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p Loss 조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Keras 학습에 사용되는 Callback 4가지

Keras의 callback들은 training 단계에서(epoch 시작부터 끝까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 object들을 말합니다. callback들을 통해서 tensorboard에 모든 batch of training들에 대해 metric 수치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Early Stop이나 Learning Rate Scheduling과 같은 기능을 통해 학습결과에 따라 학습을 멈추거나 학습률을 조정할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Callback들을 잘 활용한다면, 딥러닝 학습의 결과를 보다 좋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callback 4가지를 소개하고, 사용법에 대해 포스팅하였습니다.

LearningRateScheduler

LearningRateScheduler는 epoch에 따라 학습률을 조정하는 callback입니다. 인자로 받는 schedule은 epoch index를 조정할 수 있는 function을 의미합니다.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epoch가 10보다 작을 경우에는 입력받은 learning rate를 그대로 사용하고, 10을 넘어가게 되면 lr을 줄여주는 연산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으로 학습이 진행되며 lr을 줄여나가기 때문에,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것도 괜찮지만, 학습의 결과를 반영할 수 없고, 학습 시작전에 정한 값을 통해 lr을 줄여야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음에 소개할 callback은 이러한 단점을 어느정도 보완하였습니다.

ReduceLROnPlateau

Plateau는 안정기를 뜻합니다. ReduceLROnPlateau는 말 그대로 학습이 진행되지 않는 안정기에 들어서면, learning rate에 변화를 줍니다. 동작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관찰 대상으로 삼은 metric이 정해진 epoch동안 일정 크기 이상 변화하지 않으면 lr을 정해진대로 변경합니다. 파라미터의

monitor는 기준이 될 metrics를 의미하고,
factor는 lr에 변화를 어느 정도 줄 것인지,
patience는 몇 epoch동안 변화가 없으면 lr을 변화시킬건지,
mode는 auto, min, max 3가지가 존재하는데, monitor로 정한 metric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움직여야하는지,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여야하는지 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 예시는 다음 코드와 같습니다.

ModelCheckPoint

ModelCheckPoint는 어떤 시점에서 model이나 weights를 저장할 Stop Loss 조정 것인지 정할 수 있는 callback입니다. monitor로 넣은 metrics의 변화에 따라, best값을 저장하거나, model을 통째로 저장하거나, weights만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EarlyStopping

EarlyStopping은 metric이 일정 epoch 이상 변화하지 않으면, 학습을 멈추는 callback입니다. min_delta는 변화를 감지할 Stop Loss 조정 최소변화량을 의미합니다. min_delta로 지정한 값보다 metric의 변화가 적으면, count가 올라갑니다. patience는 변화가 어느 정도 없을 때 학습을 멈출 것인지 정하는 파라미터입니다. mode는 metric의 변화 방향을 지정합니다.

Stop Loss 조정

오후 분석대로 상승 기대

주황색 하락 추세선 돌파 후, 리테 후, 상승 중

지금이라도 시전 으로 포지션 롱 진입

노랑 화살표가 리딩다이고날 상단 (1)파 보고 (2)파 조정 후, (3) 에 1 파에서 RSI 하다 확인 했지만 ㅜㅜ < 이 때 정리했어야했지만 순간 놓침

(3)-2파 조정이 (1) 파의 고점을 Stop Loss 조정 Stop Loss 조정 침범하면 손절 예정 > 손절 주문 (Stop Loss) 걸어 둠

이후, (3)-2 파 조정 진행 중인디 손절 나감

상승 실패. 다시 보니 리테가 지금 이었던 것 같음. 코린이라 시야가 좁아 ㅋㅋ

낮에 반입 먹은거에 반입 내줌

하락 추세 돌파 후, 리테가 노랑동그랑 이 아니구 아래 노랑동그랑 이지 않을까?

Stop Loss 조정

제가 얼마전 부터 매매일지를 작성하고 있는데 어떤분이 어쩌면 그렇게 손절을 잘 할 수 있느냐고 감탄의 댓글을

쓰셨더군요. 물론 저도 손절 잘 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습니다. 손절을 제때 못 한 경우(Stop Loss 설정을 안한 경우)는 손실이 장난이 아닐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익은 늘지 않고 손실만 자꾸 늘어 나서 쪽박을 차게 되는데.

갑작스런 급락, 급등 후 급락 등에 대한 대처하는 좋은 방법으로 스탑로스(또는 로스컷) 주문 방식을 게시하고자

합니다. 물론 잘 알고 있으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초보자인 제가 설명 올리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대우증권 HTS(Home Trading System)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Stop Loss 조정 [5142] 주식 STOP LOSS 창을 띄우고 비밀번호를 입력

멍티님이 추천하신 종목을 매수

1. 하단의 "보유종목" 버턴을 클릭하여 매수종목 선택 클릭

2. 가격구분란의 "시장가" 클릭

가격구분은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급락을 대비해서 항상 시장가 주문으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 만약 지정가 주문을 할 경우 급락시 대처가 안됩니다. 손실제한 폭을 설정해 놓는다 해도 자동 주문 들어

가는 사이에 주문호가를 지나쳐 버려서 매도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항상, 반드시 시장가 주문으로 설정하시기

보유수량 전부를 주문할 경우는 "보유수량 전부"를 체크하시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수량을 직접 입력

기준가격은 현재가, 매도호가, 매수호가 로 구분되어 있는데, "현재가"로 체크

"손실제한" 체크한 다음 비율(%) 또는 손실폭직접입력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Stop Loss 조정 비율(%)"로 체크하시고, 2 또는 3 입력

※ 멍티님은 2~3% 손절을 원칙으로 하시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알아서 하시면 됩니다.

손실제한 폭의 가격에서 거래가 되면 시장가로 자동으로 매도 주문이 나가게 되고 매도 체결이 되면, 휴대폰으로

"확인" 버턴을 클릭하면, 주문등록 조건 확인 창인 뜹니다. 주문사항을 확인하시고 "감시시작" 버턴을 클릭하면

하단의 조건조회 창에 주문 사항이 등록됩니다.

만약, 설정사항을 해지하실려면 설정 종목을 선택하시고 "감시중단" 버턴을 클턴을 클릭한 다음, "조건표해지" 버턴을

클릭하면 주문사항이 해지가 됩니다.

※ "시장가" 주문의 단점 : 호가 공백이 생기게 되면 호가 공백 만큼의 손실이 더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급락시에는

그 정도는 감수하는 것도 엄청 괜찮지 않을까요? 또한 지정가 로 주문을 낸 경우보다 우선해서 체결이 되니까 더욱 더

Trailing stop 설정(최고이익대비 손실제한)에 대하여

이것은 매수종목이 횡보를 하다가 갑자스럽게 급등하여 하락조정을 보이거나, 급등 후 급락할 경우 이익을 보존하는

방법입니다. 초보자들의 경우 매수종목이 급등 및 상승을 할 경우 욕심이 끝이 없게 됩니다. 그러나 주식판은 만만치

않습니다. 방금 엄청난 수익을 보고 있었는데, 갑자기 수익이 내려오면 욕심때문에 아까워서 절대 매도를 못 하게 됩니다.

개미들의 심리가 다 그렇지 않습니까? 그래서 어느 정도 목표가를 정해 놓고, 매수종목이 그 목표가 보다 높은 금액에서

거래되다가 떨어지는 경우, 목표가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방법이니 필히 설정해 놓으시기 바랍니다.

1. 하단의 "보유종목" 아이콘 클릭하여 매수종목 선택 클릭

2. 가격구분란의 "시장가" 클릭

4. Trailing stop 설정(최고이익대비 손실제한) 체크

체크하시면 조건 설정창이 뜹니다.

- "비율(%)" 또는 "이익목표직접입력" 중 선택

- "비율(%)"를 선택하면 매수가 대비 이익 목표율을 입력

예) 매수가 대비 5% 이상 수익을 보고 싶을 경우 : "5" 입력

"이익목표직접입력"을 선택하면 매수가 대비 이익

예) 매수가 대비 100원 이상의 수익을 보고 싶을 경우 : "100" 입력

예) 이익보전율을 95 %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 "95" 입력

※ 예를들어 어떤 종목을 매수가 : 10000 원, 이익목표 : 10 %(또는 1000 원), 이익보전율 : 95 % 라고 설정했다면.

매수종목의 주가가 Stop Loss 조정 급등하여 이익목표치 10 %(11000원)를 초과하여 20 %(12000원) 까지 급등한 다음, 고점(12000원)

에서 하락하였다면, 최고이익은 2000원(고가 - 매수가 = 12000원 - 10000원 = 2000원)이 됩니다. 이때 이익보전율을

Stop Loss 조정

darknet 학습을 위해 이전에 처리해야할 과정들은 다음 포스팅을 참고

[Object Detection] darknet custom 학습 준비하기

[Object Detection] Darknet 학습 준비하기

환경 Ubuntu 16.04 GeForce RTX 2080 1. 학습 준비하기 1.1 COCO 데이터 세트를 이용한 학습 COCO 데이터는 2014 , 2017 로 나뉘어져 있는데,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을 수도 있지만, 크기가 너무 커서 유틸리티 cur..

1. Darknet 코드 다운받기

Darknet 프레임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github 는 크게 2가지가 있다.

1.1 yolo v3 저자가 만든 github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ontribute to pjreddie/darkne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1.2 부가적인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때 많이 쓰는 github

(mAP 계산, 학습 시 Loss, iteration, mAP 를 그래프로 확인 등. )

Windows and Linux version of Darknet Yolo v3 & v2 Neural Networks for object detection (Tensor Cores are used) - AlexeyAB/darknet

신한금융투자는 증권업계 최초로 미국 주식 ‘Stop-limit 주문’ 서비스를 시작하고, 기념 이벤트도 진행한다고 밝혔다.

Stop-limit 주문(이하 스탑주문) 서비스는 특정 가격에 도달할 때 매수/매도 주문이 실행되는 서비스다.

가령 현재가 100$ 주식을 보유한 고객이 90$까지 하락할 때 매도(손절)하고 싶은 경우, 스탑 매도 주문을 감지가 90$로 미리 설정하면, 주가가 90달러로 하락한 경우 매도 주문이 실행된다.

상/하한가 제한이 없는 미국시장에서 리스크를 관리하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미국 현지에서 사용되는 기능이다.

주문 방식은 기존 주문과 같다. 예약 주문도 가능하며, 장중에는 주문 유형을 ‘Stop-limit’ 주문으로 설정을 변경하면 된다. 유의할 점은 ‘매도 스탑’ 주문 시 감지가는 현재가보다 낮게, ‘매수 스탑’은 현재가보다 높아야 하니, 실시간 시세를 면밀히 확인해야 한다.

미국 주식 실시간 시세 확인, 주문 등 자세한 내용은 신한금융투자 PB 또는 24시간 365일 운영되는 나이트데스크를 통해 가능하다.

신한금융투자는 스탑주문 서비스 오픈을 기념해 ‘해외주식 스탑 주문 넣고 꿀잠 자자’ 이벤트도 내달 29일까지 진행한다.

스탑 주문을 넣은 고객을 대상으로 주문 후기 작성자, 15회 이상 스탑 주문 사용 고객 중 추첨으로 TEMPER 베개를 증정한다. 또 스탑 주문 주문을 넣은 고객 중 선착순 Stop Loss 조정 100명에게는 꿀스틱을 제공한다.

신한금융투자 윤병민 GBK사업부장은 “미국 주식시장은 한국 시간으로는 야간에 열리기에 급격한 주가 등락에 대응하기가 어려웠으나, ‘스탑 주문’으로 변동 리스크를 줄일 수 있게 됐다”라며 “특히 이번 스탑주문 기능은 고객의 요청으로 제작돼 의미 있으며, 앞으로도 Stop Loss 조정 고객의 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는 등 고객과 상생하는 금융투자회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