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지수란?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15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주가 지수란?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권용욱 기자
    • 승인 2014.08.07 07:39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배당지수란 배당실적이 우수한 기업을 대상으로 구성된 주가지수를 의미한다. 한국거래소에서 한국배당지수(KODI, Korea Dividend stock price index)를 발표하고 있다.

      KODI는 배당성향과 배당수익률, 안정배당지표 등에 시가총액을 고려해서 선정된 50개 기업으로 구성된다.

      다만, 코스피200지수의 종목과 유사한 대형주 주가 지수란? 위주라 투자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한 코스피 종목만을 대상으로 삼아 투자 다양성 측면의 문제점도 거론됐다.

      거래소는 이런 부분을 고려해 연내 고배당지수와 배당성장지수, 배당전략지수 등 복수의 배당지수를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지난 7월말 정부가 발표한 배당소득 증대의 대책 중 하나로 KODI의 대체 지수 개발 필요성이 포함되며 새로운 배당지수의 도입이 탄력을 받게 됐다.

      현재 거래소는 새 배당지수 도입을 위해 미국과 유럽 등 금융 선진국의 사례를 연구하고 있다. 관련 작업이 1~2개월 추가로 진행되고, 이후 배당지수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된다.

      거래소가 도입을 준비 중인 배당전략지수는 배당을 테마로 하되 별도의 투자 전략을 추가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거래소는 배당수익률에 커버드콜 투자전략을 더한 '배당커버드콜지수' 등을 검토하고 있다. (산업증권부 권용욱 기자)

      종합주가지수 기준시점은 1980년 1월 4일. 이날 상장된
      보통주 전 종목의 시가 총액을 100으로 놓을 때 2001년 5월 현재 종합주가지수는 580대. 상장 주식의 요즘 가격은 지난 80년에 비해
      5.8배 높아졌다는 얘기다.

      증시에서 거래되는 수많은 주식들은 종목별로 가격이 멋대로 움직인다. 종목 하나 하나의 주가 추이를 제 아무리 뜯어보더라도 전체적으로 주식시장
      시세가 오름세인지 내림세인지 얼른 파악하기 어렵다. 그래서 '주가지수' 를 만들어 쓴다.
      '지수(指數)'란 상품의 값이나 수량이 전보다 얼마나 달라졌는지 알아보기 위해 쓰는 통계 값이다. 통계 값이라지만 간단한 숫자로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만든다.
      주가지수란 주가 변화를 지수 방식으로 나타낸 숫자다. 어떤 지수든 보통 기준시점 값을 100으로 놓고 비교하려는 시점의 값이 얼마나 되는지
      구하는 방식으로 만든다. 작년에 120원이던 주가가 올해 240원이라 하자. 작년을 기준으로 삼으면 주가지수는 작년에 100, 올해 200이
      된다.
      지수 구하는 방식을 쓰면 특정 종목 주가가 어떻게 변하는지 쉽게 나타낼 수 있다. 여러 종목, 특정 업종에 속하는 종목들의 주가 변동을 종합해
      나타낼 수도 있다.
      증권거래소에서는 상장 종목 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종합해 만든 종합주가지수(한국종합주가지수=KOSPI=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를 쓴다. 종합주가지수는 어떻게 만들까.
      우선 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보통주)별로 시장가격에 발행주식수를 곱해 종목별 시가 총액을 구한다. 이 방식을 쓰면 상장 종목 전체의 시가 총액을
      구할 수 있다. 오늘의 종합주가지수는 오늘 상장된 종목 전체의 시가 총액이 특정 기준시점 시가 주가 지수란? 총액의 몇 배가되는지 구하면 나온다.
      종합주가지수 기준시점은 1980년 1월 4일. 이날 상장된 주가 지수란? 보통주 전 종목의 시가 총액을 100으로 놓을 때 오늘 현재 시가 총액은 주가 지수란? 얼마나
      되나? 2001년 5월 14일 현재 종합주가지수는 580대. 말하자면 상장 주식의 요즘 가격은 지난 80년에 비해 5.8배 높아졌다는 얘기다.
      증권거래소에 비해 중소규모 혹은 신흥 벤처기업 주식을 주로 거래하는 코스닥시장의 종합주가지수(코스닥 종합주가지수=코스닥지수) 산출 기준일은
      96년 주가 지수란? 7월 1일. 코스닥지수는 98년말-99년말 50 전후에서 200선을 돌파했다가 요즘 80대 전후로 움직인다.

      [풀이] FTSE 지수란?

      FTSE(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지수는 48개국 47개 증시를 시장지위에 따라 선진국시장과 준선진국시장, 신흥시장 등으로 구분해 세계각국의 주가지수 등을 산출하는 인덱스 및 금융정보를 전문적으로 제공한다.

      산출 주체는 FTSE인터내셔널. 영국의 경제주간지 '파이낸셜 타임스'(Financial Times)와 '런던증권거래소'(London Stock Exchange)가 1995년 공동으로 설립한 합작회사다.

      모건스탠리의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dex) 지수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영향력이 큰 지수로 MSCI는 미국계 펀드매티저들이 주로 의존하는 반면 유럽의 투자자들은 FTSE지수를 기준으로 해외투자 여부를 결정한다.

      FTSE는 2000년 FTSE 전세계지수(all world index)를 새로 출범시켰고, 이때 한국의 주요 기업 24종목을 편입시킨 바 있다.

      한국증시와 FTSE지수

      한국 증시는 2004년9월 선진국지수 편입을 위한 공식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된 이후 2006년 9월 편입이 기대되었으나 좌절된 바 있다.
      FTSE는 매년 선진지수 편입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대차거래, 공매도, 통합계좌, 장외거래, 분리결제의 주가 지수란? 5가지 요건 충족을 평가한다.
      2006년 9월 FTSE는 한국이 대차거래와 통합계좌는 충족되었지만, 공매도와 장외거래는 제한적으로만 허용된 상태이며, 분리결제는 오히려 후퇴했다는 평가를 내린 바 있다.

      Arrest Warrants to be Sought for tp1 Captain and Crew Member of Oil Tanker

      [증시브리핑]금융위 “공매도 금지 검토”

      김주현 신임 금융위원장이 필요시 공매도 금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11일 취임식 직후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외국도 시장이 급변하는 등 필요할 경우 공매도를 금지한다”며 “우리도 시장 상황을 봐서 필요하면 공매도뿐 아니라 증안기금(증시안정화기금)도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취임 직후 ‘공매도 전면 금지’를 시사한 것은 최근 코스피지수가 2300선을 밑도는 등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지만 뾰족한 대응책이 없다는 시장의 비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실제로 1일 금융 당국은 증시 변동성 완화 조치로 △증권사 신용융자담보비율(140%) 유지 의무 면제 △상장기업 1일 자사주 매수 주문 수량 제한 완화 등을 시행하기로 했지만 개인투자자들의 요구가 빗발쳤던 ‘공매도 금지’가 빠져 시장의 요구에 한참 못 미친다는 지적을 받았다.

      공매도란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종목을 빌려서 먼저 판 뒤, 주가가 떨어지면 싼값에 주식을 다시 사들여 해당 주식을 갚고 그 차익을 얻는 투자 기법이다. 특정 종목 주가가 과도하게 오를 경우 주가 거품을 걷어내고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한다는 순기능도 있지만,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인 만큼 주가 하락을 부추길 수 있는 데다 외국인이나 기관투자자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해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져 왔다. 현재 코스피200, 코스닥150 종목에 대해 공매도를 부분 재개한 상태이며 나머지 종목은 지난 2020년 3월 이후 2년 4개월째 공매도가 금지된 상태다.

      공매도 금지 효과에 대한 투자자와 전문가, 당국의 의견은 엇갈린다.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가 주가 하락을 부추긴다고 지적한다. 정의정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대표는 “주요 40개국 중 6월 증시 하락률 1위는 코스닥, 2위는 코스피”라며 “대외 악재 영향도 있겠지만 가장 큰 원인은 우리 증시가 공매도 놀이터가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공매도 금지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지금 같은 경기 변동 사이클에 다른 나라보다 시장이 민감하게 움직인다”며 “하락장에서 공매도가 늘어나는 건 당연한 데다 시장이 경기라는 변수에 주가 지수란? 의해 오르내리는 상황인데 공매도 금지가 필요한 조치라고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국거래소는 지난달 금융위 비공개회의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공매도가 반드시 주가를 끌어내리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해당 보고서에는 공매도가 몰린 종목과 그렇지 않은 종목 사이에 수익률이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는 내용이 담겼다. 지난달 2∼21일 사이 공매도 대금이 가장 많았던 삼성전자의 주가가 12.3% 하락했지만, 공매도 대금 순위 2위인 LG에너지솔루션은 6.2%, 주가 지수란? 7위인 하이브는 34.1%가 빠지는 등 변동 폭이 공매도 규모와 일치하지 않다는 것도 근거다.

      끝모를 하락장… '공매도 사냥감' 된 코스피200 편입주

      지난달 코스피200지수에 편입되면서 수급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던 코스피200 ‘신입생’들이 오히려 큰 폭의 주가 하락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수 편입과 동시에 공매도 거래가 허용되면서 공매도 세력의 사냥감으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증시 환경 악화로 코스피가 급락하는 상황에서 공매도 제한까지 풀리자 코스피 하락률의 2배 넘게 폭락한 기업들이 속출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10일 코스피200지수에 신규 편입된 종목들의 주가가 6월 이후 최대 35%까지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나투어(039130)(-35.27%), 한일시멘트(300720)(-34.10%), 일진하이솔루스(271940)(-28.57%), 케이카(381970)(-25.45%), 메리츠화재(000060)(-20.31%)의 주가는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가 13.2% 떨어진 것과 비교하면 2~3배의 낙폭을 보인 셈이다.

      이들 종목의 과도한 하락은 공매도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지난해 5월 공매도를 재개하며 대형주인 코스피200과 코스닥150지수 종목에 한해서만 가능하도록 제한했다. 공매도는 고가에 주식을 빌려 판 후 주가가 내리면 사서 되갚는 방식이라 주가가 하락하면 수익이 난다. 이들 종목은 지난달 10일 코스피200에 신규 편입되면서 공매도가 가능해져 주가 하락에 따른 수익을 노린 공매도 주가 지수란? 세력의 집중 공격 대상이 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들 종목은 코스피200지수에 신규 편입된 주가 지수란? 10일 공매도 거래 상위 20위권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일진하이솔루스의 당일 공매도 거래 비중은 54.93%에 달했다. 거래 물량의 절반이 공매도였던 셈이다. 케이카(45.12%), 하나투어(33.41%) 등 다른 종목 역시 공매도 비중이 20~40%에 달했다.

      증시가 약세장으로 진입한 가운데 공매도를 악용하는 사례도 잦아지자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공매도의 한시적 금지를 요구하는 주가 지수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금융 당국은 아직 공매도 금지 요구에 대해 “필요하면 할 것”이라는 원론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새 정부의 국정 과제인 ‘공매도제도개선안’ 마련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개인투자자들의 요구 사항을 일부 받아들일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