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간편 교외 인증 이벤트 응모
발행기관의 요청으로 개인이 구매하실 수 없습니다.
초록·키워드 목차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가 국내 연구문헌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에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서는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전반적 직무만족도 측정도구와 요인별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를 검토하고 비교하였다. 국내 문헌을 검토하기 위해서 한국학술정보(주)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주요 학술지의 논문, 경영학관련 학술지 그리고 일부 대학교에서 발간하는 논문집에서 296편의 직무만족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국내 문헌에서는 직무기술지표(JDI), 미네소타만족설문지(MSQ), 직무만족지표(JSI) 등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나 대부분 원래의 설문문항과 측정척도를 번역하고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따른 충분한 학술적 검토가 미흡하였다. 표본의 선정에 있어서도 대부분 편의추출법이 활용되어 표본의 대표성에 문제가 있었으며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나 타당도의 검증도 미흡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직무만족도의 측정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에서도 직무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설문지 개발의 필요성과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고용안정성이 직무만족의 중요한 구성요인으로 포함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Job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s #Job Descriptive Index(JDI)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MSQ) #Job Satisfaction Index(JSI) #reliability #validity #and job security37
핵심성과지표(KPI)란?
핵심성과지표(KPI)는 측정 가능한 정량적인 기업 성과 평가이며 일반적으로 경쟁업체와 비교하여 사용됩니다.
성과 측정
비즈니스 성과는 운 좋게 얻는 것이 아닙니다. 지속적인 개선과 정보에 입각한 목표 설정으로 거두는 최종 결과입니다. 따라서 성공적인 기업은 자체 성과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에 집중하는 조직입니다. KPI를 활용하면 모든 관련 결정에서 비즈니스 목적을 초점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전체 수준과 부서에서 소유권과 책임성을 확대할 수 기술 지표 및 도구 있습니다. KPI는 모든 기업의 운영 상태와 성과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KPI의 기본 개념 이해
핵심성과지표가 주는 영향을 이해하려면 먼저 KPI와 관련된 몇 가지 중요 요소와 시사점을 파악해야 합니다.
성과를 측정하는 KPI
비즈니스 또는 조직에 대한 전략적, 재정적 및 운영적 성과를 평가하는 데 KP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컨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KPI는 동일한 부문의 다른 기업에서 얻은 표식을 사용해 생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량화되어야 하는 KPI
실제 가치를 제공하려면 KPI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계량화할 수 없는 요인이 비즈니스 성과에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지만, 정확히 측정할 수 없으므로 KPI에 포함되어서는 안 됩니다.
비즈니스 및 고객 중심 메트릭을 포함하는 KPI
KPI에는 재무, 프로세스 중심 및 고객 관련 메트릭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기업 일부에만 적용될 수 있는 KPI
개별 부서 또는 직원 개인에게도 고유한 KPI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KPI는 기업의 전체 KPI에 기술 지표 및 도구 기술 지표 및 도구 기여해야 합니다.
KPI를 평가하는 방법
관련 메트릭이 모두 적절한 KPI를 구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KPI의 활용성을 높이려면 SMART 기준을 따라야 합니다. SMART란 Specific(구체적), Measurable(측정 가능), Attainable(달성 가능), Relevant(관련성) 및 Time-bound(기간 설정)의 약자입니다. SMART는 중요한 성과지표로 기업이 집중해야 하는 메트릭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KPI는 정확한 측정에 기술 지표 및 도구 따라 달라지므로 성과지표에서 중점을 두는 목표가 매우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비즈니스 개선” 또는 “고객 성공 증대”로만 구성된 KPI를 멀리하십시오.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면 관련된 모든 사람이 같은 방향에 있는지 확인하며, 기업을 조율하고 더 나은 비즈니스 결과와 고객 가치를 제공하는 데 유용한 단계를 쉽게 식별 및 측정할 수 있습니다.
측정 가능
KPI는 목표를 향한 진행 상황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진행 상황을 측정할 수 없다면 KPI가 효과적이지 않은 것입니다. 측정 가능한 KPI로 목적 달성에 기여하는 조치를 결정하며 성과를 평가하고 보고할 수도 있습니다.
달성 가능
간혹 원대한 구상을 펼치는 것이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달성할 수 없는 목표라면 시간을 낭비할 수 있고 최선을 다하고 있는 직원의 의욕을 꺾을 수도 있습니다. KPI는 도전적이어야 하며 팀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려야 하지만 현실성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KPI는 끝내 기업을 실패로 몰아넣을 뿐입니다.
KPI는 비즈니스에 중요한 목표와 관련되어야 합니다. 성과에 기여하지 않는 지표를 추적하는 데 시간이나 노력을 쏟지 말고 확립된 KPI를 적극적으로 재검토하여 관련성을 평가하십시오. 현재 전략 및 목적에 더 충실히 부합하도록 주안점을 동적으로 기술 지표 및 도구 전환할 수 있으면 팀이 중요한 목적을 향해 계속 진행하도록 이끌어 주게 됩니다.
기간 설정
기한은 스트레스가 될 수 있지만 효과적인 KPI를 생성할 때에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정해진 기간이 없으면 팀에서 계속 추진해야 하는 긴박감이 거의 없습니다. 여기에 KPI 타임라인은 변화하는 목적을 충족하고 예상치 못한 변수와 긴급 상황을 고려하도록 조정 가능해야 합니다.
KPI를 작성하는 방법
KPI는 측정 가능하고 구체적이며 관련성이 있어야 하므로 문서상에 자세히 기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KPI를 작성하고 개발하는 과정 중에서 다음 단계를 고려하십시오.
1. 목적을 명확하게 식별
목표와 KPI 간의 관계는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KPI 생성은 특정 목적 또는 비즈니스 결과와 KPI가 어떻게 관련되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평가하여 시작합니다. KPI에는 숫자와 데이터 외의 추가 요소가 기술 지표 및 도구 있어야 합니다. 숫자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이 달성하려는 목표를 전략적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이 모든 사항은 명확한 목표 또는 연속적인 목표를 작성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2. 모든 이해 기술 지표 및 도구 관계자의 동의 얻기
관련된 모든 사람이 동의하지 않으면 KPI는 말에 지나지 않습니다. 목표와 측정할 계획을 모든 이해 관계자와 소통하며 성과 및 진행 상황을 측정해야 하는 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제시하십시오. 이해 관계자가 궁금할 수 있는 질문을 받아 처리하고 KPI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의견에 귀 기울입니다. 가능하면 기업 전체에 목표를 연결하여 완전한 조정과 이해를 보장하십시오.
3. 정기적으로 KPI 검토 및 업데이트
정기적인 주기(예: 매주 또는 매월)를 설정하여 KPI를 검토하고 재평가하십시오. 성과 지표는 동적이어야 합니다. 달성하려는 사항을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을 경우 확립된 KPI를 고수하지 마십시오. KPI를 검토하면 진행 상황과 성과를 추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KPI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선택하고 개발하고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KPI가 더 이상 관련이 없거나, 달성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나거나, 실행 가능하거나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 목적에 더 부합하도록 구상도로 돌아가 수정하고 업데이트하십시오.
KPI의 여러 유형
SMART 기준 내에서 KPI는 기본적으로 모든 산업의 프로세스 또는 목표를 다룰 수 있습니다. 즉, KPI는 4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할 수 있습니다.
입력 KPI는 출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리소스의 양, 품질, 유형 등을 측정합니다.
프로세스 중심 KPI는 특정 출력을 생성하는 조치나 작업과 관련된 것입니다. 여기에는 프로세스 교육과 도구 또는 장비와 같은 기술 지표 및 도구 프로세스 제어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출력 KPI는 완료된 작업 및/또는 생산된 제품을 측정합니다.
중간 결과(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나타나야 하는 결과) 또는 최종 결과(최상위 수준 목적)로 추가 구분되는 이러한 KPI는 달성된 항목과 미치고 있는 영향성에 중점을 둡니다. 시장이 바로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기술 지표 및 도구 점에 유념해야 합니다.
KPI의 이점
올바른 KPI는 성공으로 향하는 명확한 경로를 비즈니스에 제공합니다. 그러나 그 이상의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추세 예측
KPI를 사용하면 목표를 향해 작업하면서 현재 프로세스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세 식별이 가능하며 서비스 병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 우선순위 지정
진행 상황을 측정하고 추적하면 리소스가 가장 필요한 위치와 리소스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위치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직원 참여도 향상
효과적인 KPI는 직원들을 화합하여 모두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이끌며 개인적 성과가 기업 목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명확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이에 따라 더 만족스러운 직원 경험을 보장하고 프로세스에 대한 직원 참여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자동화 및 셀프 서비스 극대화
한결 더 정확한 프로세스 뷰로 기업에서는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자동화 및 셀프 서비스 대안을 구현할 영역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개선 안내
KPI는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물론 지속적인 개선 문화를 조성하는 데에도 필수적입니다. 목적을 구체화하고, 성과를 높이고, 효율성을 개선하며, 관련된 모든 사람이 기업의 성공에 이르고 이를 재정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KPI를 최적화하는 ServiceNow Performance Analytics
효과적인 KPI 관리는 비즈니스의 성패를 좌우합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ServiceNow는 업계 최고의 Performance Analytics를 제공합니다. 성공적인 서비스 제공을 최적화할 때에 필수적인 KPI를 수립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요구에 대한 기본 데이터와 통찰력을 제시합니다.
Now Platform을 기반으로 구축된 Performance Analytics는 프로세스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하며, 가장 중요한 주요 추세 및 메트릭이 사용하기 쉬운 대시보드에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탁월한 가시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내장된 경보는 이상 징후를 식별하고 표시하므로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전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우선순위 지정 도구는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사용하여 팀이 집중해야 할 항목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여기에 Performance Analytics로 다양한 기타 도구 및 시스템을 손쉽게 통합하여 실제로 중요한 데이터에 대한 올바른 통찰력을 항상 확보할 수 있습니다.
ScienceON Chatbot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2012.7.1 시행)
에 의해 추후 공개로 전환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과제관리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비공개 보고서를 공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현재 비공개 처리된 보고서의
열람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보고서 상세정보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개발 연구
Indicators and Measures of Creative Competency
과제명 |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 개발 연구 |
---|---|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
연구책임자 | 김미숙 |
참여연구자 | 최상덕, 차성현, 조선미, 하유미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2-12 |
과제시작년도 | 2012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
사업 관리 기관 |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
등록번호 | TRKO201300030982 |
과제고유번호 | 1105006721 |
사업명 | 한국교육개발원 |
DB 구축일자 | 2013-12-21 |
연구과제
타임라인
▼
연구과제 성과물(0)
참여연구원의 다른 문헌(0)
미래 우수인재의 핵심역량 중 하나로서의 창의역량 강화는 2009 개정 교육과정(미래형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목표로 제시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명확한 창의역량 개념에 따른 창의역량 측정도구는 창의역량 교육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
미래 우수인재의 핵심역량 중 하나로서의 창의역량 강화는 2009 개정 교육과정(미래형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목표로 제시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명확한 창의역량 개념에 따른 창의역량 측정도구는 창의역량 교육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이 될 수 기술 지표 및 도구 기술 지표 및 도구 있다. 기존의 창의역량 관련 연구는 주로 심리학 분야에서 창의성의 이름으로 개인의 창의적 능력과 자질에 관한 지표와 도구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미래학, 경제학, 공학 등의 타 분야에서 창의적 산출물과 환경에 대한 연구가 산발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미래학, 심리학, 경제학, 과학 및 예술 등의 학제적 관점에서 창의역량을 이해하고, 인지적 능력, 정의적 특성, 과정, 산출물, 환경 등 여러 차원을 포함하는 통합적 관점에서 창의역량의 개념을 명료화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차례의 전문가 협의회 및 예비조사를 거쳐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의 선행연구에 나타난 창의역량 및 창의성의 개념과 정의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그 주요 내용을 창의역량이 발현되는 상황, 창의역량을 보는 관점, 창의역량의 구성요소(차원), 창의역량의 내적특성, 창의역량의 측정단위, 창의역량의 발현 분야, 창의역량의 행동, 창의역량의 결과와 같은 8가지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여 “창의역량이란 다양한 시대적, 문화적, 과업적 상황 속에서, 새롭고 유용한 창의적 산출물과 그것을 가능케 하는 개인의 능력과 특성 및 그 산출과정과 환경이 통합되어, 개인과 집단과 조직의 다양한 행동과 결과로 나타나는 학제적개념의 핵심역량”으로 정의하였다.
Abstract
▼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global leaders and citizens includes creativity. Despite its great importance, ho.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global leaders and citizens includes creativity. Despite its great importance, however, it is not easy nor simple to scientifically measure creativity. Moreover, the very term, creativity, has now being used in many different fields with somewhat different meanings such as in business administration, 기술 지표 및 도구 economics, science and technology, arts, and so on beyond the fields of psychology and education, which have traditionally dealt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various concepts of creativity currently existing in different fields and molded a new term, 'creative competency' from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as well as wit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And it attempted to define the concept of creative competency and also to develop its indicators and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mensional definition. A series of pilot studies and a main study were conducted to analyze and im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s.
DBpia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간편 교외 인증 이벤트 응모
내서재 담기 논문보기 다운받기
저작권자 요청에 따라 무료로 제공되는 논문입니다.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키워드 목차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기술융합과정에서의 핵심기술은 무엇이며, 그 핵심기술을 지닌 기업은 누구인가? 그리고 이러한 기업의 기술 전략적 특징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즉, 기술융합에 있어서 핵심/주요기술 및 이에 관련한 기업들과, 이종 기술들 간 조정/통합과 제품으로의 구현을 실현하는 기술 및 관련기업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기술융합의 메커니즘과, 관련 기술 보유기업들의 기술전략의 특성을 산업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인쇄기술이라는 기존기술과, 전자기술이라는 하이테크놀로지로서의 새로운 기술간 결합에 의해 발전한 인쇄전자 기술 분야를 융합기술 사례로 삼아 기업관점의 기술전략을 도출하였다.
방법론에 있어서, 특허인용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개별기업 간의 기술지식의 흡수와 전수의 맥락에서 분석함으로써, 기술관점의 네트워크 연구를 기업관점으로 확장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허서지정보 인용 네트워크 지표를 산출하여 기술 분야별 기업들의 네트워크상의 위치와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또한, 기업 기술전략의 의미를 찾기 위하여 특허 포트폴리오 관점의 추가적 기술 전략적 지표들을 개발하여 전략군지도 형태의 기업 포지셔닝 및 행동궤적 맵을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첫 번째, 핵심 및 주요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기업 네트워크에서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또한, 전략군지도에서도 자사가 보유한 핵심 기술에 대한 높은 집중도를 보이는 한편, 기술 원천 다양성은 비교적 낮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두 번째, 타 기술 간 조정/통합을 담당하는 기업들과 응용을 통한 제품화/상업화를 담당하는 기업들의 네트워크 중심성 역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 기업들은 전략군지도에서 전반적으로 기술 원천 다양성과 함께 기술집약도도 높여가는 방향으로의 행동을 보였다. 즉, 이러한 기업들은 다양한 특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술융합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보다 동태적 관점에서 이종기술들의 진보의 속도나 정도에 맞추어 유연성 있는 기술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과 연구 구조는 향후 기업들의 기술경영과 혁신전략 진단 및 분석/평가 프레임워크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 특허전략에 기술 지표 및 도구 대한 실무적 함의가 크다. #기술융합 #특허인용 네트워크 분석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 #인쇄전자 #technological convergence #patent citation network analysis #patent portfolio analysis #printed electronics
기술 지표 및 도구
2021년 창업지원 패키지 사업계획 성능지표 및 측정방법 알아보기
2020. 10. 23. 19:32
-
본문 폰트 크기 조정 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매년 정부 각 부처나 산하 기관,협회 등에서 나오는 무자본 창업과 지원을 받기 위해 매년 수 많은 지원자들이 도전하고 있습니다.하지만 날로 높아지는 경쟁률과 매우 어려운 사업계획 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요. 특히 정부의 R&D 지원 과제와 창업지원 패키지 사업에 도전하려는 분들이 마주치게 되는 다양한 각 산업분야별 "기술 성능지표 및 측정방법" 등은 항상 골치가 아플 수가 없습니다. 해당 전문 산업별 또는 창업 아이템에 필요한 기술적 성능지표 또 작성하기가 어려운데 그 성능지표에 대한 측정방법도 구체적으로 기재를 해야만 하니까요.
"베이커리 창업"을 하는데 해당 주력 베이커리의 품질을 잘 낼 수 있는 다양한 요리 레시피와 그 레시피에 들어가는 재료와 요리방법,요리시간, 요리도구 등을 구체적으로 정의,분류하는 작업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Photo by Ramón Salinero on Unsplash
창업패키지 및 정부 알엔디(기술) 사업지원에 있어서 "성능지표" 및 "측정방법"에 대한 내용은 기본적으로 산업분야나 창업아이템 마다 다양하며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기술 개발하는 목표에 도달 했을 때의 기술적 기대효과나 최종 성능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기술적 측정방법과 개발 수준,달성도 등을 기재한 후 현재의 기술적 진행상태와 최종 (기술적)성능지표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경쟁 기업의 유사 기술의 현재 기술수준 상태, 각 세부 성능지표가 최종 성능상태에 도달하는데 차지하는 비중(%)을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아래의 샘플들은 공정개선 분야의 중소기업청(이하 중기청)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홈페이지 ( http://smtech.go.kr/) 등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하며,해당 자료들은 일부분만을 발췌,인용한 사실을 알려 드립니다.
Photo by Evan Smogor on Unsplash
Photo by McDobbie Hu on Unsplash
모든 기술성능지표는 반드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성능기준과 측정방법을 적는게 중요하다.소설을 쓰듯이 장문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닌 위의 정부사업기술서의 내용처럼 지표의 명칭,측정단위,측정 샘플의 수,최종개발 세부예정인 성능목표.다른 해외 기술 과의 수준 등을 양식이 요구하는 방법에 따라 가급적 양적 지표화로 만들어 기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작성자의 주관적인 성능측정지표 및 측정기준을 사용하여 작성하기 보다는 해당 분야 R&D 상의 성능목표 달성도를 공식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음의 사이트에서 인정하는 각 산업분야별 성능평가 외부 측정기관들을 확인할 수 있으니 검색 후,적정 외부 성능 평가기관을 통해 개발할려는 기술 및 제품 성능평가를 받으시길 추천하며,성능평가를 받는 것이 심사위원들의 신뢰도 확보에 유리 하실 것입니다.
또한 외부공인 시험기관을 통해 성능평가를 의뢰하기 전에 구체적인 개발 평가 사항을 사전에 정리 한 후에 외부 공인 시험기관에 의뢰를 받는 것이 신속한 평가 작업을 받을 수 있으며,해당 기관에 사전 검토를 받아서 진행하는 것도 타당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가령 TTA 같은 성능테스트를 해주는 곳을 통해 패키지, 모바일, 임베디드, 컴포넌트, 게임, GIS, e-Biz, e-Learning, SW, 운영체제, 디지털콘텐츠, 보안용SW, 웹관리 도구, SW개발도구, 유틸리티, 홈네트워크, 스토리지, 바이오 메트릭스, 교육용SW 등 소프트웨어 전 분야에 대한 성능 평가를 받는 것이 가능하며 실제로 이러한 기관의 통해 성능지표를 받아둔다면 그만큼 성능지표에 대한 심사위원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1번 2번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한국인정기구 KOLAS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한국인정기구 KOLAS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