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의 효과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본 연구는 비금융업에 속하는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4년까지의 10년 동안 레버리지효과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체계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실증분석하고 있다. 레버리지(leverage)는 손익구조를 분석하는데 기본적인 개념으로 기업의 경영환경 변화에 따라 이익이 어떻게 변화할지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레버리지효과는 원가구조로 인해 기업의 이익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자본시장에서 정보비대칭 정도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실증분석 결과, 높은 레버리지효과는 영업이익 또는 순이익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있어 양(+)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가-장부가 비율이 높은 성장주의 경우 미래 성장기회 및 수익성에 대한 긍정적인 시장의기대가 커서 레버리지효과가 영업이익 또는 순이익이 시장가치에 반영됨에 있어 양(+)의 가중치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가치주인 경우 높은 재무레버리지도가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에 있어 음(-) 의 가중치로 부여되어 시가-장부가 비율이 낮은 가치주의 경우 높은 타인자본의 사용으로 인한 금융비용의 고정비 부담이 재무성과 악화로 반영되어 시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보인다. 이상의 결과는 레버리지도를 경영위험의 대용치로 측정하거나 레버리지가설에 기초하여 레버리지와 주식수익률 간의 체계적인 관계를 통해 가치주 효과를 밝히고자 한 선행연구에 더하여 레버리지효과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과 체계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회계학 연구 영역을 넓히고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leverage effects and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sample of companies listed in the KOSPI market from 2005 to 2014. Operating and financial leverage effects provide the basic analysis of income structure and the important information in forecasting firms' future earnings and prospects. Since higher leverage with large fixed costs increase future earnings uncertainty and the effect of uncertainty on firm value, leverage effects may 레버리지의 효과 increase the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capital market. The results in this study indicate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leverage effects and value relevance of operating income or net income. The growth firms with higher market-to-book ratios and strong growth prospects have the positive effect of operating income or net income on firm value, when they have higher operating leverage, financial leverage, and combined leverage. On the other hand, the value stocks with lower market-to-book ratios and higher costs of debt have the negative effect of net income on firm value when they have higher financial leverage.

레버리지의 효과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승인 2017.04.25 07:30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레버리지 효과란 차입금 등 타인자본을 지렛대로 삼아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이는 것을 뜻한다.레버리지의 효과

      예를 들어 100억원의 자기자본으로 10억원의 순익을 올리면 자기자본이익률은 10%다. 하지만 자기자본 50억원에 타인자본 50억원을 더해 수익 10억원을 내면 자기자본이익률은 20%로 올라간다.

      즉 차입금으로 발생한 금융비용보다 높은 수익률이 기대될 때에는 타인자본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레버리지 효과는 기업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재무 레버리지와 영업 레버리지란 개념을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재무 레버리지는 기업이 타인자본으로 기업 이익의 변동성을 확대하는 것을 말한다.

      대기업들이 신규 사업에 진출할 레버리지의 효과 때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여유 자금이 없기 때문이 아니라 레버리지 효과를 활용하기 위해서다.

      영업 레버리지는 이와 달리 기업의 매출원가와 영업비용 가운데 기계설비, 감가상각비, 임대료, 경영진의 보수 등 고정비를 부담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기업이 변동비보다 고정비를 많이 쓸 때 매출 증가율보다 영업이익 증가율이 확대되는 데 이를 영업 레버리지 효과라고 부른다. (산업증권부 최욱 기자)

      DBpia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간편 교외 인증 이벤트 응모

      표지

      • 한국관광레저학회
      • 관광레저연구
      • 관광레저연구 제12권 제1호(통권 제16호)
      • 2000.06
      • 101 - 110 (10 pages)

      내서재 담기 미리보기 이용하기

      초록·키워드 목차 오류제보하기

      The object of business is the greatest of enterprise 레버리지의 효과 values. The enterprise values is estimated by Risk with financial structure, and the risk is caused by uncertainty of future. Two method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future are analysis of cash management and leverage. With systematic management of cash, we can control level of cash holdings, and can reduce risk with cash flow of future. The leverages are operating leverage and financial leverage, operating leverage be able to used with instrument to forecasting risk of fixed cost, and financial leverage forecasting risk of debt. so enterprises lead reasonable level of cash holdings and appropriate operating leverage effect and financial leverage effect and have to reduce it's risk of future uncertainty. So I hope that enterprises disposal to each risk of future uncertainty.

      Ⅰ. 연구목적 및 연구범위
      Ⅱ. 현금관리와 레버리지 효과의 이론적 배경
      Ⅲ. 현금관리와 레버리지 효과에 대한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DBpia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간편 교외 인증 이벤트 응모

      내서재 담기 미리보기 이용하기

      초록·키워드 목차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기업의 레버리지, 부채만기, 기업투자의 관련성과 성장기회가 레버리지, 부채만기, 기업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성장기회가 레버리지와 부채만기와 상호작용하여 기업의 자본조달과 투자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기간은 2000년 1월부터 2010년 레버리지의 효과 12월까지 11개년이며 자료가 이용가능한 상장제조기업을 대상을 3290개 패널표본을 이용하여 시계열 횡단면 회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채만기와 레버리지가 강한 정(+)의 관련성을 나타내어 유동성위험이론을 지지하였다. 단기 부채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은 유동성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저부채전략을 이용하고 장기부채를 사용하는 기업은 유동성위험이 심각하지 않아 더 많은 부채를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장기회는 레버리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자본조달순위이론, 신호이론, 과대투자가설을 지지하였으며 채권자가 기업의 성장기회를 인식하고 성장기회가 큰 기업에 보다 좋은 조건으로 쉽게 대출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성장기회가 큰 기업이 레버리지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부채만기와 성장기회의 레버리지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분석에서 부채만기가 레버리지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성장기회가 높을수록 강화되었다.
      성장기회는 부채만기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과소투자가설을 지지한다. 기업의 성장옵션이 많을수록 주주와 채권자의 이해상충이 커져 대리문제가 발생하며 기업은 단기부채를 많이 사용하여 과소투자로 인한 대리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성장기회와 레버리지의 상호작용효과 분석에서 레버리지가 부채만기에 미치는 영향은 성장기회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레버리지는 향후 기업의 투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리이론을 지지하였으며 높은 레버리지로 인한 불확실성의 증가는 기업의 향후 투자를 위축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장기회는 투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성장성이 높은 기업이 향후 더 많은 투자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부채만기는 향후 투자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상호작용효과 분석에서 레버리지와 부채만기는 성장기회가 향후 투자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레버리지 #부채만기 #기업투자 #성장기회 #상호작용효과 #Leverage #Debt Maturity #Firm Investment #Growth Opportunities #Interaction Effect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Ⅲ. 실증적 연구방법
      Ⅳ. 실증적 연구결과와 결과의 해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칼럼] 레버리지 (Leverage)의 효과

      자신의 돈을 지렛대 받침으로 하고 남의 돈을 지렛대로 이용하여 큰 재산을 움직일수 있다는 지렛대 레버리지의 효과 원리를 레버리지라 한다. 레버러지의 효과란 한국어로 지렛대 효과로 불리기도 하는데,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로 삼아 자기 자본 이익률을 높이는 것을 말하는데, 지렛대 효과가 투자자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서는 한가지 조건이 있다. 융자등 타인 자본 도입에 따른 이자율보다 높은 수익율이 기대될 때에만 수익 창출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고금리때 보다는 저금리 시대에 유용한 투자 방법이다. 지렛대 효과를 잘 만 이용하면 적은 자본으로 큰 돈을 벌수 있는 방법으로 부동산 리모델링에서 부동산 테크닉으로 각광 받고 있다.

      저금리 시대에는 투자용 부동산에 있어 자기 자본을 되도록 적게 투자하고 금융권의 차입액을 높일수록 투자수익률이 높아지는데, 부동산 재테크에 있어서 이러한 지렛대 효과를 많이 이용할수 있는 분야가 바로 리모델링 이다. 재생과 보전의 시대에 리모델링은 건설업계에서 하나의 흐름이다. 주택의 경우 오래된 집을 사서 취향과 사정에 맞게 새집으로 고쳐 쓰는 것은 오래전부터 있어 왔다. 최근에는 도심지역의 상가나 오피스용 대지 부족으로 기존의 레버리지의 효과 주택 지역을 상업용이나 사무용으로 변경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규정의 변화를 적절히 이용한다면 리모델링을 통한 투자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주택을 구입해서, 이 주택을 담보로 은행에서 융자를 받아 주택을 대대적으로 수리한 후 상가나, 오피스 용도로 임대한후 짭짤한 수익을 올리는 경우도 있다.

      부동산 투자에 있어 투자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가지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투자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탁월한 안목과 전문지식, 유용한 정보 획득 등이 갖춰져야만 가능하다. 수년 레버리지의 효과 내 지속되고 있는 미국의 저금리 기조와 도심지역 주택과 건물등의 노화등을 감안하면, 지렛대 효과를 충분히 활용한 리모델링은 당분간 부동산을 통한 재테크의 큰 흐름으로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큰 지렛대의 지점을 구해주면 지구를 들어 올릴수 있다고까지 말한 적이 있을 정도로 지렛대 효과는 잘 만 이용하면 적은 자본으로 큰 돈을 벌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