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Q앞의 숫자가 기울기라고 배웠는데
Q함수를 P함수로 바꿔야 Q앞의 숫자를 알 수 있잖아요
전. 어떻게 저렇게 되는지 모르겠어요 ㅠㅠ
기울기가 아니라 균형가격(P)과 균형량(Q)를 구하는건 이항해서 하는게 이해되는데
Q함수를 P함수로 바꾸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왜 어찌해서 저렇게 되는걸까요 ㅠㅠ
문제는 기출OX , 43p, 61번 문제입니다 ㅠㅠ 정말 쉽게 좀 알려주실분 ㅠㅠ
덧셈, 곱셈의 법칙을 이용하시는 초등 3학년 수준의 산수입니다.
y=3x+6 일경우 x함수 변환하면
이렇게 되는건 이해 하시나요?
단순하게 y=Q, x=P로 바꾸어서 사용한 것뿐입니다.
3x=y-6 이까지 만드는건 알겠는데 3을 Y쪽으로 옮기면서 y와 6에 모두 1/3을 곱해야하는걸까요. ㅠㅠ 초등학교때 저는 뭘 배운걸까여. ㅠㅠ 균형가격과 균형량을 구하면서 이항할때는 분수가 안되었는데 이건 왜 분수로 바뀌고 왜 두번이나 곱해주는건지. ㅠㅠㅠㅠ
일차방정식 그리고 역수에 대해서 검색하셔서
간단한 설명과 그림을 20~30분 보세요. 이해가 가실거예요. ^^
Q만 있으면 1이 생략되었다고 봅니다.
그래서 Q만있으면 기울기가 1입니다.
그러니 밑에 함수는 Q앞에 1/2가 있으니 기울기가 1/2입니다.
이용에 불편한 점 있으신가요?
많은 사용자가 궁금해 하는 그 질문!
대표이사 : 권대호 본사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34길 55 코오롱싸이언스밸리 2차 310호 Tel : 1600-6700 Mail : [email protected] 원격평생교육시설 신고 : 제 207호 사업자등록번호 : 119-81-54852 법인등록번호 : 110111-2450031 출판사등록번호 : 제 18-102호 통신판매업신고 : 구로 제 2008-00077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한광일
수요곡선(Demand Curve)은 다른 모든 것들이 변하지 않을 때 가격의 변화가 수요량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다른 것들은 수요량에 영향을 주는 비가격적인 요인 (Non-price Determinants) 을 말한다. 이 비가격적 요인은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비가격적 요인에 의해 수요곡선은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이동한다.
수요곡선의 이동 요인에는 여섯 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구매자의 수(Number of Buyers)이다. 구매자의 수가 증가하면 각 가격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하고, 수요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구매자의 수가 감소하면 각 가격에 대한 수요량이 감소하고, 수요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두 번째로, 수입(Income)이다.
정상재(Normal Good)의 경우, 수입이 증가하면 수요량도 증가한다. 정상재의 수요곡선은 수입이 증가했을 때,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열등재(Inferior Good)의 경우, 수입이 증가하면 수요량이 감소한다. 열등재의 수요곡선은 수입이 증가했을 때, 왼쪽으로 이동한다.
정상재에는 대부분의 것들이 해당하고, 열등재의 예시로는 대중교통 등이 있을 수 있다.
세 번째로, 대체재(Substitute)의 가격이다. 한 상품의 가격이 높아졌을 때, 다른 상품의 수요량이 증가하면 이 둘은 대체재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돼지고기와 소고기가 대체재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네 번째로, 보완재(Complements)의 가격이다. 한 상품의 가격이 증가했을 때, 다른 상품의 수요량이 감소하면 이 둘은 보완재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상추와 돼지고기가 보완재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체재와 보완재의 영향은 연관재의 가격 변화에 의한 영향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요인은 취향(Tastes)의 변화이다. 유행이 바뀌고 취향에 변화가 생기면 어떤 재화의 수요는 늘어나거나 혹은 줄어든다. 이에 따라 수요곡선은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이동한다. 자동차의 선호도가 세단에서 SUV로 바뀌어 SUV 수요량이 많아진 것 또한 취향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 요인은 미래에 대한 예상(Expectations about the Future)이다. 미래의 공급곡선 수입이 증가할 것이라고 기대한다면, 현재의 수요량이 증가한다. 또한, 한 재화의 가격이 높아질 거라 예상한다면, 현재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수요 곡선의 이동 요인에는 구매자의 수 변화, 수입의 변화, 대체재와 보완재의 가격 변화, 취향의 변화, 미래에 대한 예상이 있다.
공급곡선(Supply Curve)은 다른 모든 것들이 변하지 않을 때 가격의 변화가 수요량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다른 것들은 공급량에 대한 비가격적인 결정 요인이다.
수요곡선과 동일하게 비가격적 요인에 의해 공급곡선은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이동한다.
공급 곡선이 이동하는 요인에는 네 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투입된 요소들의 가격(Input Prices)이다. 공급량은 투입요소의 가격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투입요소의 가격이 감소하면 공급량은 증가하고, 공급곡선 투입요소의 가격이 증가하면 공급량은 감소한다. 투입 요소의 예에는 임금과 원재료 등이 있다. 투입요소의 가격의 감소는 각 가격에 대해서 좀 더 많은 이익을 얻게 해 주므로 회사는 각 가격에 대해 더 많은 양의 공급을 진행한다. 따라서, 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두 번째로, 기술(Technology)의 변화이다. 기술은 하나의 상품을 만들 때 들어가는 투입요소의 양을 결정한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기술은 투입되는 요소의 가격이 떨어진것과 같은 결과를 낳는다. 즉,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세 번째로, 판매자들의 수(Number of Sellers)이다. 판매자들의 수가 증가하면, 각 가격에 대하여 공급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마지막 요인은 수요와 마찬가지로 미래에 대한 예상(Expectations about Future)이다. 한 상품의 가격이 높아질 것이라 예상한다면, 나중에 팔아 더 큰 수익을 남기기 위해 공급량을 줄인다. 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움직인다.
수요 공급 곡선이란? 실무에서 중요한 가격-매출이익 분석까지!
수요 공급 곡선이란? 실무에서 중요한 가격-매출이익 분석 기법
엑셀 수요-공급 / 가격-매출이익 분석 목차 바로가기
영상강의
예제파일 다운로드
오빠두엑셀의 강의 예제파일은 여러분을 위해 자유롭게 제공 하고 있습니다.
라이브 강의 전체영상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위캔두 회원이 되시면 매주 오빠두엑셀에서 진행하는 라이브강의 풀영상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해찾기 기능과 TrendX 함수로 판매가격 분석 자동화하기
엑셀 차트의 추세선과 해찾기 기능, 그리고 TrendX 함수를 사용하여 최고 매출이익을 위한 판매가격을 분석 하는 방법은 아래 영상강의에서 자세히 설명해드렸습니다.
수요 공급 곡선이란?
수요-공급 곡선을 이해하려면, 우선 수요와 공급이라는 단어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정부에 의한 가격 통제나 공급곡선 주변 상황으로 인한 급격한 가격 변동이 없다는 가정하에는 가격이 높아지면 소비자의 수요는 줄고 판매자의 공급은 늘어납니다.
가격이 증가하면 수요는 줄고 공급은 늘어납니다.
그리고 경제학에서는 이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지점을 균형점이라고 하며, 시장에 참여하는 모든 구매자와 생산자가 충분히 거래할 수 있는 상태라고 이야기 합니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을 균형점이라고 합니다.
실무에서 쓰이는 가격-매출이익 분석
수요-공급 곡선도 중요하지만 현업에서 더욱 중요한 것은 '어떠한 가격을 결정했을 때, 회사에 얼마만큼의 이익을 가져다 공급곡선 줄 수 있는가?' 입니다. 따라서 실무에서는 수요-공급 곡선보다 더 자주 사용되는 분석방식이 있는데요. 바로 "가격-매출이익" 분석 입니다.
현업에서는 가격 매출이익 분석이 더욱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특히 영업부서나 마케팅, 기획 팀에서 근무한다면 가격-매출이익 분석은 신제품 출시, 프로모션 진행 등 다양한 상황에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분석 기법입니다.
공급이란 어떤 재화나 서비스의 모든 가격수준에서 판매하고자 의도하는 양(공급곡선 전체)를 말하며, 공급량이란 어떤 재화나 서비스의 특정 가격수준에서 판매하고자 의도하는 양(공급곡선상의 한 점)을 말한다.
부동산도 마찬가지로 부동산의 가격 또는 임료수준에 대응하여 판매 또는 임대하고자 하는 욕구를 부동산공급이라고 함.
부동산 공급-부동산의 모든 가격 또는 임료수준에 서 판매 또는 임대하고자 의도하는 양으로 공급곡선 전체 를 말함
부동산 공급량-부동산의 특정 가격 또는 임료수준 에서 판매 또는 임대하고자 의도하는 양으로 공급곡선상의 한 점 을 말함.
유량공급이란 일정 기간 동안 신규공급 을, 저량공급이란 일정한 시점에서의 기존공급 또는 재고공급 을 말함.
생산자의 판매욕구에 팔 능력이 뒷받침된 공급을 유효공급 또는 실질적 공급이라 함.
부동산 공급은 가격 또는 임료수준에서 생산자가 기꺼이 공급의사와 능력을 공급곡선 가지고 있는 유효한 것, 즉 유효공급 또는 실질적 공급을 말함.
공급이란 생산자가 어떤 공급곡선 재화를 실제로 판매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가격수준에 대해 판매하고자 하는 의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전적 개념이다. 부동산 공급도 이러한 사전적 개념이다.
공급량이란 생산자가 어떤 재화의 가격수준에 대응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최대의 수량을 말한다. 부동산 공급량도 마찬가지로 부동산의 가격 또는 임료수준에 대응하여 판매 또는 임대하고자 하는 최대의 수량을 말한다.
일반 재화의 경우 공급자는 생산자를 말하나, 부동산 공급자에는 건설업자나 개발업자와 같은 생산자뿐만 아니라 기존 부동산 소유자도 포함된다 . 부동산 공급에는 신규부동산뿐만 아니라 기존 부동산도 포함되기 때문
공급함수를 통해 공급법칙을 도출하고 이러한 공급법칙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
어떤 재화에 대한 공급량과 그 재화의 공급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의 함수관계를 공급함수라고 한다.
아파트의 공급량(종속변수)=아파트의가격, 기술수준,생산요소의 가격,대체재의 가격, 보완재의 가격,금리,조세,공법상규제,아파트 가격 하락의 기대감,정부의정책,경기변동,미래에대한 전망 (독립변수)
당해 재화 가격 이외 요인은 모두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당해 재화의 가격과 공급량 사이에는 비례관계[가격+공급량]에 있다는 경제원칙.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 증가,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은 감소한다는 경제원칙
당해 재화의 가격 이외 공급곡선 요인은 모두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당해 재화의 가격과 공급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을 공급곡선이라고 한다.
개별 생산자들 각각의 공급곡선을 개별공급곡선이라고 하며, 이런 개별공급곡선을 수평으로 합하여 도출한 것이 시장공급곡선이다, 시장공급곡선의 기울기는 개별공급곡선의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된다.
공급의 법칙에 따른 전형적인 공급곡선의 형태 P는 가격을 의미하며 Q는 공급량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공급곡선은 수요곡선과는 반대로
오른쪽으로 갈 수록 올라가는 우상향 모양을 취하게 된다
- 왜냐하면 상품의 단가(공급곡선 단위가격)가 오를 수록
- 공급자(생산자, 판매자)의 이윤이 같이 오르기 때문에
- 더 많이 팔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를 공급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수요 문서에서 나온 내용과 비슷하게도
오른쪽의 그래프 역시 10을 팔기 위해 최소한 15를 받아야 하고
30을 팔기 위해 최소한 30을 받아야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 이런 전제를 통해서, 일반적으로
- 우리는 한번에 생산하는 량을 많이 늘리려고 할 수록
- 추가적인 비용이 더 많이 들게 될 거라는 것도 알 수 있다
- (감자요리를 대량으로 하기 위해 감자 다듬는 기계에 투자하는 비용이 더 증가하는 등)
경제학에서는 이런 개념을 한계비용이라고 부른다
-
문서에서
- 공급곡선과 한계비용의 관계에 대해
- 더더욱 자세하게 설명해 놓았다 문서 참조
어떤 상품의 공급량을 결정하는 요인들과 공급곡선 간의 공급곡선 관계 [ ]
무엇보다도 그 상품의 가격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
- 그 밖에도 투입요소의 가격, 생산기술
- 산업 안의 기업 수, 미래에 대한 기대 등이
- 공급량 결정에 영향을 미침
하지만 이 모두를 동시에 고려하기 힘드므로
상품의 가격과 공급량 사이의 관계에만 집중하여
추상화된 공급 곡선을 그리게 됨
공급곡선 위의 운동 및 공급곡선의 이동 [ ]
역시 수요 문서의 내용과 비슷하게도
다른 조건의 변화 없이 순수하게 상품 그 자체의 가격만 변화할 경우 공급곡선 위의 운동이 일어나며
(위 항목에서 설명한) 다른 요인이 변화하게 된다면 공급곡선 (전체)의 이동이 일어남
개별 생산자(개인 혹은 기업)의 공급과 시장 전체의 공급 간의 관계 [ ]
시장을 구성하는 개별 소비자 각각의 수요곡선을 수평으로 더해
시장 전체의 공급곡선 구하는 법 시장 전체의 수요곡선을 구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시장 전체를 구성하는 생산 주제(개인이 되었든 기업이 되었든) 하나하나의 공급곡선을 수평 방향으로 모두 더하는 방법으로 시장 전체의 공급곡선을 구할 수 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