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 란 무엇입니까?
일반적으로 특정 연구원의 연구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논문을 발표 하였는지를 보게됩니다. 그러나 단순히 발표한 논문 수로만 그 연구원의 연구 업적을 평가 하기에는 발표한 논문의 질이 보증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보안하기 위해 2005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지수 란 무엇입니까? 물리학 교수인 Jorge E. Hirsch는 각 연구원의 연구 성과를 논문의 발표량과 인용횟수를 이용해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 H-지수를 제안하였습니다.
H-지수는 특정 연구원의 연구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써, 발표한 논문수와 지수 란 무엇입니까? 피인용수를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학문적 역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H-지수는 개인뿐만 아니라 연구단체, 기관 또는 국가의 연구 성과를 측정하는 데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나의 h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우측의 표와 같이 자신이 저널에 등재한 전체 논문중 많이 인용된 순으로 정렬한 후, 피인용수가 논문수와 같아지거나 피인용수가 논문수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숫자가 바로 나의 h가 됩니다. 이 표에서는 10이 H-지수가 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여, 이 연구원은 논문 인용횟수가 10이 넘는 논문이 적어도 10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인용정보제공 데이타베이스인 SCOPUS 와 Web of Science (WOS) 뿐만 아니라 여러 무료로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의 등장으로 연구원별 H-지수를 온라인 상으로 보다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H-지수의 장점
논문수 또는 피인용수로만 평가되는 기존의 개별 지표와는 달리, H-지수는 논문수와 피인용수 모두를 고려하여 평가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H-지수를 이용하면 적은 논문을 발표 했는데도 피인용을 많이 받은 연구원과 많은 논문을 발표했지만 피인용수가 적은 연구자의 구별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피인용을 많이 받은 한 두개의 논문 또는 피인용은 거의 없이 논문만 많이 낸 연구원이 과도하게 높게 평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객관적인 연구 업적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H-지수의 단점
H-지수는 연구원의 피인용수가 기반이 되어 평가되므로, 임팩트 팩터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분야의 연구원을 비교하는 용도로는 사용될 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논문에 자신의 다른 논문을 인용하는 self-citation이나 공동저자가 많은 co-authorship등과 같은 문제로H-지수가 완벽히 객관적일 수 없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H-지수는 노벨상 뿐만 아니라 심사의 공정성과 권위를 인정 받고있는 분쉬 의학상에도 사용되는 평가 척도이니 만큼, 연구 업적을 평가하는 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잣대가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 뿐만 아니라 같은 분야 연구원들의 H-지수를 잘 이해하고 연구에 매진한다면 더 발전된 연구 성과를 얻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이사 갈 새 집을 알아본다. 교통, 교육, 일조량, 편의시설 그리고 집의 구조 등 여러 가지 항목들을 나열하여 알아본 집들 중 우선순위를 매겨 본다.
나는 각 항목들에 10점의 점수를 배당하고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설정한다. 이를테면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교통, 교통의 점수에 곱하기 5를 하여 가중치를 주었다.
그 다음 아이들을 위해 학교가 가까운 순으로 측정한 점수에 3을 곱하였다. 교통보다는 적은 가중치를 설정했다. 마지막으로 후보군 아파트의 모양은 비슷비슷해 여기에는 1을 곱했다.
그리고 이를 아파트별로 계산해 종합점수로 나열한 후 가장 점수가 지수 란 무엇입니까? 높은 집으로 결정하였다.
젖소의 선발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가축은 선발과 교배를 통해 개량한다. 따라서 여러 가지 지수 란 무엇입니까? 형질별 지수 란 무엇입니까? 유전능력이 좋은 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발하게 되는데 집을 구할 때는 항목이 교통, 교육 등이었다면, 좋은 젖소를 선발할 때는 유량, 유지방, 체형 등의 육종가를 나열하고 여기에 유대수익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고려해 가중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이 모든 가중치를 적용한 항목들을 합한 것이 바로 선발지수이다.
각 국가에서는 자국의 사육환경과 낙농 수익구조에 맞는 선발지수를 설정해 이용하고 있다.
낙농선진국인 미국의 선발지수 TPI(Total Performance Index)는 유지방, 유단백 및 사료효율 등을 포함하는 생산성에 46%, 건강·번식 관련 형질에 28%, 체형에 26%의 가중치를 적용한다.
이웃국가인 캐나다에서는 홀스타인 이외에 젖소 품종으로 에어셔, 브라운 스위스, 건지 및 저지 등의 다양한 품종을 이용하고 있으며 각 품종별로 선발지수를 다르게 설정하고 있다.
이 중 홀스타인 품종은 유생산성 40%, 지속적인 유생산을 위한 척도(Durability Component)에 40%, 건강·번식에 20%의 가중치를 적용한 지수 란 무엇입니까? LPI(Lifetime Performance Index)를 이용해 씨수소의 종합 유전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RZG(Relativ-Zuchtwert Gesamt)라는 선발지수를 활용하고 있다. 번식 10%, 장수성 20%, 유방건강 7%, 분만 3%, 체형 15% 그리고 유생산 45% 총 6개의 형질 그룹을 종합해 선발지수로 활용한다.
우리나라는 낙농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젖소의 선발지수로 KTPI(Korea Type Production Index)를 활용하고 있다.
KTPI는 유지방량에 37, 유단백량에 27, 체형종합점수에 15, 유방지수에 10, 지제지수에 6, 체세포에 –5의 가중치를 적용하고 있다.
LPI, TPI, RZG, KTPI 각국의 선발지수는 모두 유생산성에 가중치를 높게 주어 선발에 활용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해당국가의 유대체계 등을 포함한 낙농환경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번식, 건강 및 사료효율 등과 같은 요소가 선발지수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향후 이 형질들에 대한 유전능력평가가 시작되면 보다 다양한 유전적 특성을 반영한 선발지수를 지수 란 무엇입니까? 제시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기술한 내용은 국가단위 유전능력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제시하는 선발지수에 대한 것이다.
그렇다면 농가에서는 선발지수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가령 내가 보유한 암소의 생산능력들 중 유량을 보완하고자 한다면 씨수소를 선택할 때 유량의 육종가에 높은 가중치를 주면 되고 유방을 개량하고자 한다면 유방과 관련이 있는 형질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주어 계산한 후 선발지수가 높은 씨수소를 선택하면 된다.
농장의 암소 역시 도태우 결정 시 여러 육종가의 항목들에 이와 같이 가중치를 적용하여 나만의 선발지수로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선발지수는 젖소의 선발과 도태를 결정함에 있어 여러 가지 경제적으로 중요한 형질들에 대한 유전능력을 지수 란 무엇입니까?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다.
지수 란 무엇입니까?
신고를 접수하면
카카오계정 및 카카오톡 이용이 즉시 정지 됩니다.
신고를 접수하신 분도 계정 및 톡을 이용할 수 없으니
신중하게 진행해 주세요.지수 란 무엇입니까?
정상적으로 문의가 접수되었습니다.
처리결과는 기재하신 연락처(휴대폰번호/이메일)로 회신드리겠습니다.
정상적으로 문의가 접수되었습니다.
처리결과는 기재하신 연락처(휴대폰번호/이메일)로 회신드리겠습니다.
카카오같이가치
카카오 고객센터 본문
서비스 이용 문의
기부쿠폰은 카카오같이가치 모금함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어요. 또한 기부쿠폰 유형에 따라 특정 프로젝트나 태그모금함에만 기부할 수 있으며, 마이페이지에서 사용 가능한 기부쿠폰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기부쿠폰은 카카오가 대신 기부하는 기부금으로 실제 결제하는 금액은 아닙니다.
모두의행동 참여를 통해 리워드를 받을 수 있는 스탬프 적립수와 제공되는 선물은 매달 달라져요. 그리고 스탬프를 적립할 수 있는 지수 란 무엇입니까? 기간이 있으니, 해당 기간 안에 인증을 꼭 ~ 참여해주세요.
또한, 마이페이지(바로가기) 를 통해 내가 받은 스탬프와 참여한 프로젝트 확인이 가능해요.
기본 스탬프는 프로젝트마다 1개씩만 지급되어, 하나의 프로젝트에 2번 이상 참여해도 1개만 지급됩니다.
프로젝트 스탬프는 참여할때 마다 기본 스탬프와는 별개로 지급되고, 해당 프로젝트의 스탬프 팝업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내가 작성한 행동은 프로젝트 내 행동보드 혹은 마이페이지에서 직접 삭제가 가능합니다.
또한 적립된 스탬프는 행동 삭제와 함께 회수되며, 리워드 지급 대상에 제외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카카오톡 내 '카카오같이가치' 채널에서 채널 차단을 하시면 메시지는 더 이상 전송되지 않습니다.
다만, 모금이나 행동에 참여한 경우 후속 콘텐츠나 공지가 정보성 메시지로 발송될 수 있습니다.
UN(국제연합)의 '세계행복지수'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UN에서는 지수 란 무엇입니까? 2012년부터, 1년에 한번씩, 150여개국을 대상으로 세계 행복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세계의 행복을 조사한다고 하지만 설문조사 지수 란 무엇입니까? 참여 인원은 3,000여 명 정도라고 하죠.
이 행복지수를 도출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카카오같이가치에서는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와 함께 안녕지수를 구현했습니다.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수시로 변화하는 주가지수처럼 지수 란 무엇입니까? 우리나라 국민들의 심리상태 변화추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고, 성별, 지역별, 연령별 통계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같이가치에 로그인하신 후 마이페이지 > 마음날씨 > 안녕지수 메뉴에서 내 안녕지수 결과를 언제든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녕지수는 삶의 만족도, 삶의 의미, 스트레스, 정서 밸런스 등 10가지 항목에 대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모든 문항과 결과 산정 방식은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의 가이드를 바탕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수 란 무엇입니까?
오늘 주식이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학교에서 시험을 본 수 학생들의 성적이 올랐나 내렸나를 확인하려면 평균점수를 내서 확인하면 되죠. 이와 마찬가지로 주식시장도 오늘의 성적을 확인하기 위해 만든 평균점수가 바로 '지수'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에는 대표적인 3개의 지수가 있죠. 바로 다우지수, 지수 란 무엇입니까? S&P500지수, 나스닥지수인데요. 각각 평균점수를 내는 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인 다우지수는 미국증시에 상장된 수천 개의 기업 중에서 대표종목 30개만 골라서 평균을 냅니다. 거창한 공식이 들어가는 게 아니라 30개 종목의 주가를 단순하게 다 더한 후 30으로 나눕니다. 때문에 30개의 기업으로 만든 다우지수가 수많은 기업의 주식가치를 대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죠.
S&P500지수는 다우지수의 30개를 훨씬 넘어선 500개의 기업을 평가합니다. 미국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지수인 S&P500지수는 공업주 400 종목, 운수주 20 종목, 공공주 40 종목, 금융주 40 종목의 그룹별 지수를 종합하여 평균을 냅니다.
나스닥은 미국의 장외 주식시장인데요. 이 나스닥에 등록되어 지수 란 무엇입니까? 있는 기업의 평균을 낸 것이 나스닥지수입니다. 미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벤처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위한 활동 기반을 두고 있으며 MS, 인텔, 구글 애플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코스닥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겠네요.지수 란 무엇입니까?
비트펑크 암호화폐 블록체인 이야기
S&P 500 지수란 무엇일까? 이는 미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500대 상장 기업의 시가 총액 가중 지수를 모아 놓은 것이다. 이는 미국 주식을 가장 적절하게 측정하는 지수로 알려져 있다. 미국 주식 시장을 벤치마킹하는 다른 지수로는 다우존스산업평균과 다우30, 러셀 2000 지수 등이 있다.
@ricktap
S&P 500 지수의 구성
기업의 시가 총액은 현 주식의 가격에 발행 주식 수를 곱해 계산된다. S&P 지수는 공개적으로 거래될 수 있는 주식만을 계산에 포함시키는데, 기업이 합병되거나 주식이 추가로 발행된 경우 이를 반영한다. 이처럼 S&P 500 지수는 미국의 500대 상장 기업의 시가 총액을 공개 주식 따라 계산한다.
S&P 500 시가 총액 계산 예시
S&P 지수는 전체 시가 총액으로 개별 시장을 나눠서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특정 주식이 전반적인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가늠해볼 수 있다. 다음은 애플의 지수를 계산하는 과정이다.
애플(Apple Inc.)은 2018년 4분기 4,801,589,000주의 가격을 $148.26로 보고했다.
애플의 시가 총액은 $ 7119억(4,801,589,000 * $148.2)이다.
S&P 500의 시가 총액은 $ 23조이며, 이는 해당 지수의 포함된 모든 주식의 시가 총액이다.
$ 7119억/ $ 23조를 계산하면 애플의 지수 가중치 3%를 얻을 수 있다.
S&P 500 지수와 다우존스평균 비교
S&P 500이 보통 기관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지수라면, 다우존스산업평균은 개인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지수다. 기관 투자자들은 S&P 500이 미국 주식 시장을 보다 적절히 반영한다고 생각하는데, 시가 총액이 큰 기업에 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반면, 다우존스평뀬은 주식 가격이 높은 기업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미국 시장에서는 시가 총액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가격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보다 일반적이다.
S&P 500 지수의 한계
S&P 지수처럼 시가 총액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지수의 한계는 주식이 과대 평가 되었을 때 드러난다. 만약,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식이 과대 평가되며 상승할 경우, 이는 전체 지수 비중을 부풀리게 된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