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지표 설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HTS] 주식차트 창 분석 및 차트설정 하는법, 차트세팅 보조지표 설정법

주식 종합차트 [0301]

종합차트는 여러 종목을 동시에 분석하거나 한 종목을 여러 형태로 분석할 수 있는 멀티분석형 차트입니다.
강력한 분할 기능과 분할 차트 간의 동기화 기능을 통해 보다 업그레이드된 차트화면을 제공합니다. 또한 차트 좌측에 “종목/지표/시스템” 메뉴를 배치하여 차트화면 내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보조지표 설정 자동추세선, 추세패턴, 캔들패턴, 패턴통계" 등의 강력한 자동분석기능을 지원합니다. 또한 기준선 및 주문선, 가격 변화선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차트상에서 보다 편리하고 강력한 기능은 운영할 수 있게 제공되고 있습니다.

2. 화면설명 및 사용방법

상단메뉴
상단메뉴에서는 조회종목의 선택과 조회기간 설정, 일/주/월/년/분/초/틱의 주기차트의 선택이 가능합니다. 멀티차트에서 사용되는 “종목/주기/기간/지표 동기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보조기능으로 지표 전체적용, 분석툴 기능이 제공됩니다.

활성차트의 종목을 변경할 것인지, 기존의 종목을 유지하고 새로운 분할과 함께 종목을 추가할 것인지를 설정 합니다. “종목추가” 상태로 차트를 종료하더라도 차트를 다시 여는 경우에는 항상 “종목변경”상태로 시작됩니다.


사용자가 “일, 보조지표 설정 주, 월, 년, 분, 초, 틱”의 주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N주기는 분, 초, 틱 주기에서 사용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과 을 선택하면 차트에 나타나는 봉 하나가 3분간의 주가를 나타내는 3분 봉차트가 됩니다.

차트저장기능으로 종목 및 주기, 지표 등을 저장합니다.

파일 저장/변경/삭제/위치변경이 가능합니다.

시세바 설정
시세바는 주식종목과 선물/옵션 종목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차트 화면의 크기에 따라 시세바에 제공하는 항목이 달라 질 수 있습니다.

분할차트를 일괄 제어하는 동기화 버튼입니다.
: 클릭 시 모든 분할차트의 종목을 활성차트의 종목으로 일괄 변경합니다.
: 활성차트의 주기(일/분/틱…)를 기준으로 모든 분할차트의 주기를 변경합니다.
: 활성차트의 기간(봉수)을 기준으로 모든 분할차트의 기간을 동기화 합니다.
: 활성차트와 같이 분할차트의 지표설정 상태를 동기화 합니다.


종목리스트 순서대로 연속조회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좌측/우측 화살표는 수동으로 돌려보기 기능이고, 버튼은 자동 돌려보기의 간격을 조절하는 항목입니다. 반복을 선택하면 마지막 종목 돌려보기를 한 후에 처음 종목으로 이동하며, 선택하지 않는 경우 돌려보기가 종료 됩니다.

차트툴
각종 분석 도구 및 추세선 관련 기능들을 제공하여 주가 분석 비교에 활용도가 높은 영역입니다.
상단의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자정의, 분석도구, 부가기능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해당 메뉴에 따라 아래 버튼들이 변경됩니다.
각 버튼의 세부적인 기능설명은 차트매뉴얼 하단의 “ 분석도구 및 추세선 기능”에서 나와 있습니다.

3. 차트설정

종합차트는 각종 지표부터 시작하여 세부적인 스타일까지 차트의 전반적인 부분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서 사용자 개개인의 환경과 매매패턴에 최적화된 자신만의 차트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측툴바의 클릭 또는 차트 상의 R메뉴 지표설정, 환경설정을 누르면. 차트/지표, 기본환경,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는 아래과 같은 화면이 오픈됩니다.

Y축 Scale의 위치 및 가이드선 색상 등의 설정을 관리합니다.
Y축 Scale 클릭시 설정창이 오픈됩니다. Scale위치 및 Grid를 지정할 수 있으며, Min/Max설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Log, 뒤집기 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색상 지정으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Scale영역을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4. 편리한 기능

지표이동 기능, 합침 기능
지표이동은 지표이름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마우스로 클릭한 상태에서 지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으로 지표간의 상/하 이동을 손쉽게 하여 원하는 차트 화면구성을 편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지표합침 기능은 지표들을 한 영역에서 같이 보기를 원하는 경우 마우스 drag&drop으로 결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지표 두 개를 겹쳐 사용하고자 할 경우, 원하는 지표를 마우스로 Drag한 상태에서 원하는 지표에 Drop합니다. 이 때 Y축 Scale 설정창이 나오는데 원하는 Scale영역을 정하고 확인을 누르면 해당지표에 합쳐집니다.

기간요약 기능
우측툴바 항목에 클릭하면 특정 기간의 주가 등락률 및 거래량 캔들 수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마우스 Drag로 기간을 정하면 기본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우측마우스로 그리기 해제를 한 후 환경설정을 누르면 위 그림과 같은 기간요약 설정창으로 사용자가 표시하고 보조지표 설정 싶은 항목이나 위치 및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일주월분 기능
우측툴바 항목에 클릭하면 사용자가 4분할하여 일/주/월/분 주기를 세팅하지 않아도 일주월분 기능버튼 하나로 특정 종목의 일/주/월/분으로 분할하여 한눈에 종목의 주기를 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 다시 클릭 시 1분할 차트형태로 복귀됩니다.

5. 분석도구 및 추세선

주가 분석 및 차트 사용에 있어서 유용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각종 기능들을 버튼화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차트 화면 우측상단의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정의”, “분석도구”, “부가기능”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해당 항목에 따라 아래 버튼들이 변경되어 원하는 기능을 손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ndrew’s pitchfork 라고 부르며, 세 개의 평행 추세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장 왼쪽에 있는 점을 기반으로 오른쪽에 있는 두 점은 첫번째 점에 대한 지지와 저항 수준을 나타냅니다. 사용법은 사용자가 의미있는 저점이나 고점을 선택한 후 (가장 왼쪽에 있어야 합니다.) 두번째와 세번째 선택점을 첫번째 선택한 점보다 오른쪽에서 선택하면 세 개의 평행 추세선이 생성됩니다. 이때 유의할 점은 두번째점을 저점(고점)으로 선택했다면, 세번째 점은 반드시 고점(저점)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피보나치 되돌림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점(고점 또는 저점)에서 drag 하여 원하는 위치(저점 또는 고점)에 drop하면, Zone 선이 생성됩니다. 피보나치 목표 가격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며, 상승폭(또는 하락폭) 대비 23.6%, 38.2%, 50%, 61.8%에 해당하는 조정폭이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선을 확대한 개념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점(고점 또는 저점)에서 drag하여 원하는 위치(저점 또는 고점)에 drop하면, Fan선이 생성됩니다. Fan 선은 사용자가 보조지표 설정 연결한 선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직각삼각형을 만들어 줍니다.(사각형 모양이 됩니다) 각 직각삼각형은 피보나치선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시면 됩니다.

활추세선 : 피보나치 아크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점(고점 또는 저점)에서 drag하여 원하는 위치(저점 또는 고점)에 drop하면, 활 추세선이 생성됩니다. 중앙라인 오른쪽에서 아크와 주가의 위치(저항 및 지지, 돌파)를 통해 추세를 분석합니다.

저점이나 고점에서 45도 방향으로 진행하는 선(Gann Line)이 중심선 역할을 하며 중심선에 일정 비율(8등분)의 대각선 (부채꼴 모양)을 그려나가는 방법으로 하향방향으로 작도한 하향갠팬(Gann Fans)이다)

시작점과 끝점의 보조지표 설정 구간내에 가격과의 차이를 일자별로 계산하여 그 중 가장 큰 값을 추출하여 ‘최대괴리치’로 놓고 그 최대괴리치를 가감하여 직선회귀선과 평행한 두 직선(상한선,하한선)을 작도한 추세선입니다.

차트툴바에 표시할 항목을 선택합니다. 분석도구와 부가기능으로 나누어지며 사용자설정에 고객이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구성 할 수 있습니다.
‘메뉴구분'에서 분석도구, 부가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하단에서 세부 항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 중 차트툴바에 입력할 항목을 더블클릭하거나 클릭하여 선택한 후 버튼을 클릭합니다.

6. 차트 유형

캔들차트
일명 일본식 차트로 통하는 캔들차트로서, 시가,고가,저가,종가로 구성된 가격 차트입니다. 캔들의 몸통은 시가와 종가로 구성되며, 캔들의 꼬리는 고가와 저가로 구성됩니다. 금일 종가가 시가보다 상승 시에는 적색으로, 하락 시에는 청색으로 캔들의 몸통 색상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바차트
일명 미국식 차트로 통하는 바차트 중에 시가, 고가, 저가 그리고 종가로만 구성된 가격 차트입니다. 바에 최고와 최저는 봉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의미하며, 시가는 바의 좌측의 잔가지로, 종가는 바의 우측에 잔가지로 표현하게 됩니다. 기본 보조지표 설정 설정으로 가격 상승 시에는 적색으로, 가격 하락 시에는 청색으로 바를 표현하였습니다.

대기매물
가격대별 거래량의 비율을 가격대에 바형식으로 구현한 차트로 매물대 분석시에 사용됩니다. 매물대 분석 차트는 매물 가격대 개수라는 변수가 있는데, 이 변수는 가격대를 변수의 수치로 나누어 매물바의 개수를 만들어주는 변수입니다. 누적 거래량 차트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누적 거래량이 많은 가격대가 매물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가가 매물대 위에 있으면, 매물대는 지지구간의 역할을 하고, 매물대 밑에 있으면 매물대는 저항구간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누적 거래량이 적은 구간에서는 주가가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그물차트
그물차트란 이동 평균선을 짧은 것부터 긴 것을 순차적으로 한 그림에 나열한 것입니다. 이러한 그물차트는 단순하게 정해진 이평선의 고정된 움직임 보다는 이동평균선의 확장과 수렴 등을 역동적으로 보여줌으로서 현재의 시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설정한 개수의 이동평균선들의 간격이 벌어졌다가 좁혀지기 시작하면 추세전환신호로 해석합니다.(바닥권에서는 매수신호로 천정권에서는 매도신호가 됩니다.) 또한 이동평균선 밀집국면에서 이동평균선의 간격이 벌어지기 시작하면 역시 전환신호로 매수신호로 해석합니다.

역시계곡선
역시계곡선은 가격과 거래량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가격 차트로, X축에는 거래량 Y축에는 주가를 두고, 변수(이동평균)의 수치만큼의 일수로 주가 및 거래량을 평균하여 이를 차트에 표시한 것으로 진행방향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하여, 역시계곡선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변수는 이동평균선 수치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보통 20일 또는 25일 평균선이 사용됩니다.

P&F
P&F차트는 시간의 개념을 약간은 벗어난 차트로, 가격의 상승과 하락을 중심으로 하여 추세를 분석할 때 사용되는 차트 입니다. 기준 가격 이상 상승 시에는 붉은 색으로 X를 표시하며, 기준 가격 하락 시에는 청색으로 O를 표시합니다. 이 때 시간의 개념은 제외되며, X에서 O간에 전환 시에만 한 칸 이동하게 됩니다. P&F차트에서의 변수로는 “칸전환”과 “칸크기” 변수가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P&F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삼선전환도
삼선전환도는 P&F와 비슷한 개념으로, 칸 전환 변수 이상의 주가 변동이 발생시, 청색 또는 적색 전환차트에서 변경됩니다. 주가 상승 시에는 붉은색으로, 하락 시에는 청색으로 표현합니다. 변수는 칸 전환 변수로 변경합니다.

SwingChart
Swing차트는 최소반전폭을 설정한 후 이전 가격으로부터 최소반전폭 이상 움직였을 경우에만 차트를 그려줍니다. 이전보다 상승시 빨간색, 하락시 파란색으로 표시합니다.
만약 전일 종가가 1000원이고 당일 종가가 1110원이고 최소반전폭이 100일 경우 빨간선을 하나 그려준다. 만약 890원일 경우는 파란 선을 그려줍니다.

KagiChart
Kagi차트는 Swing차트와 마찬가지로 최소반전폭을 설정한 후 이전 가격으로부터 최소반전폭 이상 움직였을 경우에만 차트를 그려줍니다.
이전보다 상승시 빨간색, 하락시 파란색으로 표시하는 것은 동일합니다. 차이점은 이전 고점을 상향 돌파하였을 때는 굵은선으로 표시하고 이전 저점을 하향 돌파하였을 때는 가는 선으로 표시합니다. 또한 해당 라인의 고가와 저가중간에 수평선을 그어 지지/저항의 기준으로 삼습니다.

RenkoChart
Renko차트는 항상 종가를 기준으로 사용하며 벽돌의 크기는 사용자에 맞게 최소변화폭을 설정하고 전일 벽돌의 고가와 저가를 당일 종가와 비교하여 당일 종가가 전일 벽돌 고가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빨간벽돌을, 당일 종가가 전일 벽돌 저가 이하로 하락했을 때 하얀 벽돌을 그려줍니다. 이 때 가격이 벽돌의 하나 크기보다 높게 형성되었으나 두개의 크기를 채워주지 못할 때는 하나만 그린다는 점에서 P&F차트와 차이가 납니다.

분산형
분산형차트를 그리는 방법은 X축에 거래량을 표시하고 Y축에 가격을 표시한 후 매일매일의 거래량과 주가에 해당하는 값을 차트에 점으로 찍어줍니다. 해당 일에 주가가 양봉을 형성하면(종가>시가) 빨간색, 음봉을 형성하면(종가<시가)파란색으로 표시합니다.

이큐볼륨
이큐볼륨 차트는 일반 캔들에 거래량을 합한 개념으로, 봉의 좌우 폭을 해당봉의 거래량이 전체 거래량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해당 봉에서 거래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폭은 커지게 됩니다. 설정부분은 캔들차트처럼 가격상승 시/하락 시 색과 영역 채우기가 있습니다.

보조지표 설정

코인 차트를 분석할 때 보조 지표를 참고하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오늘은 코인 차트를 분석할 때 자주 활용하는 지표에 대해서 설명해드릴게요.

저번 포스팅에서 간단하게 차트 분석에 대한 기본에 대해 설명해드렸는데, 아직 못보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차트 보는 법 설명

안녕하세요, 효니톰입니다. 사실 저희 회사는 블록체인과 관련된 회사라서 디지털 자산쪽을 주로 다루고 있어요. 오늘은 곁다리 상식으로 차트 보는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해드리려고 합니다. 먼

지표는 주가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그에 따라 주식 용어가 일부 사용되었습니다.

[추세 지표]

- 크로스 지표는 '골든 크로스'에 매수, '데드 크로스'에 매도합니다. (저번 포스팅 참고)

따라서 항상 Long 또는 Slow 수치가 커야합니다.

1.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de & Divergence)

- 수렴 확산 성질을 이용하여 개발한 지표 ( 각각의 이동 평균선들은 서로 멀어지면 언젠가 다시 수렴합니다.)

- 이동평균선들의 수렴과 확산, 즉 이동평균선들간의 차이를 보기 쉽게 나타낸 지표

- 주가의 추세와 움직임을 분석하는데 용이합니다.

MACD = Short(Fast) - Slow(Long)

2개의 기간을 비교하여 0보다 MACD가 클 경우 과열, 낮을 경우 침체

저번 포스트에서 소개해드렸던 트레이딩 뷰에서 확인을 했습니다.

파란색의 MACD 선이 주황색 Signal 선을 상향 돌파하면 골든 크로스입니다.

반대로 파란 MACD 선이 주황색 Signal 선을 하향으로 뚫게 되면 데드 크로스고요.

매수: MACD 지표가 Signal을 상향 돌파할 경우

매도: MACD 지표가 Signal를 하향 돌파할 경우

◆ 지표 확인하는 방법

1) 차트에서 원하는 코인과 캔들 크기를 설정합니다.

2) '지표' 메뉴에서 MACD를 설정합니다.

3) 지표값을 바꿀 경우, MACD 지표를 우클릭해 '설정'에 진입합니다.

4)지표 값 (Fast MA Period, Slow MA Period, Signal Period)을 설정하였으면, 저번 포스팅에서 설명해드렸던 '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를 참고해 확인합니다.

2. EMA (E xponential M oving A verage)

- 과거의 모든 기간을 계산대상으로 하며 최근 데이터에 더 높은 가중치를 두는 일종의 가중이동평균법

- 단기적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단타 위주 트레이더에게 유용합니다.

매수: 상향 돌파할 경우

매도: 하향 돌파할 경우

지표 확인하는 방법

1) 차트에서 원하는 코인과 캔들 크기를 설정합니다.

2) '지표' 메뉴에서 EMA를 선택합니다.

트레이딩 뷰에서는 선이 3개가 나오는데, 2개가 나오는 정확한 지표명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ㅠ

3) 지표를 우클릭해 '설정' 메뉴에서 값을 설정한 후 3개 중 하나는 없애주세요. (체크 박스 해제)

4) 지표 값 (Short Period, Long Period) 설정이 완료되면 '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를 참고해 확인합니다.

3. Volume MA ( Volume: 거래량 + MA: 단순 이동 평균선)

- 거래량 가중 이동 평균선

- 거래량의 변화 이동 평균을 나타내는 지표 (자신의 장기 거래량 변화 확인)

- 볼륨의 이동 평균이 함께 확인되므로 볼륨 상승, 하락 시기를 동시 확인 가능

매수: Short 선이 Long 선을 상향 돌파 시 매수 (지표가 기준선 돌파)

매도: Short 선이 Long 선을 하향 돌파 시 매도 (지표가 기준선 하한)

[시장강도지표]

- 과매수, 과매도 체크

1. RSI (Relative Strength Index)

- 특정 기간에 걸친 자산 가격의 변화 측정 (기본값 14일이며 이 외 9, 15, 25, 28일 등을 많이 사용합니다.)

- 거래자가 과매수 또는 과매도 시장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진동 지표

운동량 상승시: 주식이 시장에서 활발히 매매 진행중
운동량 보조지표 설정 감소시: 주식에 대한 거래자의 관심 둔화

매수: 차트 Y축 OverSold 하향 돌파 시 매수

매도: 차트 Y축 OverSold 상향 돌파 시 매도

1) 차트에서 원하는 코인과 캔들 크기를 설정합니다.

2) '지표' 메뉴에서 RSI 를 선택합니다.

3) RSI 지표를 우클릭해 '설정'에 진입합니다.

4) 길이를 설정한 후 '모습' 탭에서 '어퍼 밴드'와 '로우어 밴드' 값을 설정합니다.

5) 로우어 밴드의 값을 하향 돌파하면 침체, 어퍼 밴드의 값을 상향 돌파하면 과열입니다.

2. OBV (On Balance Volume Cross)

- 거래량을 분석 하는 지표

- 거래량은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는 전제 하에 집계됩니다.

- 매집 단계 여부 및 분산하는 물량이 있는지 광범위하게 표현해 앞으로의 주가 방향에 대한 예측을 위해 사용

ex) 전 영업일에 비해서 주가가 상승했으나 거래량 누적 수량이 하락했을 경우 누적 거래량이 하락한 만큼의 집계

OBV = 상승한 날의 거래량 - 하락한 날의 거래량

매수: 하락 추세에서 매수세 -> 하락의 저항 -> 상승 발산
매도: 상승 추세에서 매도세 -> 상승의 저항 -> 하락 발산

스톡케스틱 보조지표 보는법

1. 0~100의 수치로 과매수 % 과매도를 수치화 해서 보여주는데 80 이상인 경우에는 과매수 , 20 이하는 과매도로 통상 간주 된다.

2. 하지만 해당 지표는 역추세를 감지 하지 못함으로 향후 가격의 움직임을 유추하는 수준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3. 해당 지표는 2개의 선이 있다.

선1) K% = 스토캐스틱N (지정 기간의 과매수 & 과매도)

1.png

*N일 최고가/최저가의 N은 변수 (variable) 입니다.

선2) D% = 스토캐스틱N의 이동평균선

-오직 K%와 D%만 사용하는것은 fast stochastic이라고 한다.

-위와 보조지표 설정 같이 구한 그래프는 변화가 잦고 노이즈가 많아서 %K 와 %D를 그냥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T일 이동평균선을 구한 값으로 그래프로 만듭니다.

업비트의 기본 지표 설정은 (길이14, 스무스 K1, 보조지표 설정 스무스 D3) 입니다.

11.JPG

12.JPG

◆ RSI와 스토캐스틱의 차이점?

1. RSI와 Stochastic 모두 자산군의 가격에 기반에 모멘텀을 보여주는 기술적 지표 입니다.

2. 하지만 이 둘을 기반하는 로직은 매우 다릅니다. 스토캐스틱은 특정 자산군의 최근 종가들이 현재의 가격과 비슷한 추세 / 방향으로 움직일것이라는 가정을 기반합니다.

"차트분석 무조건 따라하기"로 본 RSI 보조지표

윤재수님이 쓴 주식책을 즐겨보곤 했는데,
"차트분석 무작정 따라하기"에 기초하여 RSI 지표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차트분석 무작정 따라하기:60만 독자가 인정한 주식 1등 저자의 책

RSI: 주가 상승 하락의 강도를 백분률로 나타낸 것
(14 변수를 사용시 주가가 14일 간 계속 상승하면 100. 14일 간 매일 하락하면 0)

RSI 기간 설정은 14일이 권장 됨.
그 밖에 9일, 25일, 50일도 사용됨.

30 이하면 과매도권. 70 이상이면 과매수권으로 봄.

RSI를 이용한 주식, 선물 매매기법은,

매수
30이하에서 30 상향돌파시 매수
50 상향돌파시 매수
70 상향 돌파시 매수(70 이상에서 상승폭이 큼)

매도
70이상에서 70 하향돌파시 매도
50 하향돌파시 매도
30 하향돌파시 매도(30 이하에서 하락폭이 큼)

□ failure
- 70 이상에서 고점을 높이지 못하고 오히려 낮추면 매도
- 30 이하에서 저점을 낮추지 못하고 오히려 높이면 매수

차트분석 무작정 따라하기 보조지표 설정 중 발췌

은빛늑대의 인터넷 세상리뷰 은빛늑대의 인터넷 세상리뷰

[HTS] 주식차트 창 분석 및 차트설정 하는법, 차트세팅 보조지표 설정법

주식투자를 할때 기본적분석과 함께 기술적분석 역시 중요합니다.

언제사고 언제 팔아야 하는지에 대한 타이밍가 정확한 타점을 분석하기 위해서 입니다.

이러한 기술적분석에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이 바로 주식차트이며 이러한 차트를 설정하고 보조지표 등을 활용하여 매매승률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차트보는법을 익히기 위해 기본이 되는 주식차트창을 분석해 보고 맞춤 설정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주식차트 보조지표 설정 및 지수차트의 이해와 분석

- 지표변경 및 보조지표추가 등 나만의 설정법 (MACD RSI 스토캐스틱 일목균형표 볼린저밴드 엔벨롭)

유튜브 채널 " 수급무사TV " 영상을 시청하신 후 [ 구독 ]과 [ 좋아요 ]를 눌러주세요.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주식이란 것을 알게되고 주식시장에 뛰어들어 국내펀드 부터 국내주식 매매를 해 온지 돌이켜 보면 보조지표 설정 벌써 15년차가 되었습니다.

주식투자상담사 파생상품투자상담사 등 전문 자격증도 획득하고 전업을 길로 들어서고 안정된 수익을 꾸준히 낸지도 벌써 몇년이 되었습니다.

제게도 증권, 주식 뜻도 모르던 주식초보로서 주식시장에 뛰어들어 주식 기초도 잘 모르던 때가 있었으며 수익을 내기위해 열정을 불태우며 노력하던 분명 시절이 있었고, 지금은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는 실력과 저만의 매매기준이 정립이 되었습니다.

주식시장은 여전히 주식초보로서 입문하여 제대로 된 공부법을 몰라 시장에 당하고 손해를 입는 개미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제 채널은 주식강의 기초가 부족한 주식 초보분들에게 최대한 저의 노하우를 공유하고 주식하는방법. 주식사는법 보조지표 설정 같은 주식강의 기초와 주식차트보는법 . 주식투자 하는법 등 노하우를 알려드리는 곳 입니다.

해외증시인 미국증시 다우지수 나스닥 나스닥선물지수 실시간미국선물지수 등의 시황과 뉴스를 분석하여 한국증시인 코스피 코스닥 시장분석을 통해 흐름을 예상해 드립니다.

주식시황 정보, 주식시세에 따른 주식분석, 가치투자를 통한 중장기투자와 주식 차트 보는 방법, 주식 단타 하는법 수급분석 등의 노하우 그리고 한국 증시에 상장된 종목의 주가(삼성전자주가 삼성전기주가 현대차주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대형주 우량주 분석과 남북경협 제약바이오 전기차 2차전지 등의 주도섹터 테마주 세력주 등에 대한 심도 깊은 내용을 차차 주식강의 영상을 통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주식초보 분들이 제 주식강의 영상을 많이 보시고 올바른 공부법과 투자 방법으로 꾸준한 수익을 내면서 주식시장에서 오래 살아남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주식, 증권, 주식강의, 주식강의 기초, 주식강좌, 주식초보, 주식공부, 주식투자, 전업투자, 전업투자자, 주식시장, 주식시황, 시장분석, 시황분석, 주식용어, 코스피, 코스닥, 기술적분석, 기본적분석, 주식차트보는법, 주식 단타, 단타매매, 단타매매기법, 주식단타강의, 데이트레이딩, 스캘핑, 주식스윙, 주식스윙매매, 주식스윙기법, 종가배팅, 종배, 세력, 심리, 주식차트, 차트분석, 차트설정, 차트세팅, 수급분석, 수급매매, 주식투자 기초, 주식투자하는법, 손절, 손절매, 손절매 기준, 손절매 원칙, 손절하는법, 주식투자성공노하우, 노하우, 주식하는법, 주식 잘하는법, 주식 잘하는 방법, 주식 잘하는 사람, 주식 고수 비법, 주식 성공 비법, 주식기법, 주식기법강의, 주식비법, 주식고수, 주식고수 매매기법, 주식 수익률 인증, 주식 수익인증, 실계좌 인증, 계좌인증, 주식고수강의. 증권강의, 매매일지, 수급무사, 키움, 키움증권, 영웅문, 영웅문S, HTS, MTS.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