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바(Gold Bar)는 환금성이 뛰어나고 교환성과 내구성 희소성을 갖춘 순도 99.9%의 금 거래 계좌 대체 투자재 입니다.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에서 통용되는 LS-Nikko동제련(주)의 골드바를 하나은행에서 구입하세요.
골드바실물이미지
가로:15mm, 세로:25mm, 두께:1.5mm
종류 | 10g 골드바 |
---|---|
제조사 | LS-Nikko 동제련(주) |
가로길이 | 15mm |
세로길이 | 25mm |
두께 | 1.5mm |
질량 | 10g |
순도 | 99.99% |
가로:25mm, 세로:45mm, 두께:5.0mm
종류 | 100g 골드바 |
---|---|
제조사 | LS-Nikko 동제련(주) |
가로길이 | 25mm |
세로길이 | 45mm |
두께 | 5.0mm |
질량 | 100g |
순도 | 99.99% |
가로:50mm, 세로:110mm, 두께:9.0mm
종류 | 1Kg 골드바 |
---|---|
제조사 | LS-Nikko 동제련(주) |
가로길이 | 50mm |
세로길이 | 110mm |
두께 | 9.0mm |
질량 | 1Kg |
순도 | 99.99% |
* LS-Nikko동제련은 런던 금시장 협회(LBMA)의 Good Delivery List에 등록된 국내 유일의 제조사이며, 하나은행의 골드바는 LS-Nikko동제련에서 제작하고 ㈜한국금거래소쓰리엠에서 순도를 보증합니다.
순도 99.99%와 질량을 보증하는 골드바 모양의 금실물을 고객이 은행을 통해 매입하고, 은행에 재매도 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런던금시장협회(LBMA)의 ‘Good Delivery List’에 등록된 국내유일의 제조업체인 LS-Nikko동제련㈜ 골드바만을 판매하므로 전세계 어디서나 통용되는 뛰어난 환금성이 있습니다.
고객 매입 시 (국제시세 대비) | 고객 매도 시 | |
---|---|---|
10g | 107% | 고객 매도 시 국제시세의 95% |
100g | 105% | |
1Kg | 104.9% | |
Large bar(±12.5kg) | 104.8% |
※ 부가가치세 : 고객 매입 시 판매대금의 10% 부가가치세 부과 (고객 매도 시에는 부과하지 않음)
Large Gold Bar 상품안내
- Large Gold Bar는 국내 유일의 LBMA 등록 브랜드인 LS-Nikko동제련㈜에서 제조한 Gold Bar 이며 London Good Delivery(LGD) Gold Bar 로도 표현합니다.
- Large Gold Bar 는 런던금거래소 협회(LBMA)금고 보관 사이즈인 국제 표준규격을 적용합니다.
- LGD Gold Bar는 국제적으로 어디에서나 통용됩니다.
- 중량범위는 350 Fine troy ounce~430 Fine troy ounce로 대개 12kg전후입니다.
구입프로세스
- 골드바 매입신청(D일)
- 골드바 수령(D+4영업일) 거래영업점 방문 수령
- 골드바 매도신청(D일)
- 품질확인(D+2영업일)품질보증업체 검수
- 대금지급(D+4영업일)고객지정계좌로 입금
투자해야 하는 이유
안전자산 : 불안정한 정치경제상황 시 안전자산 역할 인플레 헤지 : 통화가치의 하락 시 귀금속의 가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띠어 물가상승 위험을 회피 포트폴리오 분산 : 주식, 채권 같은 금융자산은 물론 부동산 등 다른 실물자산의 대체투자상품
금 거래 계좌
KRX 금현물 거래 계좌를 만든 이후로 눈팅만 하다가, 이번주에는 결국 금을 직접 사보았다!
오늘은 금현물을 거래하는 방법과 직접 거래한 후기를 남겨본다.
금현물이 무엇인지, 또는 금현물 거래계좌 개설 방법이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면 된다.
이전 포스트에도 나와있지만, 금현물 거래 계좌는 증권회사마다 신규 계좌 개설 방법이 대면/비대면 등 다양하다.
삼성증권은 비대면 개설이 가능하여 나는 삼성증권을 이용하게 되었다.
금현물현재가
먼저, 금현물 현재가를 알아보자. 아래 순서대로 찾아가보면 현재의 금현물 추이를 볼 수 있다.
삼성증권 MTS > 트레이딩 > 국내주식 > 금현물현재가
금현물 거래 기본단위와 종목 차이
금현물 거래에 앞서 리마인드 차원에서, 금현물 거래 기본단위와 금현물 종목 차이를 공부해보자.
먼저 금현물 거래 기본단위는 1g이다.
주식 거래에서 주문 수량을 1주,2주 주문하는 것처럼 금현물은 금 거래 계좌 주문 수량을 1g,2g.. 처럼 주문 한다.
이렇게 1g, 2g 모든 금들을 나중에 실물로 인출할 수 있는데 인출 최소 무게에 따라 금현물 종목이 2가지로 나뉜다.
금현물 종목에는 금 99.99K 와 미니금 100g 이 있고, 각각 인출 최소 무게가 1000g(1kg)과 100g 이다.
금 99.99K 에 투자할 경우, 최소 1000g 을 모아야 실물로 가질 수 있고 미니금 100g 은 최소 100g 이 모여야 가질 수 있다.
나는 실물로 인출할 계획이 아직 없어서 거래 당시 조금더 저렴한 금 99.99K 을 사보았다.
(1000g 까지 어떻게 모아. 금 인출은 꿈도 못꿀듯..ㅎㅎ)
금현물 주문
금현물 현재가를 알아보았다면 이제 직접 금을 금 거래 계좌 사보자. MTS에서 금거래를 하려면 매수/매도 주문을 해야한다.
아래 메뉴 순서대로 따라하면 금현물주문창을 볼 수 있다. 혹은 위에서 살펴본 금현물현재가 화면에서 우측 상단 매수 버튼을 눌러도 된다.
트레이딩 > 국내주식 > 금현물주문
금현물주문창에 접속하게 되면, 아래처럼 화면이 나온다.
먼저 매수하고자 하는 종목명이 맞는지 확인하고, (나는 금 99.99K를 사볼 예정이다) 계좌 비밀번호를 입력 후, 매수하고자 하는 금의 수량과 단가를 입력한다.금 거래 계좌
금 거래 계좌
금현물 계좌 만들어서 매수까지- KB증권, 모바일앱
- Post author: yoon
- Post published: 2021년 09월 15일
- Post category: daily
- Post comments: 0 Comments
금현물 계좌를 왜 트게 되었나.
계기는 간단하다. 올해 여름 휴가때 친구랑 이런저런 이야기 하면서 노는 언니 밀린 걸 금 거래 계좌 봤다. 연말 시상이었나 달력 판매왕 상과 함께 한돈짜리 금돼지를 부상으로 지급하더라. 그걸 보고 금갖고 싶어서 금현물 계좌를 호다다닥 트게 되었다. 애초에 이런저런 경제뉴스 보면서 금사봐야지 했던 것에 금돼지가 도화선을 지폈다. ㅋㅋ 진짜 금돼지 너무 웃기다. 사람은 별 거 아닌거에 의외로 엄청난 행동력을 갖게 된다.. 진짜 별거 없음..
아 별거 없는 와중에 금 이야기하니까. 아는 어른분이 20년 전에 한돈에 6만원이었어~(1돈=3.75g)라고 하셨다. 그러시면서 금은 일단 갖고 있으라고 하셨다. 지금은 1g에 6만원 중반대 왔다갔다 하고있다.(2021 여름기준)
몇배가 뛴거야.
아 참고로 한국 금값이나 시세가 궁금하다면 검색창에 금시세 검색하면 잘 나온다. 아님 증권사 어플로도 확인 가능. 내가 만드려는 건 KRX금시장에서 금현물 거래하는 방법이다. 이외로 해외 금ETF, 국내 금ETF 투자가 있다. 왕초보 직장인 눈에 KRX금시장 거래가 제일 쉬워보여서 만들었다.
금거래 계좌 만들기 전에 알아둬야 할 것
경제의 ‘경’자도 잘 모르는 20대 사회인이 금을 사고 싶다?! 이러면 일단 증권사에 내계좌를 만들어야 한다 . 일단 국내에서 유명한 증권사인 KB증권 당첨. 예전에 뭣도 모르고 딴사람이 만들어준 CMA 계좌가 있었다 ㅋㅋ. 일단 KB증권은 계좌 만드려면 지점에 직접 가야 한단다. (핸드폰 모바일 앱이나 전화로 만들 수 있는 증권사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 귀한 점심시간을 바꿔서 직장에서 가장 가까운 KB증권 가산점을 방문했다. 그리고 반드시 신분증 지참 해야한다.
12시 땡쳐서 회사에 12시 58분에 복귀했다. 물론 밥은 못먹었지만 그래도 뭔가를 해서 뿌듯하다.. (코쓱)
KB증권 영업소 방문 및 계좌 개설
KB증권 가산점은 1층에 KB국민은행이 있고 3층에 영업소가 위치해 있다. 헷갈리지 마시고 바로 위로 올라가시면 된다. (헷갈려서 QR체크 1층에서 한번 더 한 사람이 바로 나다.) 처음 증권사 가는 거라 기대반 설렘반! 은 그냥 은행지점이랑 내용만 다르지 생긴건 똑같다. 들어가서 안내대로 대기표 뽑고 기다리다가 내차례되면 가서 앉는다. + 참고로 금현물은 계좌 틀 때 별도의 서류나 개설비용이 들지 않는다 .
앉으면 담당자님께 신분증 제출하면서 금현물 계좌 만들러 왔다고 이야기하면 된다. 그러면 만드는 와중에 실물로 거래할건지 등 여러 여부를 물어보신다. 만든지 두어달이 되어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질문 들어보시고 해당사항 있으면 꼭 요청하시길. 그러면서 우측에 비치된 패널에 전자 계약서가 주르륵 뜬다. 전자 서류에 사인하고 비밀번호 설정하고 그러면 금방 끝난다.
끝나면 KB able 카드를 하나 주신다. 금 거래할때도 쓰고, 기타 이런저런 업무 볼 때 쓸 수 있다고 하셨다. 종합카드인데 연결된 모든 계좌 업무에서 사양 가능하다고 한다. 타인에게 양도, 대여는 금물! (사실 금 거래 계좌 증권사 카드는 거의 쓸 일이 없다. 그래서 아마 카드 보관함에 직행할 삘인데. 개인적으로 증권사 카드를 일반 체크카드 처럼 써본 적이 없어서 더 그런 것 같다. 안녕 종합카드야.. 나중에 실물로 교환할 때 쓸모가 있겠지 뭐..)
2021년도 여름 KB able 신규 종합카드
이렇게 서류 및 사인 과정이 끝나면, 담당자님이 kb증권 모바일 어플 설치하라고 안내해주신다. 그럼 금현물계좌가 있을 거고, 거기서 거래하시면 된다고 안내해주셨다. 일단 구글 플레이에서 앱 다운로드를 했다. 그 다음에 M-able 모바일앱을 실행한 후에 금현물 매수를 해주면 된다. 종이통장은 필요 없다고 했으니 맨몸으로 들어갔다가 종합카드 하나 얻고 나온 셈이다.
일단 왕초짜가 KB증권에서 금현물 계좌를 오프라인으로 만드는 방법은 여기까지이고, 이제 모바일 어플로 들어가서 매수를 금 거래 계좌 해보자!
어플에서 금 매수하기
kb증권 앱
M-able 어플 실행 및 로그인
일단 로그인한다. // 금현물용 계좌는 일반상품 으로 잡히는데, 일단 여기에 금을 살 현금을 넣어둬야 한다. (나는 처음에 100만원 정도 먼저 넣어뒀다)
로그인 후 메인 홈 화면
어플 하단에 짙은 쥐색으로 메뉴바가 있는데 하단 맨 왼쪽에 ‘ 메뉴 ‘를 누르면 첫페이지로 국내/해외 주식거래가 뜬다.
메뉴 들어가서 첫 페이지!
목록 탭을 보면 아래에서 2번째에 금현물 선택
오른편에 금현물 주문 선택 -> 페이지 이동하면서 일반계좌 비밀번호 넣으라는 안내가 나온다. 비밀번호 눌러주고
100만원어치 안에서 1g당 얼마인지 보면서 거래금액 및 수량 선택 후 ‘ 금현물매수’ 빨간 버튼 을 눌러준다.
내가 살 때가 아마 6만 4천원대여서 15g을 살 수 있었는데 딱 4돈이다. 앞으로 야금야금 조금씩 늘려나가는 안전 자산이 되주길~
You Might Also Like
염창 브런치 카페 포코아 후기! (신목동역/염창역)
2021년 09월 20일
모더나 백신 1차 후유증 (20대 직장인, 약 안먹음)
2021년 09월 26일
금 거래 계좌
코로나19 사태 이후 금값이 오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금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대형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는 금값이 1년 6개월 안에 온스당 3,0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 예상했다. 골드만삭스도 2021년 초까지 금값이 온스당 1,8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값이 오르는 배경에는 많은 이유가 있지만 현재로서는 통화량 금 거래 계좌 증가와 관련 있다. 달러가 많이 풀린 만큼 현금가치가 떨어질까 봐 금값이 오르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그게 아니더라도 지금처럼 시장이 불안정하게 요동치는 상황이라면 안전자산에 쏠리는 관심은 당연하다. 주식과 같은 자산에 대한 위험을 해지하기 위해서라도 금이나 달러에 대한 분산투자는 포트폴리오 상 필요하다.
금에 대해 투자하려면 어떻게?
물론 금은방에 가서 금을 직접 사는 방법이 있다. 금을 현물로 사는 것이다. 그러나 보관하는 방법도 어렵고, 무엇보다 살 때 부가세 10%를 내야 한다. 그렇기에 투자 목적으로 시세차익을 노리기 위해서는 굳이 금을 현물로 살 필요는 없다. 이럴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은행에서 금 통장 만들기
금을 사고 싶은 만큼 계좌에다 돈을 넣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금 1그램에 5만 원이라면 5만 원에다 1%의 수수료를 붙여 입금하면 된다. 반대로 출금할 경우 금을 내다 판 것이 된다.
금 통장을 개설할 때는 0원에서 개설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최소 1그램 이상 사야지 개설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통장 개설 이후에는 0.01그램 단위로 살 수 있다. 거래를 하면 통장에 거래량(그램)과 매 거래시의 거래금액이 표시된다. 소액투자가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런데 금 통장을 통한 투자는 계산이 좀 복잡하다. 거래금액의 기준가가 국제 금 시세와 원달러 환율을 감안해 은행이 고시하는 1그램당 원화기준 금 가격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환율과 금 시세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므로 아무래도 일반인에게는 조금 까다로운 투자다.
세금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금 통장은 매매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15.4%를 내야 한다. 수익이 2,000만 원 초과했을 시 금융소득 종합 과세 대상에도 포함된다.
KRX 금현물 계좌 개설
증권사에서 KRX(한국금거래소) 금현물 계좌를 개설해 직접 거래를 하는 방법이 있다. 거래 종목은 두 가지다. 1킬로그램 단위 상품과 100그램 단위 상품이 있다. 두 종목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이는 직접 현물로 찾을 때 필요한 것이고, 현물로 찾지 않을 경우 두 종목을 선택하는 의미는 없다. 단지 가격 측면에서 1킬로그램 단위로 구매하는 게 좀 더 싸다. 종목을 선택했다면, 그 다음부터는 1그램 단위로 투자가 가능하다. 위탁 수수료는 0.2%~0.4% 정도가 붙는다.
KRX 금현물 계좌가 은행 금 통장보다 나은 점은 환율과 금 시세를 동시에 고려할 필요 없이 순수하게 금 시세만 보고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다. 투자의 복잡성이 없다.
KRX 금현물 계좌의 가장 큰 장점은 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라는 점이다. 매매차익이 금융소득 종합 과세에 합산되지 않는다는 것도 KRX 금현물 계좌의 장점이다. 금과 같은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는 소액으로 조금씩 꾸준히 투자하는 게 좋다. 소액투자로 금 투자를 해볼 의향이 있다면 현재로서는 KRX 금현물 계좌를 통한 투자가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신한금융투자] KRX 금 현물 투자 방법, 금 재테크 하는 방법
http://open.krx.co.kr/contents/OPN/01/01050206/OPN01050206.jsp
KRX 금 시장 거래 장점으로는
세금 면제(양도, 배당, 이자소득세 없음),
낮은 수수료 (금 거래 계좌 증권사가 낮은 수수료만 부과),
매수한 금은 한국 예탁결제원에서 안전하게 보관,
1g 단위로 거래하므로 소액 투자도 가능하다는 점
등등 여러 장점들이 있습니다.
이제 KRX 금 현물 투자에 대해서는 여기까지 알아보도록 하고
증권사에서 금 현물 거래를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증권사를 신한금융투자를 이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한금융투자 기준으로
계좌 거래 신청, 매매하는 방법을 설명해드릴게요.
신한금융투자 앱에 들어가 로그인한 다음 좌측 하단에 [메뉴] 를 클릭합니다.
[고객센터 - 신청/변경 - 거래 서비스] 에 들어가거나
검색창에 [KRX 금 거래신청] 을 검색하면 메뉴가 나타납니다.
KRX 금 거래 신청 메뉴에 들어갑니다.
약관을 확인하시고 세금 계산서 발급정보를 입력한 다음
등록하시면 KRX 금 거래 계좌가 만들어집니다.
기존에 입금해둔 예수금을 금 거래 계좌로
전환해야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예수금을 계좌 내 상품 간 이체 메뉴를 통해
금 거래 계좌로 전환해 줍니다.
예수금 전환까지 완료했다면 이제 금 현물 매수를 해보겠습니다.
홈 화면에서 좌측 하단에 메뉴에 들어가
[기타 시장 - 금 현물 - 금 현물 주문] 에 들어갑니다.
여기서 원하는 금액에 매수를 할 수 있습니다.
우측 상단에 차트를 클릭하면 금 시세 차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 현물 잔고 메뉴로 들어가면
손익, 수익률, 평가 금액, 평균 단가 등
여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한금융투자] 해외주식소수점 투자로 미국 주식 사는 방법
요즘 국내 주식뿐만 아니라 해외주식도 덩달아 인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여윳돈이 없는 사회 초년생 같은 경우는 해외 주식을 사는 것이 조금 부담스럽습니다.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키움증권 주식 옮기는 방법, 주식 계좌 타행 계좌로 변경하는 방법(키움증권 타사대체출고)
저는 국내 주식은 키움증권, 해외주식은 신한금융투자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증권사를 사용했다면 편리했겠지만 어쩌다 보니 증권사를 2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근데 왜 굳이 2개의 증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