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기업의 주요 영업활동 등을 통해 얻는 수익을 말합니다.
상품 등의 판매나 용역의 제공으로 얻어진 수익입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용어해설 > 매출액]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고 얻은 총이익 중에서 일반 관리비와 판매비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순수하게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을 말합니다.
당기순이익
일정 기간에 발생한 순이익을 말합니다.
순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등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용어해설 > 당기순이익]
산업 내 위치
각 지표를 통해 기업의 산업 내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종업계 순위
제목 | 날짜 | 출처 |
---|---|---|
상세기업정보 / Brief Credit Report (유료) | Nice 평가정보 |
잡코리아 기업정보와 NICE평가정보 기업정보를 기반으로 기업 프로필을 제공합니다. 잘못된 정보는 신고해주시면 빠르게 전달하여 수정 검토하겠습니다.
게시된 정보는 무단으로 수집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재무현황 전체보기
계정명 | 2021.12.31 | 2020.12.31 | 2019.12.31 |
---|---|---|---|
유동자산 | - | - | - |
비 유동자산 | - | - | - | 외환 소셜 거래 앱
자산 합계 | 411,861,627,000 | 379,447,695,000 | 353,507,973,000 |
유동부채 | - | - | - |
비 유동부채 | - | - | - |
채무 합계 | 384,410,329,000 | 353,359,984,000 | 328,758,389,000 |
자본금 | 5,359,578,000 | 5,359,578,000 | 5,359,578,000 |
자본금 합계 | 27,451,298,000 | 26,087,711,000 | 24,749,584,000 |
매출 액 | 29,217,170,000 | 34,693,807,000 | 29,175,882,000 |
매출 전체 이익 | - | - | - |
영업 이익 | 3,260,559,000 | 2,740,087,000 | 2,600,168,000 |
비 영업 이익 | 104,123,000 | 129,906,000 | 580,822,000 |
비 영업 비용 | 158,807,000 | 343,020,000 | 352,558,000 |
법인세 차감 이전 이익 | 3,205,875,000 | 2,526,973,000 | 2,828,432,000 |
법인세 비용 | 825,745,000 | 660,350,000 | 744,015,000 |
당기순이익 | 2,380,130,000 | 1,866,623,000 | 2,084,417,000 |
전체 자산 증가 율 | 8.54% | 7.34% | 8.44% |
매출 액 증가 율 | -15.79% | 18.91% | 16.69% |
영업 이익 증가 율 | 18.99% | 5.38% | -3.40% |
순이익 증가 율 | 27.51% | -10.45% | 7.20% |
매출 액 순이익 률 | 8.15% | 5.38% | 7.14% |
영업 이익 율 | 11.16% | 7.90% | 8.91% |
ROE | - | - | - |
ROIC | - | - | - |
채무 비율 | 1,400.34% | 1,354.51% | 1,328.34% |
자기자본 비율 | 6.67% | 6.88% | 7.00% |
유보 율 | - | - | - |
당좌 비율 | - | - | - |
이자보상 배수 | - | - | - |
차입금의존도 | - | - | - |
매출 채권 회전율 | - | - | - |
재고 자산 회전율 | - | - | - |
전체 자본금 회전율 | 0.07% | 0.09% | 0.09% |
현금 영업 이익 | - | - | - |
경상활동 현금 흐름 | - | - | - |
투자활동 현금 흐름 | - | - | - |
상기 정보는 나이스 기업정보 제공받은 것으로, 본 자료를 이용한 판단 및 행위 결과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자료수정 및 정정문의|NICE평가정보㈜ (02-3771-1514, E. [email protected])
동종업계 순위
상기 정보는 나이스 기업정보 제공받은 것으로, 본 자료를 이용한 판단 및 행위 결과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자료수정 및 정정문의 | NICE평가정보㈜ (02-3771-1514, E. [email protected])
PC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마이페이지 - 결제내역 "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화면 하단에 보시면 "결제완료"라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시 계좌정보와 주민등록번호는 꼭 입력해야 하나요?
주민번호는 사용자 식별을 위해 필요합니다만 선택사항입니다.
최소 생년월일까지만 표시해주시면 됩니다.
계좌정보는 실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계좌와 동일하게 기재해주셔야 합니다.
계좌정보와 실제 결제창에서 진행되는 계좌가 다를 경우 후원내역 조회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모바일 계좌이체 결제가 진행되지 않습니다.
스마트폰에서는 모바일 결제를 진행하고 위해서는
1. 은행공동계좌이체 PG서비스를 스마트폰에 설치
2. 스마트폰에 공인인증서가 설치돼 있어야 합니다.
상기 1,2의 조건이 부합하면 모바일 결제진행시 이니시스 창에서 "은행공동계좌이체 PG앱 설치" 화면(이미설치한 경우) "다음"을 누르시면 외환 소셜 거래 앱 PG앱이 실행되면서 결제절차가 진행됩니다. 화면 지시에 따라서 주민번호, 계좌번호, 계좌비밀번호, 보안방식(보안카드/OTP)를 선택하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모바일(스마트폰)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하고 싶습니다.
모바일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방법은 간편결제 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화면에서 결제하기 - 결제수단- 신용카드에서 화면에서 PAYCO를 선택하시면 신한카드, 비씨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우리카드, SC카드로 결제가 진행됩니다.
모바일 결제 초기화면에서 PAYCO / L pay / SAMSUNG PAY / INI pay-간편결제 외에 현대 /비씨 / 신한 /롯데 /하나(외환)으로 선택하시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씨카드의 경우 선택하시면 "카드 재선택"이라는 화면이 나오는데 이는 승인되지 않은 카드이기 때문입니다.
비씨카드로 결제하시려면 PAYCO 를 선택하셔서 진행하셔야 합니다.
PC에서 우리카드로 결제하고 싶습니다.
PC에서 신용카드 결제하기를 선택하셔서 화면에서 PAYCO로 결제를 진행하신 뒤 카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단, PAYCO에 가입하셔야 하며 결제수단으로 우리카드를 등록하셔야 합니다.
일부 신용카드와 다양한 모바일 페이를 이용할 수 없는 이유는?
신용카드사별 또는 간편결제대행(***페이)사별로
1. 실물거래(쇼핑몰)가 아닌 자금을 펀딩(후원)하는 경우 금융사기 우려
2. 모금총액 50만원 이상의 결제건
3. 크라우드펀딩 종목 자체에 대한 결제대행 가맹계약 거부 등의 사유로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신용카드로 결제를 하려고 하는데 안되는 군요
우선, 신용카드가 본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에서 결제가 가능한지 확인하시고
주거래은행에서 카드를 발급받으실 때 전자지불결제서비스에 가입돼 있어야 합니다.
전자지불결제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 온라인에서 결제서비스가 진행되지 않습니다.
회원가입시 실명과 주민번호, 주소지 등 개인정보를 다 입력해야 하나요?
상상트리는 회원가입시 실명, 주민번호, 주소지, 이메일, 휴대폰번호 등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하나, 기부금처리를 위해서는 반드시 실명, 주민번호, 주소지 정보가 일치하여야 하고
하나, 기부과정에서 발생하는 결제오류, 내역확인 등을 위해 기부자에게 유선 또는 이메일로 연락하는 수단이 있어야 원활한 소통이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하나, 본 플랫폼에서 결제할 경우 서비스를 대행하는 PG사의 결제정보와 플랫폼상의 DB확인을 위해서는 개인정보가 필요합니다.
다만, 상기 개인정보를 제대로 입력하지 않거나 비실명, 허위 등으로 기록한 경우에는 재수정이 되지 않으며 기부금 처리, 결제오류상담 등 서비스제한을 감수하셔야 합니다.
기존에 이미 회원가입하신 경우입니다.
로그인 창에서 아이디/비밀번호 찾기를 시도해보시거나 062-381-1133(기획홍보실장)으로 전화하셔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아이디는 기부자님의 이메일 주소입니다.
(사)광주NGO시민재단 | 사업자등록번호 : 410-82-69686 |지정기부금단체(기획재정부 공고 제2016 – 51호) | 대표자 : 류한호 (우) 61475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245, 전일빌딩245(금남로1가 1-1) 4층 광주NGO센터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서정훈 TEL. 062) 381-1133 | FAX. 062) 외환 소셜 거래 앱 381-1135 | E-mail. [email protected]
※ 본 사이트는 광주광역시의 NGO지원센터 운영사업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Copyright ©2017. 광주NGO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웹스.
변화하는 핀테크 지불 · 송금 트렌드
핀테크 분야는 지불 분야에 가장 먼저 진입했다. 소비자는 모바일 앱, P2P 결제 및 외환 소셜 거래 앱 외환 소셜 거래 앱 암호 화폐를 송금하는 데 혁신적인 방법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이주 노동자가 자금 이체나 송금을 통해 가족에게 돈을 보내는 방법이 좋은 예이다. 월드 뱅크 그룹(World Bank Group)에 따르면 2018년 저소득/중소득 국가로의 전 세계 송금액은 총 5,290억 달러이며 이 수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당연히 핀테크 분야에서 이는 큰 기회이다. 모바일 자금 이체는 개도국에서 인기가 높다. 시민들은 특정 자금 이체 운영 업체나 지점으로 가는 대신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더 쉽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P2P 송금을 통해 사용자는 중앙 기관이 제어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통해 돈을 주고받을 수 있다. 각 거래는 한 사람이 통화를 판매하고 다른 사람이 통화를 구매하는 온라인 시장에서 발생한다. 암호 화폐는 송금을 보내고 받는 또 다른 혁신적인 방법이다. 비싸지 않으며 발신자와 수신자는 익명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디지털 지갑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른 흥미로운 지불 트렌드는 소셜 미디어와 나노페이먼트이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사용자는 P2P 연결을 통해 돈을 주고받을 수 있지만 현재 해당국 내의 결제만 가능하다. 나노페이먼트는 적은 비용으로 온라인 콘텐츠로 수익을 창출하는 데 사용된다.
전통적인 송금
비효율성이 어디에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우선 전통적인 송금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는 것이 유용하다. 일반적인 트랜잭션은 세 단계로 수행된다. 먼저 고객은 인터넷, 전화 또는 이메일을 통해 송금 에이전트를 통해 송금한다. 이 송금 에이전트는 운영팀에 송금을 수령인의 국가로 보내도록 지시하고 수취인은 현지의 지불 에이전트로부터 자금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송금 에이전트와 지불 에이전트 간의 결제는 실시간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에이전트는 송금 거래를 정기적으로 상업 은행을 통해 정산한다.
송금 에이전트는 송금 거래에 대한 수수료를 청구하고, 송금인은 수취인의 현지 통화로 송금 지불하기 위해 환전 수수료도 지불한다. 소액 송금 사업자는 또한 환율의 예기치 않은 움직임을 커버하기 위해 송금을 받는 수취인에게 수수료를 요구한다. 이 과정에서 송금 에이전트는 자금을 수취인에게 전달하기 전에 하룻밤 동안 운용 이자 수익도 얻는다.
송금하는 전통적인 방법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우편환(Money Order), 수표 및 어음이 그것이다. 국제적으로 송금을 보내는 가장 전통적이고 안전한 일반적인 방법은 여전히 우편환, 수표 및 어음을 사용하는 것이다. 국제 우편환은 가장 안전하고 편리한 방법이다. 수취인은 다양한 위치에서 현금으로 바꾸거나 은행계좌에 직접 입금할 수 있다.
전신 송금에는 SWIFT(World 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 메시지를 통해 돈을 처리하기로 동의한 금융기관이 필요하다. 송금 거래는 두 금융기관 간에 이루어지므로 송금인과 수취인 모두 수수료를 지불해야 할 수 있다. 돈은 MTO(Money Transfer Operator)를 통해 한 은행계좌에서 다른 계좌로 이동한다. MTO는 송금인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한 후 수취 금융기관으로 전신 송금 메시지를 트리거한다. 송금 절차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송금인이 수취인의 이름, 주소, 계좌 번호 및 은행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은행 간 거래 외에도 전신 송금은 머니그램(MoneyGram) 또는 웨스턴 유니언(Western Union)에서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현금 송금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외환 소셜 거래 앱 방법을 사용하면 송금 회사는 은행 송금 프로세스에 자체 자금을 사용한다. 개인은 회사 지사 중 한 곳으로 가서 회사 대표에게 다른 사람에게 보내려는 현금을 제공한다. 은행 송금 수수료는 송금 서비스에 따라 다르다. 빠른 서비스를 위해 송금 회사는 일반적으로 더 높은 수수료를 청구한다.
돈을 송금하는 또 다른 방법은 금융기관의 거래를 일괄 처리하는 네트워크인 ACH(Automated Clearing House)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지불을 받고 청산하며 이를 금융기관에 알리는 중개자이다. 은행은 전 세계 어디로든지 송금을 원하는 고객에게 ACH 송금을 제공한다. 일반 전신 송금과 달리 ACH 송금은 다양한 금융기관으로 구성된 금융 허브인 자체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NACHA(National Automated Clearing House Association)의 경우 미국의 모든 금융기관에 대한 ACH 송금을 관리한다. SEPA(Single Euro Payments Area)는 유럽에서 NACHA에 대응되는 기관이다.
ACH 송금에서 송금인은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지불한다. 은행은 은행 업무일 내에 주기적으로 다른 거래와 함께 묶어서 보낸다. 그런 다음 ACH 운영자는 거래 묶음을 정렬하고 이를 수취 금융기관에 보낸 다음, 수취 은행은 송금인이 송금한 금액을 받는다. ACH 송금은 전신 송금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비용이 저렴하다.
온라인 송금
온라인 송금은 인터넷을 통해 수행되는 송금이며 송금인은 송금 사업자나 은행을 방문할 필요가 없다. 현재 대부분의 송금 사업자와 은행은 온라인 자금 이체 서비스를 허용한다.
이러한 유형의 자금 이체는 안전하고 편리하며 빠르다. 많은 은행 고객들은 은행계좌에 온라인으로 액세스할 수 있으며, 수취인이 은행계좌를 가지고 있는 한 전 세계 누구에게나 쉽게 송금할 수 있다. 송금의 백엔드 프로세스는 ACH 송금 또는 전신 송금일 수 있다.
반면 온라인 송금 회사는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을 만들 수 있는 웹 사이트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자금 이체를 시작하기 위해 직불카드, 신용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회사에 제공해야 한다. 또한 수취인 역시 은행계좌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줌(Xoom) 같은 회사는 사용자의 은행계좌에서 수수료를 징수한다.
페이팔은 이메일 주소를 고유한 ID로 사용하여 송금 프로세스를 혁신했다. 페이팔 사용자는 신용카드 또는 은행계좌에서 자신의 페이팔 계정으로 지불하여 송금할 수 있다. 돈이 페이팔 네트워크에 들어오면 페이팔 사용자 간 거래는 즉시 발생한다. 그러나 수취인은 페이팔 계정에서 은행계좌 또는 페이팔 신용카드로 돈을 인출해야 한다.
송금 시장 규모와 동향
2015년 송금액은 6,460억불에 달했다. 세계 은행(World Bank)에 따르면 송금은 개발 도상국에 제공되는 공식 개발 지원금보다 약 300%가량 많고 민간 자본 흐름보다 안정적이다. 또한 송금은 이러한 국가에 대한 포트폴리오 자본 및 민간 자본 유입 이상의 가치가 있다. 이미 10여 개 이상의 개발 도상국에서 송금 규모는 국가의 외환 보유고보다 크며, 20여 개 이상의 개발 도상국 준비금의 50% 이상의 규모가 되었다.
소비자 수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스타트업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스타트업들이 시장 점유율을 흡수할 수 있는 큰 기회가 있기 때문에 은행들이 곧 어려운 시기에 직면할 수 있다. P2P 지불은 클라우드 기술을 사용하여 수분 이내에 의도한 수취자에게 돈을 보낼 수 있다. 핀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송금을 보내고 받는 프로세스에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첫 번째 주목할 만한 트렌드는 인프라 확장과 관련이 있다. ACH 및 카드 지불 체계에는 절차, 정책 및 표준이 이미 확립되어 있으므로 기회가 외환 소셜 거래 앱 된다면 당연히 여기에 투자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두 번째 트렌드는 결제 수단과 현재 인프라를 결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는 기존의 결제 시스템이 있다. 혁신적인 제품 및 서비스와 함께 기존의 인프라를 사용하면 프로세스를 완전히 다시 정립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송금 국가와 수령 국가의 일부 금융기관은 이주 노동자 가족이 ATM에서 송금을 인출하거나 지불에 사용할 수 있는 카드 기반 제품을 만들었다. 카드 인프라의 사용은 현금보다 저렴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이다. 그러나 일부 규제기관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사용 목적을 가지는 카드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외환 소셜 거래 앱
세 번째 트렌드는 국내 및 국제 결제 메커니즘을 결합하는 것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시민이 현금 대신 전자 지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일부는 이 유형의 지불을 사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자금을 이체하기도 한다. 비은행 및 은행은 해당 국가의 규제 기관과의 계약에 따라 전자 화폐를 외환 소셜 거래 앱 발행한다. 결제 서비스 공급자 및 국제 송금 사업자는 기존 전자 지불 구조를 사용하여 해당 국가의 특정 수신자에게 자금을 보낼 수 있다.
네 번째 트렌드는 현재 결제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는 새로운 플레이어가 생기고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회사들이 송금 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했으며 기존 네트워크의 잠재력을 높이고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회사 중 일부는 금융기관이 소비자 기반의 소유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국경 간 서비스를 제공하며, 효율적이고 투명한 해외 결제 상품을 제공한다. 그들은 국내 및 국제 송금을 허용하는 허브를 만들었다. 페이팔과 같은 온라인 송금 서비스 사업자는 송금인이 은행계좌,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다섯 번째 트렌드는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 송금 회사에 관한 것이다. 소매점과 수입 유통 업체도 송금 회사가 될 수 있다. 일부 온라인 회사는 현재의 결제 인프라를 통해 고객에게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환전 정보를 제공하는 비즈니스도 송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이 은행계좌에서 인출하고 수취인의 은행계좌로 입금할 수 있도록 온라인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송금
이제는 대부분 휴대폰을 사용하여 송금하는 것을 지원한다. 스마트 폰을 외환 소셜 거래 앱 이용하면 농촌 지역에서도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와 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송금할 수도 있다. 대규모 은행 및 송금 운영 업체는 고객에게 더 쉽게 송금할 수 있도록 모바일 앱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국제적으로도 모바일 앱은 편리하고 안전하며 빠른 송금 수단이 되었다. 2015년에는 모바일 기술을 사용한 국제 송금이 전년 대비 52%나 증가했다. 같은 해에 미국 이민자들은 해외 가족들에게 약 6천 억 달러를 보냈으며, 그 규모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암호 화폐 거래
디지털 통화로서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 화폐 거래는 은행을 거칠 필요가 외환 소셜 거래 앱 없다. 그들은 높은 수수료 부담이 없으며 거래 당사자도 익명으로 유지된다. 디지털 통화 또는 암호 화폐는 사용자의 컴퓨터나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지만, 이 방법의 한 가지 문제점은 환율 변동의 위험이 있으며, 거래소 등에 대한 해킹이나 사기와 같은 문제의 경우 은행이 제공하는 보호 기능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및 암호 화폐 통화가 성숙함에 따라 이러한 문제에 대한 보험도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송금의 주요 모델은 순수 암호 화폐 간 송금 모델, 암호 화폐에서 법정 화폐로의 송금 모델 및 법정 화폐 간 송금 모델이다. 순수한 암호 화폐 간 모델에서 암호 화폐는 사람 간에 직접 전송된다. 암호화 화폐에서 법정 화폐로의 송금 모델에서는 암호 화폐 사업자가 법정 화폐로의 변환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송금하는 국가에서 암호화 화폐에 대한 접근이 쉽다는 것을 가정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선진국의 경우이며,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모델이다. 세 번째 모델에서는 송금인과 수취인 모두 물리적인 법정 통화를 사용하지만 송금 사업자는 전송을 위해 암호 화폐를 사용한다.
P2P 지불
전통적인 외환 거래에서 금융사는 온라인상에서 개인으로부터 특정 통화를 판매하거나 구매하여 그로부터 돈을 벌 수 있다. 반면 P2P 거래에서 개인은 시장에서 다른 개인과 통화를 직접 거래하는 대신, 플랫폼에 일정한 수수료를 지불한다. P2P 송금 회사는 거의 완벽에 가까운 투명성을 제공한다. 고객은 P2P 송금 회사의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전통적인 외환 거래와 비교하여 낮은 환율과 적은 고정 수수료 혜택을 받는다. 쉽게 플랫폼에 등록하고, 사용자는 얼마든지 돈을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플랫폼은 안전하고 사용하기 쉽지만, P2P 지불에도 단점이 있다. 첫째, 이들은 비교적 최근의 신생 서비스이기 때문에 고객이 불안할 수 있다. 둘째, 일부 P2P 환전 회사는 사용자가 요율을 고정하지 않는 한 가격 변동을 허용한다. 전통적인 환전소는 계약일에 가격을 고정시킨다. 셋째, 일부 P2P 회사는 여전히 송금 수수료를 청구하는 경우도 있다.
주요 송금 및 지불 핀테크 업체로는 트랜스퍼 와이즈(TransferWise), 벤모(Venmo), 줌(Xoom), 월드레밋(WorldRemit), 아지모(Azimo), 커런시 클라우드(Currency Cloud), 레미틀리(Remitly), 리플(Ripple), 머니그램(MoneyGram) 등이 있다.
소셜 미디어 기반 송금
소셜 미디어는 친구들과 연결하고 이야기와 사진을 공유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금융 기술의 도래와 함께 이제 전 세계 사람들에게 돈을 보낼 수도 있다. 송금 핀테크 회사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전 세계에 보다 저렴하고 빠르게 송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챗(WeChat), 트위터 및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를 통해 송금을 보내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앱이 있다. 현재 페이스북은 메신저 앱을 통해 P2P 결제에 대한 요금을 청구하지 않는다. 반면, 인기 있는 중국 소셜 미디어 사이트인 위챗은 송금에 대해 0.1%의 수수료를 청구한다. 페이스북과 위챗은 같은 국가 내의 사용자 간 결제를 허용하지만, 트랜스퍼와이즈는 국제 지불을 할 수 있도록 페이스북에 챗봇을 도입했다. 대부분의 경우, 핀테크 회사도 거래에 대한 수수료를 청구하며, 수취인은 현금 수령 지점에서 돈을 받거나 은행계좌로 송금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기반 주요 송금 핀테크 업체로는 왓츠앱(WhatsApp), 페이스북, 스냅챗(누메촘ㅅ), 위챗, 바이버(Viber) 등이 있다.
나노페이먼트
영화 및 음악 산업의 경우 사람들이 무료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어려웠다. 페이스북 및 기타 소셜 미디어 사이트 용으로 제작된 앱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오늘날, 사람들이 이러한 서비스에 대해 소액을 지불할 수 있는 수단이 있다.
애플의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다양한 앱에 대해 앱 구입자들은 $0.99 ~ $4.99를 기꺼이 지불했고, 이렇게 소액의 돈을 지불하는 사람들로 인해 앱스토어가 성공했다. 소셜 네트워크는 이러한 성공을 재현하기를 원하므로, 안정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결제 시스템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미성년 사용자는 신용카드에 액세스 할수 없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어린이가 편의점 같은 소매점에서 “QQ 코인”을 구매하거나 전화 요금으로 청구함으로써 텐센트(Tencent) 계정에 돈을 추가하게 했다.
앞으로 지구촌 내에서 송금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또한 핀테크 업계는 이민자들이 돈을 집으로 보내는 저렴한 방법을 더 많이 찾아낼 것이며,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신뢰 수준도 따라서 높아질 것이다. 개발 도상국, 특히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 폰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지갑도 이러한 거래를 수행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다.
외환 소셜 거래 앱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박진영 기자)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은 은행권에서 최초로 출시한 부동산금융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다. ⓒKB국민은행
KB국민은행, 종합부동산플랫폼 누적 다운로드 200만 돌파
KB국민은행은 10일, 종합부동산플랫폼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의 누적 다운로드 수가 200만 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은 은행권에서 최초로 출시한 부동산금융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다. 매물 검색부터 시세 조회, 대출한도 조회 등을 한 번에 이용할 수 있는 부동산 정보와 금융을 결합한 서비스다.
내집 마련을 위해 고민하는 고객에게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에 어려움을 겪는 회원 중개업소에게 무료 매물 등록을 지원하는 개방형 부동산플랫폼 모델이다.
지난 2017년 5월 첫 선을 보인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은 론칭 1년 5개월 만에 100만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2019년 1월에는 UX/UI를 개선하고 부동산 정보 콘텐츠를 신설하는 등 대대적인 개편 작업을 단행했다. 이후 사용자가 꾸준히 증가해 지난 5일 20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다.
하나은행은 손님과 직원의 안전을 위해 대구·경북지역 전 영업점 창구에 아크릴파티션을 설치 운영하여 코로나19 확산 제어에 동참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소재한 수성동지점 창구에서 아크릴파티션을 사이에 두고 손님과 직원이 상담하고 있다. ⓒ하나은행
하나은행,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응원의 빛 밝혀
하나은행은 코로나19 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 응원하기 위해 서울시 중구 을지로 본점과 홍대 H-PULSE 랜드마크 건물에 ‘대국민 응원의 빛’을 외환 소셜 거래 앱 10일 밝혔다.
6일부터 하나은행 을지로 본점과 홍대 정문 앞 밀레니엄-Z세대의 열린 문화공간으로 주목 받는 H-PULSE 건물 외벽에는 미디어 파사드 기법의 '힘내라 대한민국' 응원 메시지가 매일 오후 6시부터 9시까지 불을 밝히고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고통 받는 국민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대한민국 응원의 빛을 밝혔다”며 “위기 극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 대한민국 의료진, 공무원들에게 힘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하나은행은 손님과 직원의 안전을 위해 대구·경북지역 전 영업점 창구에 아크릴파티션을 설치 운영하여 코로나19 확산 제어에 동참하고 있다.
아울러, 하나은행은 전 영업점에 '코로나19 금융지원 전담창구'를 운영중으로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입은 중견ㆍ중소기업·개인사업자에 대해 4000억원 한도내에서 업체당 최대 5억원까지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기존 대출의 만기 및 분할상환 도래 시 원금상환 없이 최장 1년까지 상환을 유예하며, 최대 1.3%P의 금리 감면도 지원하고 있다.
또한 피해가 극심한 대구·경북지역의 비대면 채널수수료를 면제하여 손님의 금융 편의를 제공 중으로 ATM기 등 자동화 기기에서의 이체·출금 수수료와 개인·기업의 인터넷, 모바일, 폰뱅킹 등 전체 비대면 채널의 이체 수수료를 면제하고 있다.
신한은행,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금융지원 목적 외화 소셜 본드 발행
신한은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 금융지원을 위해 미화 5천만불 규모의 외화 소셜 본드를 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코로나19 피해지원 채권’(Covid-19 Impact Alleviation Bond)은 국내 최초로 자금 용도를 코로나19 관련 피해기업 지원 및 확산 방지 활동 지원으로 특정한 외환 소셜 거래 앱 소셜 본드이다. 만기는 3년, 금리는 USD 3개월 Libor에 0.60%를 가산한 수준이며 HSBC가 주간사로 참여한다.
이번 채권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은 지난달 25일부터 시행 중인 신한은행의 코로나19 관련 고객 종합지원대책(자금 지원 규모 5천억원)의 재원으로 편입되어 자금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금융지원과 코로나19 확산 방지 활동을 위해 활용될 예정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신한은행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원화 및 외화 그린본드, 외화 지속가능발전목표 채권에 이어 네 번째 ESG 채권을 발행한다”며 “앞으로도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피해 극복을 위해 은행이 할 수 있는 지원 방안들을 최대한 신속하게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NH농협은행, 올원뱅크 상품 가입 이벤트 실시
NH농협은행은 3월 9일부터 4월 17일까지 모바일 플랫폼인 올원뱅크 앱에서 올원 상품(올원비상금대출, 올원해봄적금, 올원캔디예금)에 가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현금 1백만원 등 푸짐한 경품을 제공하는 '황금버튼으로 부자되기 프로젝트'를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올원뱅크에 입출금계좌를 등록한 고객 중 올원 상품에 가입하고 이벤트에 응모한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총 61명에게 1등 현금 1백만원(1명), 2등 현금 5십만원(10명), 3등 현금 5만원(50명)을 제공한다.
또한, 올원뱅크 이벤트 페이지와 올원 상품 소개 페이지에서 황금버튼을 눌러 SNS채널(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링크복사)에 공유한 고객은 이벤트에 자동 응모되며, 추첨을 통해 총 800명에게 현금 1만원을 올원뱅크에 등록되어 있는 입출금 통장으로 입금한다.
농협은행 이종찬 올원뱅크CELL리더는 “올원뱅크를 애용해주시는 고객의 성원에 보답하고자 상품가입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고객에게 사랑받는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고, 올원뱅크만의 차별화된 서비스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SC제일은행, ‘배달의민족’과 할인쿠폰 증정 공동 이벤트 실시
SC제일은행은 음식배달 앱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과 오는 30일까지 공동 이벤트 2종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SC제일은행 첫 거래 고객이 오는 26일까지 모바일뱅킹 앱에서 입출금통장과 인터넷뱅킹에 가입하면 배달의민족 앱에서 쓸 수 있는 할인쿠폰을 받을 수 있다. 이벤트 참여를 위해서는 반드시 SC제일은행 모바일뱅킹 내 이벤트 페이지에서 응모해야 한다. 할인쿠폰은 선착순으로 5,000명에게 1인당 6,000원 어치(3,000원권 2매) 제공된다.
이와 함께 오는 27~30일 배달의민족 앱에서 SC제일은행 계좌를 배민페이 결제계좌로 등록하고 결제하는 고객들은 모두 배달의민족 할인쿠폰 5,000원권을 받을 수 있다. SC제일은행의 첫 거래 고객과 기존 거래 고객 모두 참여할 수 있다.
우리은행, 코로나19 긴급자금 지원 체계 구축
우리은행은 ‘코로나19’로 경영애로를 겪고 있는 대구·경북지역 개인사업자 및 중소기업에 대한 원활한 금융지원을 위해 특별전담심사반을 운영한다고 10일 밝혔다.
특별전담심사반은 대구·경북지역 코로나19 우선지원 사업자를 선정하고, 해당 기업의 대출 신청건에 대해 2영업일 이내에 심사 결과를 통보하는‘신속 심사 지원’ 제도를 실시한다. 우리은행은 대구·경북 소재 개인사업자 6,000여곳, 중소법인 1,100여곳을 해당 사업자로 선정했다.
우리은행은 대구·경북 소재 영업점장에게 한시적으로 추가대출 전결권을 부여한다. 특히, 직접적인 매출감소가 발생하고 있는 요식업, 숙박업 등의 경우 빠르게 대출 지원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며, 담당 영업점장과 본부심사역이 함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방문해 금융 컨설팅을 지원한다.
또한, 코로나19 확진판정이나 자가격리 등으로 영업점 방문이 어려운 개인사업자 및 개인고객은 영업점과의 전화 통화로 대출연장이 가능하다. 법인사업자의 경우 직무대행자에 의한 대출연장도 가능하다. 피해복구 기간 등을 감안해 무상환연장과 분할상환유예 지원도 함께 이루어질 예정이며, 더불어 코로나19 확진판정 등으로 불가피하게 대출이자를 연체한 고객의 경우에는 연체정보 삭제 및 연체이자 감면도 가능하다.
외환 소셜 거래 앱
플라스틱이 어떻게 무역장벽으로…예상 시나리오는
“플라스틱 협약 여파, 중화학업계 사업구조 전면 수정해야”[인터뷰]
제2의 무역장벽, ‘플라스틱세’ 다가오는데…이제 팔 걷는 한국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60% 육박하는 EU..국내는 아직 걸음마
㈜에스앤피랩, 마이데이터 활용 앱 ‘마이디’ 전면 리뉴얼
등록 2022-03-14 오후 2:26:31
수정 2022-03-14 오후 3:11:36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주관 ‘2022년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에 선정된 ㈜에스앤피랩은 2020년 출시한 마이데이터 기반 데이터 관리 앱 ‘마이디(my:D)’를 새로운 기능 추가해 리뉴얼 오픈한다고 14일 밝혔다.
|
‘마이디’의 이번 리뉴얼은 자신의 흩어진 금융, 의료 데이터를 앱 속에서 한눈에 볼 수 있는 기존 서비스에 기업과 개인 간 데이터 직거래 및 타겟 광고 기능을 추가하고, 이를 통해 개인이 포인트를 얻는 ‘개인 주권형 데이터 거래’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이터 활용 혁신에 초점을 뒀다.
데이터 거래는 기업이 원하는 개인데이터를 제공하면 포인트를 얻는 시스템으로 포인트는 앱 내 포인트 샵(KT 기프티쇼 비즈)에서 여러 상품과 교환할 수 있고, 향후 일정금액 이상 누적금을 현금으로 전환하는 서비스도 제공될 예정이다. 거래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익명기반으로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 요소가 없고, 앱 내에서 기간 내에 데이터 거래 철회 버튼을 누르면 언제든 거래 취소가 가능하여 기업이 데이터를 더 이상 열람할 수 없게 된다.
에스앤피랩은 리뉴얼 오픈 기념으로 새로워진 ‘마이디’의 기능을 보다 많은 사람에게 제공하고자 마이디 리뉴얼 오픈 이벤트를 진행한다. 3월 14일부터 30일까지 마이디를 설치한 사용자 1만 명에게 커피 쿠폰을 지급한다. 리뉴얼된 마이디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IOS 앱스토어 다운로드는 4월 중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에스앤피랩 관계자는 “전면 리뉴얼한 마이디를 통해 소비자의 프라이버시 보장 기반 데이터 거래 서비스를 개인과 기업 모두 보다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한편 ㈜에스앤피랩은 (재)서울테크노파크와 ‘2022년 범부처연계형 기술사업화 이어달리기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범부처연계형 기술사업화 이어달리기 사업은 신제품 출시 등을 통해 국내외 신시장 개척이 가능한 사업화 유망 기술 보유 중소 중견기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