. 2016. 9. 30. 부터 2017. 8. 31. 까지‘일시정지 해제’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정기결제 상품이용자 중 이용량이 많다는 이유로 이용자의 이용권을 일시정지 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음원 이용이 일시정지 된 구체적인 사유를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았고, 인상된 가격을 기준으로 할인혜택이 적용된다는 사실과 할인혜택이 종료된 이후에는 인상된 가격이 적용된다는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음
주식회사 카카오
대표이사 여민수, 조수용
(주)카카오엔터테인먼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21 대표이사 : 이진수, 김성수 사업자등록번호 : 220-88-02594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성남분당B-0004 사업자정보확인
문의전화 : 1566-7727 (평일 09:00-18:00, 유료) 이메일 : [email protected] 호스팅서비스사업자 : (주)카카오엔터테인먼트 © Kakao Entertainment Corp.
차트의 기술: 기술적 분석의 10가지 법칙; 10 Technical Analysis Laws
StockCharts com의 수석 기술적 분석가인 존 머피(John Murphy)는 기술적 트레이딩에 대한 10가지 법칙을 개발하기 위해 이 분야에서 30년을 보냈다: 초심자를 위한 테크니컬 트레이딩의 전체적인 개념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고, 좀 더 경험자를 위해서는 거래 방법론을 능률적으로 하기 위해 고안된 법칙들이다 이 일반 법칙들은 기술적 분석의 주요 도구들을 정의하고 매수와 매도 기회를 확인하기 위해 이들을 사용하는 법을 안내한다
Visual Investor에서는, 존은 기술적 분석에서 필수적인 시각적 요소를 증명했다 기술적 분석에 대한 존의 접근법의 근본은 시장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위 또는 아래)를 결정하는 게 그 방향에 내포된 이유보다 더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다음은 기술적 트레이딩에 대한 존의 10가지 중요한 법칙들이다:
1. 추세 분석
장기 추세를 연구하라 여러 해에 걸쳐 펼쳐진 월간 또는 주간 차트로 차트 분석을 시작한다 큰 스케일의 시장 차트는 더 많은 시계(visibility)와 시장에 대한 더 나은 장기 전망을 제공한다 일단 장기적 관점이 설정이 되면, 일간이나 일중 차트를 분석한다 단기적인 시장 관점만으로는 종종 판단을 그르칠 수 있다 당신이 초단타 트레이딩만 하는 경우에도, 중기와 장기 추세와 같은 방향에서 거래하는 것이 좋다
2. 추세를 발견하고 함께 간다
추세를 결정하고 그것을 따른다 시장 추세는 많은 사이즈가 있다 - 장기, 중기 그리고 단기, 우선 어떤 기간으로 트레이딩 할지를 결정하고 알맞은 차트를 사용한다 그 추세의 방향대로 거래하는지 확인한다 추세가 상승이라면 저점 매수하고, 추세가 하락이면 고점 매도한다 만약 중기 추세를 거래한다면, 일간 또는 주간 차트를 사용한다 만약 데이 트레이딩이라면, 일간 또는 일중 차트들을 사용한다 그러나 각각의 경우에, 더 긴 기간의 차트로 추세를 결정한 다음, 진입 타이밍을 위해서는 더 짧은 기간 차트를 사용한다
3. 저점과 고점 찾기
지지와 저항선을 찾는다 시가(market)를 매수하기 가장 좋은 곳은 지지선 근처이다 그 지지는 보통 이전 저점(reaction low)이다 시가를 매도하기 가장 좋은 곳은 저항선 근처이다 저항은 보통 이전 고점이다 저항선이 깨진 후에는, 그 지점은 보통 이어지는 되돌림에 대해서 지지를 제공한다 즉, 이전 “고점”은 새로운 저점이 된다 같은 방식으로, 지지선이 깨지면, 이어지는 랠리에서 매도를 만든다 이전 “저점”은 새로운 “고점”이 될 수 있다
4. 얼마나 많이 되돌리는지를 알기
되돌림 비율(%)을 측정하라 상승 조정장이든 하락 조정장이든 보통 이전 추세를 상당 부분 되돌린다 간단히 퍼센트로 현재의 추세 조정을 측정할 수 있다 이전 추세의 50% 되돌림이 가장 일반적이며, 최소한의 되돌림은 보통 이전 추세의 1/3이다 최대 되돌림은 보통 2/3이다 피보나치 되돌림 38%와 62%도 봐둘 가치가 있다 상승추세에서 되돌리는 동안, 매수 포인트 진입은 33-38% 되돌림 영역 내에 있다
Stella Lumen
5. 선 긋기
추세선을 그려라 추세선은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차팅 툴 가운데 하나이다 필요한 것은 차트상에 직선과 두 점이다 상승 추세선은 두 개의 연속하는 저점을 따라서 그린다 하락 추세선은 연속하는 두 개의 고점을 따라 그린다 가격은 종종 추세를 재개하기 전에 추세선까지 되돌린다 추세선의 돌파는 보통 추세 변화의 신호이다 유효한 추세선은 적어도 세 번은 터치되어야 한다 추세선이 길수록 효력이 있고, 더 많이 추세선을 테스트할수록, 추세선은 더욱 중요해진다
6. 평균 따라잡기
이동평균(moving averages)을 따르라 이동평균은 객관적인 매수 매도 신호를 제공한다 그들은 현재 추세가 여전히 유효한지를 말해주고 추세 변화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이동 평균은 추세 변화가 일어날지에 대해 미리 알려주지는 않는다 두 개의 이동평균을 조합한 차트가 추세 신호를 찾는 데 가장 많이 알려진 방법이다 몇 가지 인기 있는 조합은 4 - 9일, 9-18일, 5-20일 이동평균이다 신호는 단기 평균선이 장기 평균선을 교차할 때 발생한다 가격이 40일 이동 평균선을 상, 하로 교차해도 좋은 거래 신호를 제공한다 이동 평균 차트 선들은 추세-추종 지표들이기 때문에, 그들은 추세가 형성된 시장에서 효과가 좋다
7. 턴(Turns)을 익혀라
오실레이터(oscillator)를 따라가라 오실레이터는 시장이 과매수 또는 과매도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동평균선이 시장 추세 변화를 확인시켜주는 반면에, 오실레이터는 종종 시장 랠리나 하락이 너무 과도해서 곧 반전할 것을 미리 경고해준다 가장 유명한 것 가운데 두 개는 상대강도지수(RSI)와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이다 둘 다 0에서 100 사이의 범위에서 작동한다 RSI는, 70 이상 수치는 과매수이고, 30 이하 수치는 과매도이다 스토캐스틱의 경우, 과매수와 과매도 값은 80과 20이다 대부분의 트레이더는 스토캐스틱으로 14일 또는 몇 주를, RSI로 9일, 14일 또는 몇 주를 사용한다 오실레이터 다이버전스(divergence)는 종종 시장의 반전을 경고한다 이런 툴들은 시장의 트레이딩 레인지(Box 패턴)에서 잘 작동한다 주간 신호는 일간 신호에 대한 필터로 사용될 수 있고, 일간 신호는 일중 차트들을 위한 필터로 사용될 수 있다
8. 경고 신호 이해하기
MACD 지표로 거래하라 이동 평균 수렴 확산(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지표는 이동평균 교차 시스템과 오실레이터의 과매수/과매도 요소를 결합했다 매수 신호는 빠른 선이 느린 선을 상향 돌파하고 두 선이 0(중심선) 아래에 있을 때 발생한다 매도 신호는 0 선 위에서 빠른 선이 차트분석 방법 느린 선을 하향 돌파할 때 발생한다 주간 신호는 일간 신호에 우선한다 하나의 MACD 히스토그램(막대)은 두 선의 차이를 표시하고 추세 변화를 초기에 경고한다 수직의 막대들이 차트 상의 두 선의 차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histogram”으로 부른다
9. 추세 또는 추세가 아님
ADX 지표를 사용하라 추세 강도 지표(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선은 시장이 추세에 있는지 또는 비추세 국면(trading phase)인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것은 시장에서 추세나 방향의 정도를 측정한다 상승하는 ADX 선은 강한 추세의 존재를 암시하고, 하락하는 ADX 선은 비추세(trading market)를 암시한다 상승 ADX 선은 이동 평균에 유리하고, 하락 ADX는 오실레이터에 유리하다 ADX 선의 방향을 예측해봄으로써, 트레이더는 현재 시장 환경에서 트레이딩 스타일과 어떤 지표들의 설정이 가장 적합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10. 확인 신호 이해하기
볼륨을 간과하지 마라 거래량은 아주 중요한 확인 지표이다 볼륨은 가격에 우선한다 강한 볼륨이 지배적인 추세 방향에서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상승 추세에서, 강한 볼륨이 상승하는 날들(up days)에서 나타나야 한다 상승 중인 볼륨은 신규 자금이 지배적인 추세를 지지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하락하는 볼륨은 종종 추세가 거의 완료되었다는 경고이다 견고한 가격의 상승추세는 언제나 볼륨 상승을 동반해야 한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