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무역 세션
□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이사장 문대림, JDC)는 제14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제주포럼)에서 오는 29일(수)과 31일(금) 미래·평화·해양·농업·의료·국제유통을 주제로 총 6개의 세션을 개최한다.
□ 29일에는 특별세션인 ‘제주국제자유도시의 미래지향적 발전방향’을 비롯해 의료·해양 관련 일반세션이 진행된다.
ㅇ 특히, ‘제주국제자유도시의 미래지향적 발전방향’을 주제로 특별세션(5월 29일 13:30, ICC제주 한라홀)이 개최된다.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가 좌장을 맡고, 송재호 국가균형발전위원장,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벤자민 야우 홍콩무역발전국 한국 지부장, 문대림 JDC 이사장이 패널로 참가한다. 국제자유도시 추진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되짚고 미래지향적인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ㅇ ‘힐링, 제주관광의 미래를 보다’(5월 29일 15:20, ICC제주 201B호) 세션에서는 김철민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제주의 힐링산업 발전을 위한 구체적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해양으로 키우는 국제자유도시, 제주의 더 큰 미래’(5월 29일 17:10, ICC제주 402호) 세션에서는 오영훈 국회의원이 좌장을 맡아 신항만 건설, 해상물류 등 해운·해양 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시행주체로서 제주 및 JDC의 역할을 모색한다.
□ 31일에는 ‘평화와 인권의 꿈을 담은 제주로의 도약’(5월 31일 13:30, ICC제주 202호) 세션이 진행된다. 김인회 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좌장 및 발표를 맡고, 양조훈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 고성준 제주통일미래연구원장, 김남국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시나 폴슨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장이 패널로 참가한다. 세션에서는 아시아 평화와 인권을 선도하기 위한 제주 역할에 대해 생각해보고, 남북교류사업의 선제적 추진과 아시아 인권재판소의 제주 설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ㅇ ‘국제적 상품이동 플랫폼으로서의 JDC 면세점 역할 모색’(5월 31일 15:20, ICC제주 202호) 세션에서는 김형길 제주관광문화산업진흥원장이 좌장을 맡는다. JDC 면세점이 제주 브랜드의 국제화를 견인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미래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향’ (5월 31일 17:10, ICC제주 201B호) 세션은 박현철 JDC 투자사업본부장이 좌장을 담당한다.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차별화 전략 및 경쟁력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갖는다.
□ 아울러, JDC에서 주관하는 제14회 제주포럼 기념 ‘JDC 평화콘서트’는 제주포럼 마지막날인 31일 19시 30분에 ICC제주 탐라홀A에서 90분간 진행된다.
ㅇ 평화콘서트는 19시부터 선착순 무료입장이 가능하며 가수 자이언티, 컨템포디보 with 마이티, 소리풍경어린이합창단이 공연할 예정이다.
홍콩무역발전국이 주관하는 제1회 MarketingPulse가 3월 21일 홍콩 컨벤션 센터에서 열렸다. 브랜드 관리, 마케팅, 광고 분야의 9개국 40명 이상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다양한 마케팅 인사이트와 브랜드의 성공 사례를 공유하였다.
MarketingPulse에서 강연 중인 칼스텐슨 드비어스 글로벌 브랜딩 책임자
홍콩무역발전국 이사 레이먼드 윕(Ramond yip)은 “홍콩이 아시아의 트렌드세터이자 국제 브랜드들의 허브로 기능하는 데에는 마케터들의 공이 크다.”며 마케터 들의 공로를 치하했다. 이어 윕은 "도시의 세련된 명성은 홍콩의 독창적인 카리스마를 강조하는 창의적인 마케터들 덕분" 이라며 "홍콩의 마케터들은 동서양이 어우러지는 홍콩의 특징을 잘 활용하며, 최신 마케팅 기술을 통해 강력한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 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콩 상업경제부 필립 영(Philip Yung) 차관의 개회사에 이어 시작된 “이기는 브랜드를 위한 레시피” 세션에는 드비어스의 글로벌 브랜딩 책임자 사라 리스 칼스텐센(Sara Riis-Carstensen)과 무지로 잘 알려진 료힌 케이카쿠의 동아시아지부 케이 스즈키(Kei Suzuki) 이사 그리고 레베카 민코프의 창업자이자 대표인 유리 민코프(Uri MinKoff)가 참여하였다.
- 이기는 브랜드를 위한 레시피
드비어스에 합류하기 전에, 리스 칼스텐센 글로벌 책임은 LEGO의 글로벌 브랜딩 이사로서 스타워즈와 배트맨과 같은 브랜드들과 레고의 콜라보레이션을 이끌며, 레고를 단순히 교육을 위한 브랜드에서 아이들에게 사랑받는 브랜드로 마케팅했다.
무지 홍콩 무역 세션 동아시아 스즈키 이사
스즈키 이사는 료힌에서의 20년 이상 경력을 바탕으로 일본 특유의 미니멀리스트 문화를 고수하며, 브랜드 ‘무인양품’을 생활용품 브랜드에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변모시켰다. 그는 또한 무인양품의 사업영역을 식품과 호텔로 확장시켰다.
2005년 런칭한 패션 액세서리 브랜드 ‘레베카 민코프’는 최근 몇 년 동안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세계적인 패션 브랜드 중 하나이다. 민코프 대표는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소비자들에게 옴니채널 경험을 제공하는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며 패션업계에서 가장 미래 지향적인 CEO로 평가받고 있다.
- 뉴 미디어와 뉴 테크놀로지의 활용
소셜 미디어 마케팅을 조명한 또 다른 세션에서는 트위터 아시아 부사장 마야 하리(Maya Hari)와 링크드인 아시아 마케팅솔루션 이사 아사프 타노폴스키(Assaf Tarnopolsky)가 패널로 참여하여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안과 밖을 이야기하며 실질적인 전략에 대해 조언했다. 이 세션에는 또한 그래미(The GRAMMYs)의 에반 그린(Evan Greene) CMO와 MGM리조트의 베벌리 W 잭슨(Beverly W Jackson) 미디어전략 부사장, 그리고 징동닷컴의 마케팅 책임자 겸 부사장인 지펑먼(JiPeng Men)이 참여했다. 연사들은 브랜드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전체 브랜드를 보완하는 방법 및 정보를 기반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마케팅 전략에 대해 토론했다.
이어진 세번째 세션에서는 광고 분야에서 전설적인 인물들이 참여했다. 조슈아 그로스버그(Joshua Grossberg, McCann New York 광고 총책임자), 피터 레프브르(peter Lefebvre, Leo Burnett 광고 총책임자), 스펜서 왕(Spencer wong, Dentsu 광고 총책임자)이 참여한 이 세션에서는 창의적인 사고와 변화하는 미디어와 소비자들을 공략하는 방법 등이 공유되었다. 고객 세분화와 브랜드 이미지 각인에 필요한 기술들이 소개되기도 했다.
- 시장 성장의 동력과 기회
오후 세션에서는 다양한 배경과 흥미를 가진 참가자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여러가지 마케팅 주제를 다뤘다. “아시아 고객들 사로잡기” 세션에는 마로직 홀딩스(MaLogic Holdings) 로이스 옌(Royce Yuen) 창립자와 시암 피왓(Siam Piwat) 부회장 군야락 피야쿤(Gunyarak Piyakhun), 더 팻 키드 인사이드(The Fat Kid Inside) 설립자이자 F&B의 인플루언서 에르완 흐사프(Erwan Heussaff), 시나 & 웨이보 (International of SINA Corp & Weibo Corp) 총지배인 제니 소(Jennie So), 애니마인드(Anymind) 그룹의 CEO겸 공동 창업자 코스케 소고(Kosuke Sogo)가 참여했다. 강연자들은 브랜드, 인플루언서, 미디어, 마케팅 컨설턴트의 관점에서 브랜드 홍보에 대해 설명했다.
페초인 3water Li 브랜드디렉터 치콰이황
“새로운 중국”을 주제로 한 강의에서는 3명의 중국 베테랑 마케터 비베카 찬(Viveca Chan, WE마케팅 그룹 대표이사), 마이 첸(Mia Chen, 에어비앤비 중국지사 마케팅 상무), 치콰이 황(Chihkai Huang, Pechoin and 3water Li 브랜드디렉터겸 W설립자)가 중국 소비자 행태에 대해 설명하고 온라인 홍콩 무역 세션 소비자들을 설득하는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소비자들이 판매를 강조하는 광고에 익숙해짐에 따라, 콘텐츠 마케팅은 브랜드 구축을 위한 필수 마케팅 도구가 되었다. 이에 ‘콘텐츠 마케팅에 대한 이야기’ 세션에서는 이노레드의 최세근 이사, JW매리엇 그룹의 토니 차우(Tony Chow) 아시아지역 이사 그리고 토스트 커뮤니케이션 창업자 겸 대표인 빈센스 추이(Vincent Tsui)가 연사로 참여했다. 그들은 브랜드에 대한 부담감없이 소비자들을 사로잡는 홍콩 무역 세션 콘텐츠 마케팅의 실질적인 팁에 대해 이야기했다.
데이터 기반 마케팅&광고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진행된 세션에서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이 마케팅에 끼치는 영향력에 대해 강연했다. 강연자로는 Asia Miles, Lotame, IPG, APAC Integral Ad science의 디지털 전문가와 데이터 분석가들이 나왔다. 로즈우드 호텔 그룹에서는 최신 기술들이 어떻게 마케팅 효과를 증진시켰는지 보여주기도 했다.
- 확장된 네트워크로 도약
MarketingPulse에서는 “창의적인 사고와의 대화”를 주제로 두 개의 세션을 진행했다, “여성 마케터들과의 대화”를 주제로한 세션에는 줄리엣 레옹(Julieta Leong, LANLwai Fong 그룹의 마케팅 부국장), 사라 리스 칼스텐센(Sara Riis-Carstensen, De Beers의 글로벌 브랜딩 책임자), 보니 찬 우(Bonnie Chan Woo, Icicle 그룹 대표이사)이 출연했다.
“스타트업을 위한 브랜딩과 마케팅” 세션은 브랜드 박사 토미 리(Tommy Li, Tommy Li 디자인 워크샵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와 빌리 정(Billy Chung, Go Animate 사업개발 이사)가 출연해 스타트업이 비용효율적으로 브랜드 프로필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전시 구역에서는 뉴미디어 광고, 컨텐츠 마케팅, 검색엔진 최적화, 데이터 기반 마케팅, AI 플랫폼 등에 참여하고 있는 20여개의 기업들이 혁신적인 마케팅 전략과 기술 등을 선보였다.
전시 구역 참가 기업들과 컨퍼런스 참여 기업들의 협업을 증진하기 위해 현장 기업 매칭 서비스가 진행되었다. 각 기업들의 교류를 형성하고 서로의 기술을 교환할 수 있는 여러 교류행사들이 열리기도 했다.
MarketingPulse는 홍콩 홍보 협회 이사회, 홍콩 인터랙티브 마케팅 협회, HKMA 디지털 마케팅 커뮤니티, 홍콩 공인 광고 대행사 협회 및 홍콩 광고주 협회 (Hong Kong Advertisers Association)와 같은 마케팅 업계의 선도적인 조직의 지원을 받고 있다.
MEHK in Action
2015년 4월 19~23일, MEHK는 6개의 헬름브리스코 (HB) 회원사와 더불어 미국에 있는 글로벌 자산 조직의 대표들을 초청했습니다. 헬름브리스코는 미팅과 이벤트 산업의 최대 구매자로서 미국 시장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경험 많은 회원들의 네트워크를 자랑합니다.
참가단은 홍콩 포럼 세션 및 MEHK가 지원하는 환영 만찬에 초청되었습니다. 아시아의 세계 도시이자 국제 행사와 컨벤션를 위한 이상적인 미팅 장소로서 홍콩이 갖는 중요한 장점들이 이 영향력 있는 단체에게 선 보였습니다. 참가단은 도시를 둘러보았고, 홍콩 및 마카오 미국 총 영사관을 방문하여 MEHK가 미국 상무부 국제 무역청과 협의하여 마련한 미팅에서 미국의 주요 인사들을 만났습니다.
투어는 매우 성공적이었고 모든 참가자들은 홍콩에서의 시간을 즐겼으며 그들의 고객들에게 홍콩을 행사 개최지로 추천하기 위한 확신을 가지고 돌아갔습니다.
우리는 홍콩 최고의 행사장과 경험을 더욱 적극적으로 알려 앞으로 계속 새로운 그룹을 유치할 것입니다. 홍콩관광청의 홍콩 무역 세션 최근 노력은 여기에서 확인하십시오.
IMEX 15에서 650명의 의사결정자와 만남
2015년 5월 19~21일 열린 IMEX 프랑크푸르트는 13년 역사 중 가장 큰 IMEX 행사였습니다. 5월 행사는 수천 명의 업계 방문객들과 전문 바이어, 그리고 거의 300개 이상의 국제 미디어들이 참가한 가운데, 3,500개 이상의 전시 업체와 만남을 가졌습니다.
MEHK 팀은 18개의 업계 파트너들과 협심하여 유럽 바이어 및 의사결정자들과 460개의 미팅을 홍콩 부스에서 진행했습니다. 모든 바이어들은 MICE 목적지이자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독보적인 비즈니스 중심지로서 비교할 수 없는 홍콩의 장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또한 12개의 그룹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여 또 다른 130명 이상의 잠재적 바이어들에게 도시의 매력적인 관광지와 풍부한 행사장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특별히 선발된 29명의 바이어들은 5월 29일 MEHK가 마련한 특별 만찬에 초대되었습니다. 행사는 MEHK 및 함께한 파트너들에게 커다란 성공이었습니다. 우리는 10월에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다음 IMEX 아메리카행사 역시 매우 기대하고 있습니다.
BODW2014, 아시아의 디자인 분위기 소개
홍콩, 홍콩 무역 세션 2014년 12월 4일 (PRNewswire) 홍콩디자인센터(Hong Kong Design Centre, HKDC)의 대표적인 연례 프로그램인 비즈니스 오브 디자인 위크(Business of Design Week, BODW) 2014가 오늘부터 6일까지 홍콩 컨벤션&전시센터에서 열린다. BODW에 참가하기 위해 전 세계 곳곳에서 100 명이 넘는 디자인 전문가들과 영향력 있는 사업 지도자들이 홍콩을 찾았다. BODW는 일련의 세션 및 병행과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 네트워킹 기회 및 사업 협력을 위한 귀중한 플랫폼을 구축한다.
홍콩 행정장관 CY Leung, 스웨덴 주택 및 도시개발부 장관 Mehmet Kaplan , 홍콩디자인센터 소장 Victor Lo , 홍콩무역발전국 국장 Margaret Fong , 홍콩디자인협회연맹 사무총장 Freeman Lau , 홍콩패션 디자이너협회 회장 Kevin Yeung , 홍콩인테리어디자인협회 회장 Antony Chan , 공인디자이너협회 대표 Alex Lee 등의 고위 관리들이 1주일 동안 열리는 BODW를 집행한다.
BODW2014에서는 아시아의 디자인, 브랜드 및 혁신을 통해 지역 청중들에게 영감을 불어넣고자 14개의 세션을 마련하고, 올해 프리츠커상 수상자 Shigeru Ban , Chris Bangle , Margareta van den Bosch , Rem Koolhaas, Don Norman 등 유명 연설가들을 초빙했다. 홍콩디자인센터 소장 Victor Lo는 "1주일 내내 기조 연설가, 사업가 및 창의적인 인물들로 구성된 아주 견고한 라인업을 선보일 예정"이라면서 "지식 공유와 교류가 활기를 북돋을 것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리빙 디자인: 살고, 일하며, 입고, 하는 디자인'이라는 주제 하에. 스웨덴과의 파트너십 10주년을 기념하는 스웨덴 주택 및 도시개발부 장관 Mehmet Kaplan은 BODW2014에 대해 "홍콩, 스웨덴 및 전 세계의 지속가능하고 경제적인 발전을 도모할 새로운 아이디어, 새로운 제품 및 새로운 사업 기회로 향하는 문을 열어줄 것"이라고 확신했다.
DFA Awards 2014
디자인 우수성과 리더십을 기리기 위해 5일 BODW 갈라 디너에서 DFA Lifetime Achievement Award (DFALAA), Design Leadership Award (DLA) 및 World's Outstanding Chinese Designer (WOCD)를 수여할 예정이다. Design for Asia Awards와 Hong Kong Young Design Talent Award (HKYDTA) 시상식은 3일에 열린다. Inno Design Tech Expo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DFA Awards Exhibition은 이달 4일부터 6일까지 진행돼 수상 프로젝트들을 전시할 예정이다. Design for Asia 홍콩 무역 세션 - DFA Awards 2014 간행물도 판매될 예정이다.
DETOUR 2014
BODW 2014와 병행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 중 하나인 DETOUR 2014는 기혼 경찰 숙소(Police Married Quarters, PMQ)와 HKDC 간의 공동 노력을 소개할 예정이다. HKDC는 젊은 인재들과 신인 디자이너들이 창의적인 벤처를 축하하는데 홍콩 도시 전체를 참여시키는 활기 넘치는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DETOUR 2014는 디자인에 대한 사회의 인식을 높이고, 아시아에서 증가하고 있는 홍콩의 디자인 분위기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무역협회 “한국·홍콩 미래, 4차 산업혁명에서 찾는다”
[글로벌이코노믹 길소연 기자] 한국무역협회는 2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제18차 한-홍콩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을 개최했다.
한-홍콩 BRT는 1993년 무역협회와 홍콩무역발전국(HKTDC)이 공동으로 처음 개최한 이래 올해로 25주년을 맞았다.
이번 BRT에는 인공지능(AI), 핀테크, 바이오테크, 스타트업 지원 등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한-홍콩 간 경제협력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무역협회 김영주 회장은 인사말에서 “4차 산업혁명 발전을 위한 종합 국가전략과 정책을 수립하고 있는 한국처럼 홍콩도 정부가 홍콩 무역 세션 주도적으로 관련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면서 “한국과 홍콩이 4차 산업혁명 분야를 매개로 상호 협력해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먼저 1세션에서 이장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이 제조업 중심이지만 서비스 분야가 급성장하고 있는 만큼 서비스 강국인 홍콩과 경쟁하면서도 협력할 수 있는 관계”라고 밝혔다.
2세션에서 발표자로 나선 장영승 진인사컴퍼니 대표이사는 인공지능(AI) 기능을 가진 소셜 로봇 시장과 제품, 수익모델 분석내용 등을 소개했고 중국 최대의 AI 유니콘 기업인 센스타임은 안면인식, 자율주행 등 핵심 홍콩 무역 세션 기술을 금융, 보안, 스마트폰 등에 활용한 사례를 발표했다.
이날 오후에는 홍콩 기업 15개사와 한국의 40여 개 사가 참가한 가운데 1대1 비즈니스 상담회를 가졌다.
홍콩 BRT 대표단은 방한기간 동안 삼성 이노베이션 뮤지엄, 서울창업허브, LH 더스마티움, 안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등을 방문한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