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 영웅문S 주식 자동매도와 스탑로스
얼마 전에 알았는데요. 키움증권 영웅문 S 주식 자동 매매도 되고, 스탑로스도 되더군요.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주식 자동 매매 기능과 스탑로스 기능이 없어 매우 불편했었습니다. 최근까지도 집에 있는 컴퓨터를 자동 부팅 되게 설정해 놓고 구글의 크롬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하여 주식 자동 매매 설정을 확인하고 스탑로스 설정을 했었습니다. 쬐만한 스마트폰 화면으로 컴퓨터를 원격으로 접속하여 제어하느라 정말 힘들었는데요. 이젠 맘 편히 주식 스톱 제한 주문 거래할 수 있게 되었네요. 이걸 왜 이제야 할게 되었는지 에혀~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주식 자동 매도와 스탑 로스(stop loss)를 설명하자면, hts에는 주식 자동 매매 기능이 있습니다. 영웅문에서는 0621 주식 스탑로스, 0311 주식 스탑 주문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주식을 매수하고 매도할 수 있습니다. 주식을 얼마에 구입하고, 보유한 주식을 얼마에 팔아라라고 설정하면 hts가 설정한 값을 가지고 자동으로 매매합니다. 매수/매도 가격 등을 잘 설정해 놓으면 hts가 알아서 이익을 내는 것입니다. 주식 자동 매도 설정에 손절 단가를 설정해 놓으면 자동으로 손절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영웅문에서 0622 선물 옵션 스탑로스, 0522 선물옵션 스탑주문 등의 선물 옵션 자동 매매 기능도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mts인 영웅문S에는 주식 자동매도와 스탑로스 기능이 없었습니다. 몇 년 전까지는 말입니다. 언제 기능이 추가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영웅문 S에 주식 자동 매매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주식 자동 매매 기능에 스탑로스 옵션도 있기에 스톱 제한 주문 스마트폰으로도 주식을 자동으로 매매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고, 보유 종목의 손절 가격 또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영웅문S 자동 감시 주문
하단 좌측의 영웅문S를 누릅니다. 메뉴가 열리면 주문 하위의 자동 감시 주문으로 진입합니다.
주문 메뉴에 보면 상단 우측에 자동 감시 주문이 있습니다. 이 자동 감시 주문으로 진입하여도 됩니다.
주식 자동 감시 주문 사전 이용 동의가 열리면 내용을 확인한 후 동의 버튼을 꾸욱 눌러줍니다. 참고로 이용 동의 내용 보기 버튼을 누르면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좌 비밀 번호 저장 화면이 열리면 주식 계좌 비밀 번호를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계좌 비밀 번호를 저장하면 자동 매매 기능이 활성됩니다. 보는 것과 같이 자동 매매는 자동 매도와 자동 매수로 구분됩니다. 자동 주문 매도 설정에서는 매도 설정만 할 수 있습니다. 자동 매수 설정을 하고 싶다면 자동 매수 감시로 진입하면 됩니다.
자동 매도/매수 화면 상단 좌측의 유의 사항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유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독 및 숙지 후 자동 매도 기능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자동 매도 및 스탑로스 설정
자동 매도 화면 상단 우측의 매도 조건 추가 버튼을 누르면 계좌 잔고가 나타납니다. 잔고에서 주식 종목을 선택하면 감시 조건 설정 화면이 열립니다. 간편 설정 자동 주문 매도 설정이 열릴 것인데요. 감시 조건 설정 화면 상단 우측 간편 설정 버튼을 누르면 일반 설정으로 전환 됩니다.
자동 주문 매도 설정에서는 3가지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익 실현 옵션만 사용하면 자동 매매(매도/매수)가 됩니다. 이익 보존 옵션은 목표 가격까지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미리 설정해 놓은 가격에 자동으로 매도 주문을 냅니다. 예로 주당 1,000원 짜리 주식을 1,스톱 제한 주문 100원에 이익 실현가로 설정하고, 이익 보존 가격을 1,050원으로 설정하면 1080원까지 올라갔다 하락하더라도 1,050원에 자동으로 매도 주문을 냅니다. 50원의 이익을 보존하는 것이죠.
손실 제한 옵션은 스탑로스입니다. 스탑로스는 손절 기능입니다. 손실 제한 옵션(스탑로스)를 이용하면 주식이 하락할 때 추가 하락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설정한 단가까지 하락하면 자동으로 매도 주문을 내어 손절합니다. 예로 주당 1,000원 짜리 주식을 손실 제한 가격을 950원으로 설정하면 해당 가격 도달 시 자동으로 매도 주문을 냅니다. -5%에서 손절하게 되는 것이죠.
이익 실현 단가, 이익 보존 단가, 손실 제한 단가를 설정한 후 매도 조건 저장을 누른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설정한 매도/매수 설정 확인 창이 열립니다. 자동 매매는 최대 90일까지만 유효합니다. 최소 세 달에 한 번은 자동 매매 설정을 다시 해주어야 합니다.
참고로 지금과 같은 하락장에서는 손실 제한(스탑로스) 옵션은 주의해서 설정해야 합니다. 아무 이유 스톱 제한 주문 없이 쭉 밀렸을 때도 홀랑 매도 주문을 내버리니까요.
매도 조건 설정확인 창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해동 주식 자동 매매 설정이 저장됩니다. 이 때 원한다면 조건 만족 시 동일 종목 미체결 취소 후 감시 주문 실행 옵션을 체크하여도 됩니다.
주식 자동 매도
이익 실현 옵션만 이용하여 설정을 하면 위와 같이 해당 주식의 자동 매도 설정이 됩니다. 설정한 단가에 도달했을 때 설정한 가격으로 자동 매도 주문을 냅니다. 주문 가격을 현재가로 설정하면 현재가로 매도 주문을 냅니다.
자동 매도 설정을 하였더라도 자동으로 주식을 매매하지 않습니다. 자동 매도 설정한 후에는 반드시 목록에서 중지 버튼을 한번 눌러 감시중으로 활성 시켜줘야만 자동 매매가 시작됩니다. 최소 하루에 한 번 장 시작할 때 확인한 후 감시가 중지 상태라면 감시 중으로 활성 시켜주어야 합니다.
웹법사의 마법서재 블로그의 애드센스 수익금을 1년 넘게 모았는데요. 참 그렇더군요. 금액이 큰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작은 금액도 아니고. 6월 스톱 제한 주문 말에 보니 국내 증시가 바닥 찍고 반등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주식으로 좀 불려볼 요량으로 50 : 50 비율로 돈을 추가하여 증권 연계 계좌를 하나 개설해 주었습니다. 어찌 들어가자 마자 다시 꼬구라지는 것인지 에혀~ 위의 잔고 보시면 아시겠지만 암울합니다~ 비중 50%인 제주항공이 추락하기 일보 직전이네요. 뭐 언젠가는 좋아지겠죠~ 모두 성투하십쇼. 끝~
[폴리뉴스 한수린 기자] 신한금융투자는 증권업계 최초로 미국 주식 ‘Stop-limit 주문’ 서비스를 시작하고, 기념 이벤트도 진행한다고 30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특정 가격에 도달할 때 매수/매도 주문이 실행되는 서비스다. 가령 현재가 100달러 주식을 보유한 고객이 90달러까지 하락할 때 스톱 제한 주문 매도하고 싶은 경우, 스탑 매도 주문을 감지가 90달러로 미리 설정하면, 주가가 90달러로 하락한 경우 매도 주문이 실행된다. 상/하한가 제한이 없는 미국시장에서 리스크를 스톱 제한 주문 관리하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미국 현지에서 사용되는 기능이다.
주문 방식은 기존 주문과 같다. 예약 주문도 가능하며, 장중에는 주문 유형을 ‘Stop-limit’ 주문으로 설정을 변경하면 된다. 유의할 점은 ‘매도 스탑’ 주문 시 감지가는 현재가보다 낮게, ‘매수 스탑’은 현재가보다 높아야 하니, 실시간 시세를 면밀히 확인해야 한다.
미국 주식 실시간 시세 확인, 주문 등 자세한 내용은 신한금융투자 PB 또는 24시간 365일 운영되는 나이트데스크를 통해 가능하다.
신한금융투자는 서비스 오픈을 기념한 ‘해외주식 스탑 주문 넣고 꿀잠 자자’ 이벤트도 다음 달 29일까지 진행한다. ‘스탑 주문’을 넣은 고객을 대상으로 주문 후기 작성자, 15회 이상 ‘스탑 주문’ 사용 고객 중 추첨으로 TEMPER 베개를 증정한다. 또 ‘스탑 주문’을 넣은 고객 중 선착순 100명에게는 ‘꿀스틱’을 제공한다.
신한금융투자 윤병민 GBK사업부장은 “미국 주식시장은 한국 시간으로는 야간에 열리기에 급격한 주가 등락에 대응하기가 어려웠으나, ‘스탑 주문’으로 변동 리스크를 줄이게 되었다.”며, “특히 이번 ‘스탑 주문’ 기능은 고객의 요청으로 제작돼 의미 있으며, 앞으로도 고객의 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는 등 고객과 상생하는 금융투자회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function getUrlString(getStr) < var currentUrl = window.location.search.substring(1); var words = currentUrl.split('&'); for (var i = 0; i
바이낸스 스탑 리밋(Stop-Limit) 거래방법 및 개념
바이낸스에 사용할 수 있는 주문 방식은 세가지가 있습니다. 트레이더가 희망하는 가격에 거래를 요청하는 지정가 주문, 현재 시세대로 거래를 요청하는 시장가 주문 그리고 스탑 리밋 주문 인데요. 오늘은 이 세가지 중 스탑 리밋 주문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금 헷갈리시죠? 스탑 리밋 주문을 하시려면 사전에 스탑가와 리밋가를 설정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코인 가격이 사전에 설정한 스탑가에 도달하면, 리밋가로 주문을 요청하는 방식이죠. 주문과 동시에 주문내역은 오더북 리스트에 오르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매도를 하고자 할 경우 리밋가를 스탑가 보다 높게 설정을 합니다. 그래야 스탑가에 도달 했을 때 그 이상으로 주문을 요청할 수 있기 때문이죠. 매수를 하고자 할 경우 트레이더 입장에서는 조금 더 저렴한 가격에 거래를 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리밋가를 더 낮게 잡게 되는 것이죠.
위의 차트는 하락세를 이어가던 BNB(바이낸스 코인)가 지지선에 도달한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반등을 예상할 수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 BNB 코인 5개를 0.0012761BTC에 매수를 해 보겠습니다.
지지선에 도달한 가격은 일반적으로 반등할 것이라는 추측이 우세하지만 실제로 더 하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우리는 손실을 막기 우해 스탑리밋 주문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0.0012761 BTC에 구입한 BNB가 0.1112700 BTC로 떨어지면 코인을 판매 하겠다는 주문을 넣는 것이죠. 이 방식을 통해 차트를 항시 모니터링 하지 않고도 지정가격이 되면 매도를 진행할 수 있으며,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판매 버튼을 클릭하면 확인창이 나옵니다. 간혹 화폐단위가 생소하고 착오로 인해 오타를 기입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다시한번 꼼꼼히 체크하시기 바라며, 주문제출(Placd Order)을 클릭하겠습니다.
이제 스탑리밋 주문에 대한 이해가 좀 되셨나요? 스탑가와 리밋가의 의미만 알면 이해가 쉽습니다. 스탑가에 도달하면 주문이 제출(요청)되고 리밋가에 시장가가 도달하면 거래가 체결되는 방식이죠.
스탑 리밋 주문은 24시간 모니터링 하지 않으면서 손실을 최소화 하고 위기를 관리해줄 유일한 도구로 볼 수 있습니다. 매수 후 시세가 급격히 하락할 경우에도 손해를 줄일 수 있으며, 목표가에 도달했을 때 트레이더의 어떠한 액션 없이도 사전 설정을 통해 주문을 체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치킨요정의 경제공부방
저는 2가지 증권사에서 주식거래를 합니다. 하나는 키움증권 영웅문이고, 또 하나는 스톱 제한 주문 스톱 제한 주문 신한 S-Lite 입니다. 수수료면에서 신한 S-Lite가 미세하게나마 유리하기 때문에, 요새는 S-Lite MTS로 거래를 하곤 합니다.
거래를 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게 바로 ' 스탑로스 ' 라는 기능인데요. 이 기능을 잘 활용하면 업무시간에도 호가창을 매번 확인하면서 맘졸일 필요 없이 업무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도대체 무슨 기능이기에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오늘은 스탑로스의 기능과 사용방법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스탑로스란?
스탑로스는 우리말로 ' 손절매 '라고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손절매 대신 스탑로스라고 표현할게요. (저에겐 스탑로스가 더 익숙하거든요 ^^;)
◇ 스탑로스 (Stop Loss)
손절매라고도 하며, 주가가 단기간에 상승할 가능성이 없거나 현재보다 스톱 제한 주문 더욱 하락할 것이 예상되어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가지고 있는 주식을 매입가격 이하로 파는 것을 말함. 로스컷(Loss Cut) 이라고도 함.
예를 들면, 내가 보유한 주식이 현재 -10%인데, 앞으로도 악재가 계속되어 -30% 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된다면, 차라리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지금 파는게 더 유리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이는 일종의 리스크회피 전략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더 큰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작은 리스크를 감수하는 행위지요.
그런데 요즘 증권사 HTS 및 MTS에서는 이 스탑로스를 자동으로 해주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일명 ' 스탑자동로스' 기능입니다.
스탑자동로스는 미리 입력해둔 손절매 가격이나 이익 목표치(익절) 가격에 도달하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자동으로 매도하는 기능인데요, 이 기능을 사용하면 HTS나 MTS를 꺼놓은 상태에서도 알아서 주식매매를 하게 됩니다.
즉, 미리 목표치를 설정해두면, 주식 호가창에 신경을 끄고 업무에 집중하더라도 목표치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주식을 팔아주는 아주 편리한 기능입니다.
신한 S-Lite 스탑자동주문 방법
오늘은 신한 S-Lite의 스탑자동주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MTS를 키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본의아니게 계좌잔고가 나타났네요. 제 비루한 계좌는 그냥 넘어가주시길 바래요 ^^; 자, 위의 그림에서 전체메뉴를 클릭해봅시다.
젤 왼쪽에 주식 ELW라는 메뉴를 클릭하면 가운데 아랫부분에 스탑자동주문이라는 메뉴가 보이실 겁니다. 클릭해보세요.
지금은 아무런 종목이 보이지 않습니다. 매도신규추가 버튼을 눌러보세요. 여러분이 보유한 종목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 저는 한국전력을 선택해보았습니다.
스탑로스기능을 사용할 종목을 선택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기준단가는 현재가로 하시면 되구요, 손절만 하시는분은 손실목표가에만 체크하시면 됩니다. 저는 이익이 나면 익절을 하고, 손해가 나면 손절을 할 목적으로 이익목표가와 손실목표가를 모두 체크하였습니다.
매도수량은 퍼센티지 혹은 직접 1주 단위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저는 목표가에 도달하면 보유수량 전체(100%)를 판다고 지정해놨습니다. 매도단가는 직접입력할 수도 있으며, 시장가 혹은 현재가로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만약 거래량이 많고 주가등락이 심한 종목을 매도하시려면 시장가 를 선택하는게 안전합니다. (스탑로스가 작동되기까지 아주 미세한 지연시간이 있습니다.)
유효기간은 최장 30일까지만 적용되므로 각자 유효기간을 지정하시면 됩니다.
SMS를 사용한다면 핸드폰 문자로 알림을 받게 됩니다. 모두 마치셨으면 주문설정 등록을 눌러보세요. 주문이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팝업창이 뜹니다. ok를 눌러봅니다.
위와같은 화면이 뜬다면 정상적으로 스탑자동주문이 입력된 것입니다. 현재 한국전력 주가가 44,150원인데, 45,000원이 되어도 보유수량을 전부 팔고, 41,000원이 되어도 보유수량을 전부 팔게 되는 것이죠.
상태란이 세모표시가 된 것은 스탑자동주문이 정상진행중이라는 표시인데요, 저 부분을 한번 누르게되면 일시정지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X 표시를 누르게 되면 주문 자체를 취소(삭제)하는 것입니다.
신한 스톱 제한 주문 S-Lite 스탑자동주문 유의사항
그런데, 이러한 스탑자동주문도 유이해야할 상황이 있습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죠.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을 정리하였으니 한번 스톱 제한 주문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 스탑자동주문은 주식 및 ELW 종목만 가능함.
2. 스탑자동주문이 등록된 기간동안 계좌비밀번호가 변동된다면 주문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을 수 있음.
3. 주문유효기간 중, 주식의 병합, 감자, 배당락, 재상장 등으로 가격 및 종목번호 등이 변경될 경우 설정 내용이 자동 반영되지 않으므로 스탑자동주문 내용을 사용자가 직접 수정해야 함.
4. 스탑자동주문은 한 계좌당 최대 20건 까지만 가능함.
5. 스탑자동주문은 주문처리시간이 존재함. 목표치에 시그널이 발생하여 주문이 들어가더라도 주가가 급변하게 되면 주문체결이 안될 수도 있음. (이럴 경우, 시장가 매도 추천)
마치며
오늘은 스탑로스의 뜻과 신한 S-Lite MTS의 스탑자동주문 사용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직장인들은 일하는 중간에도 호가창을 확인하느라 업무에 제대로 집중하지 못할 때가 많죠. 스탑자동주문은 스톱 제한 주문 내가 원하는 목표가에 자동으로 주식을 팔게 해주는 편리한 기능입니다. 스탑자동주문을 이용하면 업무시간에도 주식 걱정 없이 맘놓고 업무에 집중할 수 있으니, 모르고 계셨던 분이라면 꼭 한번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스톱 제한 주문
안녕하세요 미지입니다;)
요즘 해외주식 거래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그중에서 안전성과 상승률을 함께 가져갈 수있는 시장은 미국시장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미국시장의 거래시간과 간단한 주식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년 6월 29일 현재 요즘은 써머타임이 적용 되고 있어서 장이 22시30분 ~ am05시 까지 거래가 가능합니다.
다만 프리마켓이있어서 21시부터 거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키움증권을 사용하고 계신다면 프리마켓도 이용가능하므로 21시~am05시 까지 거래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프리마켓에서 미체결된 주문은 정규장으로 넘어가서 해당일까지 유효합니다. 저녁 9시에 주문해서 미체결된건은 10시 30분까지만 유효한것이 아니고 다음날 5시까지 주식장이 마감하는 순간까지 유효합니다. 물론 당일 정규장 주문건도 당일 장마감하면 소멸됩니다.
미국시장은 주문호가 제한폭은 따로 없습니다. 한국의 경우 그 단위가 각 주식마다 정해져 있는데 미국주식의 경우 스톱 제한 주문 주문호가 제한이 없습니다.
매수 주문시에는 보통 지정가로 금액을 지정하여 주문하는 방식입니다. 모바일에서 사용 가능한 loc주문방식은 (limit on close) 종가가 지정한 가격과 종일하거나 유리한 가격일 경우 체결되는 매수주문입니다.
보통 주식은 마감때 거래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4시 반에 일어나기 힘드신분에게 좋은 주문 방식입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최저가를 입력해 놓으면 그 금액과 동일하거나 그 금액 아래도 가격이 되었을때 체결되는 주문 방식입니다.
예를들어 전 영업일기준 애플종가는 353달러였는데 loc 355달러를 걸어놓았다면 저동으로 체결됩니다. 다만 350달러를 걸어놓으면 체결이 안되게됩니다.
매도주문 역시 보통은 지정가 방식으로 운영하시면됩니다. loc 방식을 사용하면 본인이 걸어놓은 가격보다 유리한 종가일 경우 체결되게 됩니다.
또한 손절매를 돕기위해 stop 혹은 stop limit 방식이있습니다. 스탑 주문의 경우 스탑가격에 도달하면 시장가로 주문하는 방식이고, 스탑리밋주문방식은 스탑가격에 도달할 경우, 지정가 즉. 정해놓은 금액에 맞춰 주문을 넣는 방식입니다.
손절매가 어려운 분들은 이렇게 지정해놓으면 일정금액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주문에 대한 정정거래는 일부정정이 불가합니다. 그리고 5시 장마감이후에도 거래가 가능합니다. after지정가로 거래하시면 가능합니다. after 지정가는 정규장이후 after마켓까지 유효합니다. 다만 정규장에서 지정가주문은 정규장 마감이후 취소됩니다. 즉 after 마켓에 지속되지 않습니다.
또한 미국주식이결제 되는 것은 오늘부터 3영업일 후에 결제 되게 됩니다. 따라서 미국주식 매도이후 바로 원화로 환전은 불가합니다. 매도후 영업일이 지나야 환전하여 원화로 현금화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해외주식 중 요즘 제일 핫한 미국 주식에 대해서 거래시간 및 주문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미국 시장이 특히 나스닥이 코스피보다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주린이이지만 저보다 학년이 어리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