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뉴스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나만의 빅스비를 만드는 공간, ‘빅스비 마켓플레이스’ 오픈

빅스비 마켓플레이스에 온 걸 환영해요! 에버랜드에서 헤매지 말고 빅스비와 함께! 에버랜드 이 캡슐 어때요? 스타벅스 음식 및 음료

삼성전자의 인텔리전스 플랫폼 ‘빅스비’를 더욱 풍성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줄 ‘빅스비 마켓플레이스(Bixby Marketplace)’가 오픈했다.[1] 빅스비 마켓플레이스는 빅스비 지원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단위인 빅스비 캡슐(Bixby Capsule)을 사용자가 선택해 이용할 수 있는 공간. 사용자들은 다양한 카테고리 내 유용한 빅스비 서비스를 직접 골라 사용할 수 있다. 빅스비 마켓플레이스는 갤럭시 사용자들이 원하는 맞춤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더욱 개인적이고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줄 전망이다.

맞춤 빅스비 서비스 플랫폼, ‘빅스비 마켓 뉴스 마켓플레이스’

빅스비의 편리함은 맞춤 서비스에 기반한다. 음성만으로 정보 검색부터 서비스 실행까지 가능한 것은 물론,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학습해 최적화된 결과를 제안하기 때문.

이러한 빅스비 경험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는 곳이 바로 빅스비 마켓플레이스다. 사용자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빅스비 서비스를 더욱 풍성하게 활용할 수 있어, 더 편리한 인공지능(AI) 경험을 누릴 수 있는 것. 사용자들은 빅스비 마켓플레이스에서 다양한 종류의 캡슐 중 자신에게 필요한 빅스비 캡슐을 쉽게 선택해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행을 좋아하는 빅스비 사용자가 빅스비 마켓플레이스에서 자주 이용하는 여행사의 캡슐을 미리 추가해뒀다면, 앱을 열지 않고도 음성만으로 항공권과 호텔을 검색하고 예약까지 할 수 있다. 현재 빅스비 마켓플레이스에는 인터파크 항공∙호텔을 비롯해 지니뮤직, U+모바일tv, T맵, 롯데시네마, 에버랜드, 배송지키미 등 실생활에 유용한 빅스비 캡슐들이 지원되고 있다.

빅스비 마켓플레이스에 온 걸 환영해요! 에버랜드에서 헤매지 말고 빅스비와 함께! 에버랜드 이 캡슐 어때요? 스타벅스 음식 및 음료

유용한 빅스비 캡슐, 검색부터 실행까지 쉽고 간편하게

빅스비 마켓플레이스는 빅스비 버튼을 눌러 ‘빅스비 메인’ 화면을 연 후 왼쪽으로 페이지를 넘기면 볼 수 있다. 빅스비 캡슐은 ‘예술/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금융’, ‘스포츠’, 쇼핑’, ‘교육’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다.

사용자는 캡슐 이름·개발자·키워드로 검색해 찾을 수 있고, 에디터 추천이나 사용자 리뷰를 토대로 자신에게 유용한 캡슐을 발견할 수도 있다. 직접 사용해본 후에는 평가를 남길 수 있어, 더 나은 빅스비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개발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전망이다.

캡슐을 사용하는 방법도 간편하다. 빅스비 화면 내 ‘추가’ 버튼을 터치하면 빅스비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카테고리의 경우 선호하는 캡슐을 특정 명령어에 대한 기본 캡슐로 설정하면 캡슐 이름을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아도 빅스비가 명령어와 관련된 캡슐을 알아서 실행시킨다.[2] 예를 들어 삼성뮤직을 선호하는 음악 기본 캡슐로 설정해놓은 경우 “음악 틀어줘”라고 말하면 빅스비가 자동으로 삼성뮤직 캡슐을 활용해 검색 결과를 실행해 준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파트너십 및 개발자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유용한 빅스비 캡슐 수를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오는 10월 29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개최되는 마켓 뉴스 마켓 뉴스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 2019(SDC19)’에서 이와 관련된 더 많은 소식을 확인할 수 있다.

‘거래내역으로 딱!’ 동생 치고 도망간 오토바이 뺑소니범을 누나가 당근마켓을 통해 직접 찾아냈다

자료

오토바이 뺑소니 사고를 당한 마켓 뉴스 피해자의 누나가 중고거래 사이트 당근마켓을 통해 직접 범인을 찾아 경찰에 넘긴 사실이 밝혀졌다.

2일 전북경찰청 등에 따르면 전북 익산시에 거주하는 A씨는 지난 10월16일 오후 6시30분쯤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오토바이에 치이는 사고를 마켓 뉴스 마켓 뉴스 당했다. 당시 A씨는 정신을 잃은 상태였고, 가해자 B씨는 잠시 전화를 하고 오겠다며 자리를 피한 뒤 오토바이와 헬멧을 그대로 둔 채 도주했다.

A씨는 이 사고로 손가락 골절상을 입는 등 전치 4주의 진단을 받고 병원에 입원했다. 그러나 경찰 조사가 진전되지 않자 A씨의 누나 C씨는 직접 범인을 찾아 나섰다.

B씨가 헬멧을 당근마켓에서 구매했을 것으로 생각한 C씨는 사이트를 검색했고, 지난 5월 동일한 물품이 팔린 마켓 뉴스 것을 확인했다. 이에 C씨는 과거 헬멧을 팔았던 판매자에게 연락해 구매자의 아이디를 알아냈다. 또한 C씨는 사고 현장의 오토바이 사진과 함께 ‘뺑소니범을 잡으려고 한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해당 글을 본 한 누리꾼은 “해당 오토바이 판매 글을 올린 사람과 연락해본 적이 있다”고 제보했고, 그 결과 C씨는 헬멧 구매자와 오토바이 판매자의 당근마켓 아이디가 같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후 C씨가 범인으로 추정되는 아이디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내자, 상대방은 “뺑소니 사고를 당한 분이냐”고 물으며 범행 사실을 털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C씨는 경찰에 B씨의 연락처 등 신상을 제출했다.

조사 결과 C씨는 미성년자에 무면허 상태로 운전을 하다 사고를 낸 것으로 확인됐으며, 경찰은 지난달 24일 B씨에 대해 도로교통법상 도주치상 및 무면허운전 등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

19일 한 여성이 중고거래 서비스 ‘당근마켓’에서 자신을 판매한다는 글을 올렸다는 논란이 확산됐다. 당근마켓에는 사진과 함께 ‘먹고 살기 힘들어 저를 내놓습니다. 97년생·166㎝·57㎏’이라고 소개하는 글이 올라왔다고 한다.

당근마켓에 부적절한 게시글이 올라와 논란이 여러차례 불거진 상황에서 ‘선 넘은’ 게시글에 언론이 주목해 이슈를 확대 재생산했다.

▲ 당근마켓 로고.

“‘선금 200 월 50, 저를 내놓습니다’ 막장으로 가는 당근마켓”(뉴스1) “1997년생 166cm 57kg, 저 필요한 분 200/50.. 막나가는 당근마켓”(머니S) “‘살기 힘들어 월50에 저 내놔요’ 당근마켓에 올라온 판매글”(중앙일보) “‘월 50만원’..이번엔 당근마켓 ‘23세 女’ 판매글 파문”(한국경제) “‘97년생, 선금 200 월 50, 저 내놔요’..당근마켓 글 또 논란”(매일경제) “‘선금 200에 월50, 저를 내놓습니다’ 23살女 당근마켓 판매글 논란”(조선일보) 등의 기사가 쏟아졌다.

기사의 수만 많았던 건 아니다. 지난 19일 포털 다음에서 가장 많이 본 기사는 머니투데이가 쓴 “‘먹고 살기 힘들어 저를 내놓습니다, 선금 200에 월50’…당근마켓 또 논란글” 이었다. 언론 보도로 이슈의 주목도가 크게 높아진 것이다.

그러나 반박이 나왔다. 이 마켓 뉴스 여성은 조선비즈에 자신의 사진이 도용됐다고 밝히며 “철없는 친구의 장난이었다”고 했다. 이 여성은 언론에 “사실 확인도 안 하고 마치 제가 마켓 뉴스 그런 것처럼 기사를 내보내는 건 멈춰 달라”며 “타인의 악감정으로 인해 사진을 도용해 올린건지 사실확인 하고 쓴 것이냐”고 했다. 기사 댓글에 고통을 호소하기도 했다.

▲ 포털 다음의 관련 기사 목록.

문제가 드러났지만 공개적으로 정정보도문을 내거나 사과한 언론사는 없었다. 머니투데이, 조선일보 등 기사에선 기사 말미에 반박을 추가하는 식으로 수정했다.

당사자의 반박 주장이 나오자 이번에는 ‘반박 주장’을 전하는 기사가 이어지기도 했다. 논란을 만들었던 매일경제와 조선일보는 각각 “‘저를 판매’ 당근마켓 주인공 ‘친구의 장난..정신적 피해 상당해’ 호소” “당근마켓 20대女 판매 논란에 사진 도용한 친구의 장난” 기사를 썼다. 이들 기사에는 “기사를 내보내는 건 멈춰달라”는 당사자의 하소연이 담겼다. 정작 마켓 뉴스 그 기사를 삭제하지 않은 채 반론이 나오니 반론을 기사로 쓴 것이다.

비슷한 일은 반복되고 있다. 2017년 인터넷 커뮤니티에 경비원 아버지가 컵라면과 사과를 추석 선물로 받았다고 주장하는 글이 올라왔고 중앙일보가 보도했다. 포털 다음의 해당 기사 댓글이 4873개에 달할 정도로 파급력이 컸다. 그러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 날 중앙일보는 “‘컵라면 추석 선물’ 논란 경비원 아들 ‘장난으로 보내신 걸 속상해서 올렸다’ 해명”이라며 ‘유체이탈’기사를 올렸다. 대표적인 ‘가짜뉴스’ 사례로 거론되는 240번 버스 논란 당시에도 언론은 일방의 주장을 확인 없이 받아써 논란을 키웠다.

▲ 한국신문협회 광고.

‘가짜뉴스’(허위정보)가 사회적인 문제가 되자 언론은 앞다퉈 ‘가짜뉴스’를 비판하고 규제해야 한다고 했다. 지난해 한국신문협회는 “가짜뉴스에 숨 막히는 세상, 신문이 세상을 깨끗하게 합니다”라는 슬로건의 광고를 만들었다. 인터넷에서 논란이 될 때마다 확인 없이 쓰는 언론 가운데는 한국신문협회 회원사가 적지 않다.

[카드뉴스] 마켓 뉴스 재능을 사고 판다? 재능마켓

image_pdf

누구나 하나쯤 가지고 있는 재능을 사고 판다? 그래픽 디자인 같은 전문분야부터 취미와 생활 서비스까지 다양한 재능이 재능마켓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상위 재능마켓 플랫폼 크몽, 탈잉, 숨고를 알아봅니다.

* 저작권법에 의하여 해당 콘텐츠는 코스콤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따라서,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합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