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2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비트코인 시세추이(출처:blockchain.info)

전자 상거래의 비트 코인 및 블록 체인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이 페이지의 링크에서 서비스에 가입하면 Reeves and Sons Limited가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의 윤리 성명서.

전자 상거래 산업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추세가 있지만,이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암호 화폐를 지불 방법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비트 코인 가격.

때에 온다 결제 처리기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서 이야기는 신용 카드, PayPal, COD (대금 상환) 등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그러나 이제 비트 코인과 디지털 통화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통화는 전자 상거래의 미래입니다. 비트 코인은 2011 년에 설립되었지만 당시에는 모든 종류의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상상하기 어려웠습니다.

현지 통화를 쉽게 비트 코인으로 전환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소매 업체는 비트 코인을 결제로 받아 들일 생각조차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특히 지난 3 년 동안 상황이 점진적으로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2015 년 비트 페이 신고 전 세계적으로 비트 코인을 수락하는 가맹점 수가 100,000 만 명이 넘었습니다. 현재 비트 코인을 수락하는 수많은 판매자가 있습니다. Bitcoin 거래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BitPay를 통한 Bitcoin 거래는 102,221 년 유럽에서 분기당 2015 건의 거래를 만졌으며 매월 34,074 건의 거래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지금-블록 체인은 무엇입니까?

블록 체인 혁명

비트 코인은 다양한 산업을 형성하는 블록 체인 혁명의 일부입니다. 블록 체인은 기술 기반 비트 코인의 이름입니다. 모든 트랜잭션을 저장하는 네트워크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분산 트랜잭션 원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해 이미 배포 된 트랜잭션을 가짜로 만드는 것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블록 체인은 중재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트랜잭션은 부분적으로 익명이지만 안전합니다.

이제 이것이 전자 상거래 마케팅 담당자에게 어떻게 유효합니까?

블록 체인 전자 상거래 모델

전자 상거래 시장에서divi듀얼은 상품을 등록하고 판매자로부터 직접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것을 상상해보십시오.

구매자, 판매자 및 마켓 플레이스의 세 엔티티는 모두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있습니다.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수행하는 각 조치는 시장에서 블록 및 '작업 증명'을 생성합니다.

구매자가 먼저 주문합니다. 마켓 플레이스는 블록을 생성하고 '작업 증명'을 표시하여 판매자가 제품 배송 주문을받습니다.

그런 다음 구매자는 지불을하여 시장에서 다시 블록과 '작업 증명'을 생성합니다. 판매자는 지불을받은 후 제품을 고객에게 배송하여 다시 시장에서 블록과 '작업 증명'을 생성합니다. 고객이 제품을받습니다. 이것이 블록 체인에서주기가 완료되는 방식입니다. 다음 그림에 완벽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전자 상거래 모델의 블록 체인

구매자 또는 판매자의 각 행동은 다른 주체가 행동하는 것을 기반으로 시장에서 블록과 '작업 증명'을 생성합니다. 다른 중재 기관이 관여하지 않는 온라인 시장을 통해 구매자와 판매자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간의 직접적인 연결입니다. 디지털 통화 인 비트 코인은이 블록 체인 모델에서 완벽하게 작동합니다.

자, 왜 이것이 좋습니까?

블록 체인은 누구도 소유하지 않으므로 판매자가 의무적으로 지불해야하는 마켓 플레이스 공급 업체가 없습니다. 또한 공급 업체는 블록을 만들기 위해 판매자로부터 수수료를 청구 할 수 있지만 전자 상거래 시장 판매자가 판매자에게 청구해야하는주기적인 판매 수수료는 없습니다.

그리고 비트 코인의 채택과 사용이 어떻게 증가하고 있는지 살펴보면 확실하게 말할 수있는 것이 있습니다.

비트 코인은 여기에 있습니다

IT 산업은 비트 코인 수용의 최전선에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온라인 비즈니스의 다른 분야가 빠르게 따라 잡고 있습니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이것이 온라인 결제의 미래라고 느끼면서 디지털 통화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비트 코인이 유지되고 미래임을 나타내는 몇 가지 어려운 통계입니다.

    Statista가 발표 한 33 년 설문 응답자의 2016 %는 디지털 통화가 온라인 지출의 미래라고 믿었습니다.
  • 또 다른 공부 Statista는 16.42 년 2017 월부터 유통중인 비트 코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약 XNUMX 만 개에 달했다고 밝혔다.
  • 모든 비트 코인 글로벌 트랜잭션의 데이터 크기 amounted 약 85까지 giga2016년 XNUMX월 기준 바이트입니다.
  • 유럽 ​​사람 투자 비트 코인 채굴에서 약 69 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비트 코인 디지털 지갑 개발에 34 만 달러의 추가 투자가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것이 널리 보급되고 채택되고 있다면 편의성과 이점 때문입니다. Bitcoin은 전자 상거래에 많은 이점을 제공하여 맞춤형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카드 정보, 핀 번호 등을 입력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돈을 즉시 송금 할 수 있습니다. 민감한 데이터 나 기밀 데이터가 순환하지 않으므로 보안에 대한 걱정이 없으므로 해킹 불가능 옆에.

그러나 고객은 어떻게 비트 코인을 사용하여 물건을 구입할 수 있습니까?

디지털 통화로 쇼핑하려면 고객이 온라인 교환이나 중개에서 비트 코인을 구매하기 만하면됩니다.

1 단계 : 고객은 일반적인 은행 계좌에서 온라인 비트 코인 거래소 또는 중개로 돈을 이체하여 비트 코인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2 단계 : 비트 코인을 구매 한 후 기본적으로 구매하는 동안 액세스 할 수있는 일종의 온라인 계정 인 지갑 (PayPal 생각)에 할당 할 수 있습니다.

실제 매장에서 쇼핑하는 동안 고객은 비트 코인 지갑의 모바일 앱만 열면됩니다. 상점의 디바이스에 QR 코드 리더를 보유해야합니다. 이렇게하면 내장 된 비밀 암호가 비트 코인 주소를 잠금 해제하여 비트 코인 네트워크에 상점으로의 전송을 알립니다. 이 과정은 몇 초 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자, 제가 물었던 질문은 바로 PayPal의 작동 방식입니다. 차이점이 뭐야?

비트 코인은 디지털화 된 글로벌 통화입니다. 디지털 통화는 이동하기가 더 쉽습니다. 당신을 위해 은행을 필요로하지 않으며, 그 과정에서 중개인 (모든 거래에서 지불 수수료가 싫어)을 피할 수도 있습니다.

비트 코인은 고객이 수행 한 거래에 대해 청구되는 은행 거래 수수료를 절약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모든 전송 편의성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은 이름이 아닌 사용자의 지갑 ID 만 공개 비트 코인 로그에 저장되어 거래의 익명 성을 초래하여 불법 지불에도 이상적이라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모든 동전에는 양면이 있으며,이 경우 비트 코인의 장점은 보편적이며 단점보다 중요합니다. 비트 코인 결제는 이미 다양한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서 허용되며 더 널리 퍼질 수 있습니다.

즉시 지불 처리는 온라인 거래가 더 빨리 수행되도록 도와줍니다. 이것이 우리 모두가 전자 상거래 상점에 원하는 것입니까?

결제가 더 빨리 처리되면 제품도 더 빨리 배송 할 수 있습니다. 쇼핑 프로세스를 가속화하여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입니다.

온라인 상점에 비트 코인 결제를 설정하는 방법

전자 상거래 상점에서 비트 코인 결제를 설정하기 위해 코딩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BitPay 및 CoinBase와 같은 타사 결제 프로세서를 사용하면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BitPay를 사용하면 전자 상거래 사이트를위한 비트 코인 결제 솔루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요 전자 상거래 플랫폼 . 을 포함하여 Shopify 및 WooCommerce.

비트 코인 WooCommerce

귀하의 비트 코인 결제 옵션을 설정하려면 WooCommerce 사이트에서 수행해야 할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먼저 BitPay 판매자 계정에 가입하십시오.
  • 그런 다음 WooCommerce BitPay 지불 게이트웨이는 최신 버전입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업데이트해야합니다.
  • 업데이트 한 후에는 구성 할 수 있습니다. WooCommerce BitPay를위한 저장.

머리로 WooCommerce 구성 설정은 WordPress 관리자 섹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WooCommerce 섹션에서 Checkout과 BitPay가 있는 설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당신은 또한 여기를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Plugins 섹션을 선택합니다. plugin 설정 링크를 클릭합니다.

비트 코인 WooCommerce 설정

위 스크린 샷에서 API 토큰 섹션을 확인하십시오. 페어링 코드를 입력해야합니다. 당신은 당신을 만들 수 있습니다 페어링 코드 판매자 계정 대시 보드에 로그인하여 페어링 코드를 얻은 후에는 상자에 입력해야합니다.

구성이 완료되면 확인 토큰이 제공됩니다.

비트 코인 WooCommerce API 토큰 확인 단계

그런 다음 주문 상태를 표시하는 IPN (Instant Payment Notifications) 기능을 구성 할 수 있습니다.

비트 코인 WooCommerce IPn 알림

변경 사항을 저장하면 성공적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WooCommerce 비트 코인 결제를 수락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주문을 더 빠르게 처리 할 수 ​​있습니다. 구성이 완료되면 고객에게 결제 옵션의 일부로 다음 메뉴가 표시됩니다.

비트 코인 WooCommerce 구성 후

당신을위한 비트 코인 Shopify 스토어

Shopify 온라인 상점을 빠르게 설정할 수있는 가장 인기 있고 편리한 옵션 중 하나 인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온라인에서 훌륭한 물건을 판매하여 돈을 벌 수있는 사람을위한 수많은 지침을 제공하며, 우리는 그 전에 그것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BitPay를 사용하면 Shopify 비트 코인을 쉽게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세스에는 API 키 획득도 포함됩니다.

새 키를 만들려면 BitPay 판매자 계정에 로그인하고 결제 도구 및 레거시 API 키로 이동해야합니다. API 키가없는 경우 새 API 키 추가를 선택하여 API 키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을위한 비트 코인 Shopify 설정 API 키

이제 비트 코인 결제를 켜야합니다. Shopify 저장. 이를 위해 Shopify 왼쪽 사이드 바에있는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지불을 선택하십시오. 그런 다음 지불 승인 섹션으로 이동하고 대체 지불 서브 섹션에서 추가 지불 방법 선택을 클릭하십시오.

드롭 다운에서 BitPay를 선택한 다음 생성 한 API 키를 입력하십시오. 활성화를 클릭하면 비트 코인 결제를 수락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을위한 비트 코인 Shopify 결제 설정

BitPay를 통해 Shopify 및 WooCommerce.

이제 내가 좋아하는 다음 플랫폼으로 BigCommerce.

당신을위한 비트 코인 BigCommerce 스토어

당신을 위해 BigCommerce ChainPay는 비트 코인 결제 설정을 도와줍니다. ChainPay는 비트 코인을 현지 통화로 변환합니다. 돈은 은행 계좌로옵니다.

이것을 설정하려면 BigCommerce 계기반.

  • 설정 및 도구로 이동하여 기존 API 계정을 클릭하십시오.
  • 그런 다음 레거시 API 계정 생성을 선택해야합니다. 그런 다음 사용자 이름으로“chainpay”를 선택하고 저장하십시오.
  • 이러한 세부 사항은 ChainPay 포털에 복사해야합니다. 그런 다음 편집을 클릭하여 API 경로 및 API 키를 확인하십시오.
  • 새 탭을 열고 ChainPay 포털에 로그인하십시오.
  • 저장 설정으로 이동하십시오. 고르다 BigCommerce.
  • 그런 다음 사용자 이름으로“chainpay”를 입력하십시오.
  • 너의 BigCommerce API 경로와 API 토큰을 모두 복사하고 저장을 누르십시오.

지금 당신 BigCommerce 매장은 비트 코인 결제를 수락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객이 비트 코인으로 결제 할 수 있도록 ChainPay 스 니펫을 추가해야합니다.

비트 코인 bigcommerce 체인 지불 설정

  • ChainPay Store 설정으로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가서 계정 정보 스 니펫을 복사하십시오.
  • 다시 머리 BigCommerce 설정 및 도구에서 결제를 저장하고 선택합니다.
  • 그런 다음 추가 지불 방법을 클릭하고 저장하기 전에 은행 입금을 확인하십시오.
  • 그런 다음 은행 예금 탭을 열고 이름을 비트 코인으로 변경하십시오.
  • 저장을 클릭하기 전에 계정 정보 상자에 복사 한 스 니펫을 붙여 넣으십시오.

조금 더 길지만,보기보다 쉽습니다.

우리는이 모든 일을하기 위해 정말로 고통을 가져야합니까?

글쎄, 나는 우리가 이것을 처음으로 채택했다고 주장하고 싶지만 그렇지 않다.

많은 유명한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서 비트 코인 결제를 받기 시작했습니다. 비트 코인은 주류 쇼핑의 일부가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Overstock.com

이것은 Coinbase와 파트너 관계를 맺고 비트 코인을 수락하기 시작한 최초의 주요 전자 상거래 상점이었습니다. 2014 년 XNUMX 월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방석에서 비트 코인이있는 노트북에 이르기까지 무엇이든 구입할 수 있습니다. "비트 코인으로 지불"옵션을 클릭하기 만하면됩니다.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큰 여행 예약 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2014 년 XNUMX 월부터 호텔 예약에 대해 비트 코인 결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비트 코인 결제는 호텔 예약에만 허용되며, 항공편 결제 또는 현재의 결제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Expedia는 비트 코인 지불을 구현하기 위해 Coinbase와 협력했습니다.

Newegg는 전자 기기를 다루며 구독 주문, 선주문, Newegg 디지털 선물 자동차와 같은 일부 제품은 주문, 마켓 플레이스 품목, 반품 배송 라벨 및 프리미어 멤버십과 같은 일부 제품을 제외하고 2014 년 XNUMX 월부터 비트 코인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Newegg에서 직접 판매하지는 않지만 Newegg 사이트에서 계속 제공되는 제품에 대한 비트 코인 옵션을 찾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BitPay는 비트 코인 결제 처리 파트너입니다.

위성 텔레비전 제공 업체 인 Dish Network는 2014 년 XNUMX 월부터 비트 코인 결제를 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비트 코인 결제 옵션을 제공하는 최초의 구독 기반 TV 프로그래밍 회사입니다. 또한 암호 화폐 또는 디지털 통화를 허용하는 가장 큰 회사 중 하나입니다. 비트 코인입니다. Dish Network의 비트 코인 파트너는 Coinbase입니다.

이러한 주요 소매점 외에도 많은 온라인 상점이 Shopify 비트 코인 결제 옵션을 제공하는 플랫폼. 2013 년에 BitPay는 Shopify 75,000을 초과 한 상점 소유자는 비트 코인 지불을 수용 할 수있는 옵션입니다. 물론이야, WooCommerce 및 BigCommerce 매장은 비트 코인 결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마이닝, 그리고 가격 : 반감기 이후의 랠리가 올까?

현재 진행중인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가상화폐 채굴 사업들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는 대형 마이닝 풀, 소형 채굴자, 그리고 하드웨어 생산업체 모두를 힘들게 했다.

한편 올해의 반감기가 비트코인 가격 랠리를 이끌었고, 많은 채굴자들이 이 반감기의 수익 손실을 상회하려 하느라 힘든 시간을 보냈다.

이 모든 것 위에,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최악의 환경상태와 규제 등을 피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 모든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비트코인 채굴 산업에서 놀라운 반응을 보았다.

코로나 바이러스와 비트코인 반갑기

코로나 바이러스의 대유행의 효과를 시작으로 올해 채굴업의 가장 중요한 사건들을 살펴보자.

지난 3월 증시가 큰 폭의 하락을 겪으면서 암호화폐 가격 폭락이 촉진됐다.

며칠 사이에 비트코인 가격이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46% 하락했다가 회복세로 접어들었다.

BTC 가격과 함께 네트워크의 총 컴퓨팅 파워를 일컫는 비트코인 해시율은 같은 기간 1억2300만 TH/s에서 95 TH/s로 하락해, 암호화폐 시장 폭락으로 채굴자들이 영업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시율이 손실을 회복하는 데 거의 두 달이 걸렸지만, 채굴자들은 비트코인의 반감기이라는 또 다른 주요 사건에 직면해야 했다.

간단히 말해 디플레이션 통화 시스템의 일부로서, 새로운 블록으로 발생하는 새로운 비트코인 채굴자들의 수는 매 4년마다 반으로 줄어든다. 우리는 이 행사를 비트코인 반감기라 부른다.

블록 보상이 줄어들면 채굴자들의 수익성도 줄어들어 시장에서 가격을 보전하지 않는 한 상당 부분이 영업을 중단하게 될 것이다.

5월 11일의 반감기에 이어, 우리는 같은 추세를 목격할 수 있었다.

5월 11일부터 5월 24일 비트코인 해시율은 25% 하락했는데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발 시장 붕괴 당시보다 훨씬 큰 폭의 하락을 의미한다.

고군분투하는 비트코인 채굴기 제조업체들

지난 몇 달 동안, 가상화폐 채굴 하드웨어 제조업체들은 몇 가지 주요 문제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최대 암호화폐 채굴장비 업체인 비트메인은 공동창업자 간 영업권 쟁탈전이 한창인 가운데 장비 납기가 크게 지연되고 있다.

지난 7월 이 회사의 전 직원들은 비트메인의 몽골 소재 채굴시설에서 1만여 대의 암호화폐 채굴 기기를 불법으로 옮긴 혐의를 받고 있다.

또 다른 대형 비트코인 채굴기 제조업체인 가나안은 2020년 2분기 순손실을 발표했는데, 이는 대유행의 부작용과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올해의 반감기 사건 때문이라고 회사 측은 보고하고 있다.

극한 기상 및 규제 단속

중국 채굴자들은 대유행의 타격을 받은 것 외에도 극심한 기상 상태와 최근의 규제 단속의 영향을 받았다.

지난 8월 비트코인 네트워크 컴퓨팅 파워(추정)의 50% 이상을 기여하고 있는 중국 쓰촨성이 폭우를 겪으면서 주요 채굴장에서 하루 해시율이 10%~20% 사이 하락하는 결과를 낳았다.

내몽골 산업정보기술부는 정부 단속의 일환으로 지난 8월 말 비트코인 채굴장 21곳의 에너지 거래를 불허해 운영비가 증가했다.

앞서 지난 8월 키르기스스탄은 비트코인 채굴에 대해 15%의 세금을 부과해 정부가 대유행의 영향에 대처하도록 돕겠다고 발표했다.

역대급 채굴 난이도 및 해시율 상승

올해 비트코인 마이너들의 온갖 악재에도 불구하고 광산업은 계속 성장하고 있다.

Blockchain.com의 자료에 따르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해시율은 반감기 하락 이후 현재 상승 추세를 보이며 5월 24일 이후 암호화폐의 총 컴퓨팅 파워가 35% 증가했고, 8월 16일 1억2900만 TH/s로 사상 최고치에 도달했다.

해시율 변화에 따라 2주마다 자동으로 조정되는 네트워크 난이도도 8월 31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올해 비트코인이 반토막 난 이후 9% 상승한 것이다.

비트코인 랠리가 임박했나?

비트코인의 반감기 이후 해시 비율과 난이도 상승 모두 건강한 네트워크와 성장하는 채굴 산업을 나타낸다.

과거 비트코인 가격과 해시 비율의 상관관계 외에도 역사적인 반감기 이벤트들이 주요 비트코인 불장에 기름을 부었다.

이전 비트코인 반감기 행사 때는 2012년과 2016년 반감기 행사 이후 비트코인의 가치가 전년 대비 각각 8000%, 2900% 가까이 급등했다.

이러한 불확실한 시기 속에서 채굴업의 유기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이 데이터를 근거로 볼 때 가격 상승은 제자리걸음을 하지 않을 것이다.

비트코인 가상화폐 시대의 도래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0k

좀 더 업그레이드하여 자료를 보완하여,
과제물을 꼼꼼하게 정성을 들어 작성했습니다.
제 자료가 구입자분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입자 분의 앞날에 항상 무궁한 발전과 행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홧팅^^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비트코인에 대한 소고
1) 비트코인의 의미
2) 비트코인을 채굴하게 된 의미
3) 화폐적 차이
2. 비트코인의 기술
1) 주소 2) 거래
3) 블록체인 4) 비트코인 생성
5)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거래 수수료 6) 총발행량


3. 비트코인의 장단점
1) 장점
(1) 간편한 지급 및 자금이체
(2) 거래비용의 감소
(3) 익명성
(4) 통제가능한 인플레이션
2) 단점
(1) 높은 가격변동성
(2) 미성숙의 위험
(3) 공급 탄력성의 부족
4. 외국의 비트코인 주요 현황
1) 중국 2) 대한민국
3) 미국 4) 유럽 국가
5) 일본


5. 비트코인의 문제
1) 공급량 문제점 극복
2) 암시장
3) 탈세
4) 돈세탁
5) 불법 채굴
6) 거래소 사기
7) 해킹·보안의 위험
8) 과세문제
6. 비트코인 문제 해결방안
1) 거래소 지갑공개 청원
2) 비트코인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방법이 필요
3) 현행법규의 탄력적인 적용
4) 혁신적인 소규모 지급 및 자금이체 장치로서의 활용 가능성
5) 규제기관의 기술에 대한 적응성과 탄력성


7. 비트코인의 남은 과제들
8. 비트코인의 향후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전망
9. 시사점
10. 나의 제언
Ⅲ. 결 론

요즘은 갈수록 개인들 간의 거래가 매우 편리해 지고 있어 은행거래뿐만 아니라 모든 금융거래가 더욱 좋아지고 있다. 필자는 은행에 온라인 거래를 할 때 처음에는 직접 시내 은행지점으로 가서 계좌이체를 시켰다. 그러나 시간도 많이 걸리고 불편하여 요즘은 스마프폰에 은행앱을 깔아 OPS를 활용하여 계좌 송금하니 엄청 편리해 졌다. 이를 활용하면 버스와 자가용 지하철에서도 송금이 가능하여 편리함을 놓치고 싶지 않을 정도다. 이는 핀테크 산업의 혜택을 볼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필자는 하나더 핀테크 산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데 가상화폐의 거래를 하고 있다. 이 또한 p2p방식에 따른 가상화폐의 구매를 할 수 있어 보안과 거래의 편리성을 추구하고 있어 매우 유익하고 큰 수익을 얻고 있다. 최근 카카오툭의 간편 결제 시스템과 각 은행에서의 결제 시스템의 간소화는 많은 고객들에게 결제 간편하게 하고 있다.
소셜커머스 티몬은 ‘티몬페이’를 내놓아 고객들이 쉽게 상품결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처음 1회 카드정보와 6개 개인인증번호와 비번을 입력하면 결제가 쉽게 끝난다. 그러한 편리함으로 인하여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국민들의 좋은 반응으로 인하여 금융위원회에서 핀테크 산업을 정부적인 차원에서 금융산업으로 육성 발전하겠다고 공언을 하고 있다. 실지로 미국, 영국, 중국을 포함한 선진국에서는 규제가 거의 없어 핀테크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 발전시키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규제의 지나침으로 인하여 핀테크 산업의 발전이 무척 디딘 실정이다.
정부는 핀테크 산업을 크게 육성시키고 활성화를 위하여 윗자리에 규제 완화하고, 오프라인 에서의 금융제도의 철저한 개편, 핀테크 산업의 적극적인 지원, 사전규제를 할 때 사후점검 과 책임 강화로 금융보안에 따른 확실한 전환을 주된 정책으로 제시하였다. 이처럼 정부의 금융정책에 대한 지원방안의 핵심 내용으로 내놓은 것은 역으로 해석하면 규제 완화가 다른 나라보다 어렵다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금융 규제 수위가 높고, 진입장벽이 해외 다른 나라보다 높아 핀테크 산업이 정착하기 힘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비트코인 가상화폐 시대의 도래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참고문헌 -강미선, , [머니투데이], 2014년 10월 23일.
-김일용, 2016, 안랩,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미래를 지배할까
-김수현, 2015, 조선비즈, 미국 최초 합법적 비트코인 거래소 서비스 시작
-양이랑, 2016. 조선비즈, 日 정부, 가상통화 '비트코인' 공식 결제수단으로 인정
-안정락, , [한국경제], 2014년 12월 10일.
-한정석, 2014, 미래한국,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한민옥, , [디지털타임스], 2014년 11월 10일, 22면.
-특별취재팀, , [동아일보], 2014년 11월 12일, B4면.
-정유신 교수 보고서, 2015, 「핀테크의 현황과 과제」
-한민옥, , [디지털타임스], 2014년 11월 10일, 22면.

EDAILY IT/과학

[이데일리 이유미 기자] 블록체인이 최근 새로운 금융보안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블록체인에 대한 오해로 인해 산업전반에서 사용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시각도 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비트코인을 블록체인으로 잘못 인식한 데서 비롯된다.

◇최근 연구기술은 ‘암호블록체인’

블록체인은 분산원장(Distributed Leader) 기술로 거래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금융기관 등 특정 기관의 중앙서버가 아닌 P2P(Peer to Peer·개인간) 네트워크에 분산해 참가자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A 고객이 은행에 돈 1만원을 맡기면 은행 중앙서버에는 A가 1만원을 저축했다는 거래장부 기록이 남는다. 해커가 중앙서버를 해킹하거나 데이터를 조작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은행은 보안 강화를 위해 많은 투자를 한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P2P 네트워크를 통해 똑같은 거래 장부를 여러 사용자들이 나눠서 보관을 하고 거래 때 마다 이를 대조한다. 이 때문에 조작이나 위조의 가능성이 낮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블록체인의 3가지 기본기능

위와 같은 블록체인의 분산DB(데이터베이스) 기능에 암호화폐 기능이 합쳐진 것이 최근 많이 이슈가 되고 있는 ‘비트코인’이다. 분산DB 기능에 스마트계약 기능이 합쳐진 것이 하이퍼레저(Hyperledger)다.

블록체인은 정보공유와 투명성, 보안성은 뛰어나지만 인증이나 부인방지기능 등은 포함되지 않고 있다. 때문에 금융권에서 적용 시도 중인 블록체인 기술은 암호기술과 융합한 ‘암호블록체인(CryptoBlockchain)’인 것이다.

◇블록체인, 비트코인보다 우수한 성능·정보보호 가능

이처럼 비트코인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기술이지만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비트코인이 보다 많이 알려진 관계로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을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비트코인의 한계점인 성능, 투명성, 인프라문제 등을 블록체인의 문제점으로 인식한다.

우선 비트코인의 성능은 최대 속도가 느리다는 오해가 있지만 또다른 디지털 화폐로 떠오르는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의 처리성능의 약 26배 좋다. 비트코인의 성능과 블록체인 성능은 다른 문제다.

또 비트코인은 거래정보가 암호화되지 않고 그대로 기록되고 여러 컴퓨터가 거래장부를 복제해 보관화기 때문에 위조나 변조의 위험이 없고 투명성이 높다. 반면 비트코인을 제외한 블록체인, 즉 암호블록체인은 정보보호의 중요한 서비스인 비밀성, 인증, 부인봉쇄 기능은 물론 개인정보보호서비스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보호가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최근 비트코인의 80%가 중국에서 채굴되고 있는 점을 보고 블록체인의 핵심인 ‘분산’ 기능을 의심하는 주장도 있지만, 이는 ‘비트코인’에만 해당하는 경우다.

박성준 동국대 국제정보보호대학원 블록체인연구센터장은 “비트코인을 블록체인으로 보는 시각이 있지만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의 초기 기술일 뿐 블록체인을 대표하는 기술은 아니다”라면서 “최근 연구되는 블록체인은 ‘암호블록체인’으로 블록체인 기술도 계속 발전하고 있어 단점을 보완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컴퓨터월드]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등 디지털 암호화폐의 가치가 세계적으로 급등하면서 이를 이루는 기반기술인 블록체인 역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단순히 가상화폐만을 위한 기술만은 아니다. 특히 이해관계자가 많고 신뢰성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 그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 받고 있다. 각국 정부 및 기업들은 블록체인을 활용하기 위해 분주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블록체인의 시발점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술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비트코인은 급격한 가격상승과 더불어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비트코인에 이어 나온 ‘이더리움’ 등도 마찬가지다. 6월 28일 기준으로 1비트코인의 가격은 한화 280만 원선에서 거래됐다.

이러한 급격한 가격상승으로 비트코인 ‘채굴’에 나서는 사람들 또한 늘었다. 비트코인은 통화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중앙 장치가 존재하지 않고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암호 값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발행된다.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과정이 금광 채굴과 닮아 ‘채굴’이라 불린다. 비트코인의 총 발행량은 2,100만 개로 정해져 있다. 비트코인은 현재 10분마다 25개씩 발행되고 있지만 21만 개가 발행될 때마다 그 비율이 반으로 떨어지는 ‘반감기’를 갖게 되고 점차 0개에 수렴하게 돼 있다.

비트코인의 ‘채굴’에는 월등한 컴퓨팅 파워, 특히 동시에 여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분산컴퓨팅시스템이 유리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기 위한 GPU가 시중에서 품귀현상을 보이기도 하고, 비트코인이 급락하면서 중고 그래픽카드가 시장에 쏟아져 나오는 등 컴퓨팅 시장에도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 비트코인 시세추이(출처:blockchain.info)

가상화폐 진출 기업 증가세…관련 규제 마련 목소리 높아

블록체인 기술이 주목받으며 블록체인 및 가상화폐 사업에 나서는 사업자들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블록체인OS, 글로스퍼, 퓨전데이타 등이 가상화폐 발행 및 관련 사업에 진출했거나 진출 계획을 밝혔다. 지난해 더루프는 서강대학교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서강대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강코인’의 개념증명을 완료하기도 했다.

‘비트코인’의 경우, 거래소를 주축으로 자잘한 문제점들이 계속 나타나고 있어 신종 화폐들은 이를 보안할 방법 마련에 매진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에 대해 상품의 일종으로 ‘묵인’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법적 지위는 아무 것도 없는 실정이다.

사실상 일종의 상품권과 다를 바 없는 지위를 가지고 있다보니 각종 거래소 또한 큰 규제 없이 운영되고 있다. 2014년 최대 비트코인 거래소였던 마운틴곡스는 해킹으로 인해 약 6억 달러에 달하는 손실을 입고 파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이들 가상화폐의 ‘법적 정의’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보스코인’, 5년 내 전세계 5위 암호화폐로 성장할 것”

지난 5월 2일 블록체인OS는 ‘보스코인 버전 데모데이’를 개최하고, 트러스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어떻게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블록체인OS가 개발한 국내 최초의 글로벌 암호화폐 ‘보스코인(BOScoin)’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기존 암호화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추론엔진이 탑재된 ‘트러스트 컨트랙트(Trust Contracts) 솔루션’을 적용했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계약 내용이 복잡한 프로그램 코드로 돼 있어 일반인들은 전혀 내용을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보스코인의 트러스트 컨트랙트는 OWL과 SDL이라는 기술을 사용해 일반 사용자도 계약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추론엔진(Inference engine)이 프로그램 상의 문제를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게 해준다. 더불어 거래 처리속도를 신용카드 결제 수준으로 끌어올려 초당 1천 건의 거래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회 네트워크(Congress Network)라고 하는 거버넌스 시스템(Governance System)이 내재돼, 합의가 어려운 기존 암호화폐 플랫폼의 한계를 극복했고, 이를 통해 직접민주제 구현도 가능하다.

한편 블록체인OS는 ICO(Initial Coin Offering)계획 또한 공개했다. ICO는 5월 10일부터 6월 20일까지 진행됐다.

김인환 블록체인OS 대표는 “보스코인(BOScoin)출시로 우리나라가 전세계 암호화폐 시장에서 당당히 경쟁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중앙집권적이 아닌, 합의에 의한 의사결정시스템과 지속적으로 자기진화하는 글로벌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 궁극적 목표”라고 밝혔다.

한편 보스코인은 올해 4월 스위스에 설립된 보스 플랫폼 파운데이션(BOS Platform Foundation)에서 발행하고 관리한다.

글로스퍼, ‘인피니티 프로젝트’로 ICO 사업 본격 시동
“3년 내 전 세계 사용자 2억 명 확보할 것”

글로스퍼(대표 김태원, 권재호)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가상화폐공개(ICO, Initial Coin Offering)를 앞두고 지난달 사업 설명회를 열었다.

‘인피니티 프로젝트’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행사에서 글로스퍼는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잇는 제3세대 가상화폐를 만들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지난달 공개했던 다중 블록체인 오픈소스 플랫폼인 ‘팩커스(Packuth)’를 기반으로 제도권 통화를 지향한다는 전략이다.

글로스퍼는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이를 위해 ▲지속적인 기술 진보 ▲실물경제 기반의 실증 ▲전략적 제도 개선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주요 과제로 꼽았다. 또한,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구축했으며,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를 확보했다. 궁극적으로는 미래 글로벌 기축통화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상화폐를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 겸 기술최고경영자(CTO)는 “기존의 가상화폐는 기술 중심으로 발행돼 시장이 따라가는 양상이어서 참여자가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며,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인피니티 프로젝트를 통해 더욱 시장 친화적이고 모두가 보유하고 싶은 가상화폐를 만들어 난립하는 가상화폐 경쟁 속에서 안정성, 익명성 그리고 변동성에 대한 리스크를 원천 봉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스퍼는 내년 5월 거래소 상장을 목표로 ICO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3년 내 전 세계 사용자 2억 명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퓨전데이타, 가상화폐용 HCI 공급…40.4억 원 규모
“신사업 추진 한달 만에 청신호…연내 가상화폐 브랜드 론칭 준비 중”

퓨전데이타(대표 이종명)는 가상화폐용 솔루션 ‘제이겟스위트(J-Get Suite)’의 공급계약을 국내 IT기업과 체결했다고 지난달 24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40.4억 원 규모다.

지난 6월 퓨전데이타는 사업성 검토를 거쳐 신규 사업모델로 가상화폐를 선정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 그래픽카드와 메인보드 등 필수 IT인프라가 포함된 가상화폐 솔루션 ‘제이겟스위트’를 공개한 바 있다.

‘제이겟스위트’는 비트코인과 알트코인(Alternative Coin) 채굴에 필요한 IT인프라를 비롯해 효율적인 채굴과 사업 관리를 통합 제공하는 패키지 솔루션으로, 퓨전데이타의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HCI) 어플라이언스인 ‘제이디원(JD-ONE)’과 가상환경 통합관리 솔루션인 ‘제이데스크톱 엔터프라이즈(JDesktop Enterprise)’가 포함돼 있다.

이종명 퓨전데이타 대표는 “가상 환경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뿐만 아니라, 오픈소스를 통한 채산성 증대는 우리에게 특화된 분야다. 오랜 기간 가상화 기술 기반으로 이룬 성장이 가상화폐 트렌드와 잘 맞아떨어진 결과물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신규사업인 가상화폐에 대한 주도면밀한 준비로 연내 성공적인 브랜드 론칭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더루프, ‘서강코인’ 개념증명 완료

더루프(대표 이경준)는 지난해 서강대학교 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화폐 플랫폼인 ‘서강코인’의 개념증명(PoC)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서강코인은 서강대학교 학생 및 교직원들이 스마트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돈을 충전,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화폐 플랫폼으로, 기존화폐와 1대1 비율로 교환이 가능하다. 더루프는 서강대학교 내 일부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시범 상점을 대상으로 개념증명 작업을 진행해 서강코인의 효용성을 확인했다.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관계자는 “더루프와의 협력을 통해 교내 사용자들이 안전하고 편리한 서강코인을 국내 대학 최초로 사용해볼 수 있는 스마트한 결제 환경을 구현하게 됐다”고 말했다.

더루프 이경준 대표는 “공인인증서를 등록하는 등 절차가 복잡하고 보안에 취약한 기존의 송금 및 결제 서비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화폐에 블록체인을 접목시켰다”며, “더루프의 디지털화폐를 사용자의 다양한 수요에 맞춘 서비스로 발전시켜, 교내뿐만 아니라 지자체 및 기업 등으로 사용처와 사용자의 범위를 넓혀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거래장부, ‘블록체인’

세계경제포럼(WEF)은 전 세계 은행의 80%가 올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많은 글로벌 IT 기업 역시 제 4차 산업혁명의 혁신기술로 블록체인을 지목하고 있다. 비트코인의 창시자 나카모토는 2008년 ‘블록체인’의 개념을 제시했다.

일정 시간마다 만들어지는 검증된 거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나누고 이 블록들을 ‘사슬(체인)’처럼 연결해 완전한 하나의 데이터를 구성해, 거래 데이터가 훼손, 조작 될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거래 정보를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개인 간(P2P) 네트워크에 분산해 특별한 장부 책임자가 아닌 사용자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거래 장부를 만든다는 얘기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일정 시간 단위로 한 번씩 네트워크에 접속해 그 동안 새로 생긴 거래 내역을 서로 비교해가며 데이터의 훼손, 변조, 변질 등을 검증한다. 중앙 거래식 장부를 쓰지 않고 사용자 모두가 함께 장부를 관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블록체인은 사실상 해킹을 통한 정보의 왜곡이 불가능하다. 각각의 블록이 일정 단위의 시간마다 수시로 업데이트되며 동일한 정보를 유지하는데, 이를 임의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거래 장부를 보유한 사용자 과반수를 동시에 공격해 내용을 바꿔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사실상 ‘모든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다만 이해당사자가 많고 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특히 그 효용성이 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물류 등 적용 기대 높아

블록체인의 활용이 기대되는 대표적인 분야가 물류 분야다. 물류의 경우 선박, 은행, 수입상, 통관, 보험 등 수많은 이해관계자가 얽히게 된다. 현재는 은행과 은행이 물건과 돈, 서류에 대해 보증해야 한다. 수많은 이해관계자와 수많은 문서가 얽혀있고 사고율 또한 적지 않다.

블록체인이 적용된다면 서류의 양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원본인증 등이 훨씬 수월하게 가능해진다.

최근 삼성SDS는 블록체인의 물류 적용을 위해 ‘해운물류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발족했다. 관세청, 해양수산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산항만공사, 현대상선, 고려해운, SM상선, 장금상선, 남성해운, 케이씨넷, 케이엘넷, KTNET, 싸이버로지텍, 한국IBM, 삼성SDS 등이 컨소시엄에 참여한다.

컨소시엄 참여사들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시범 사업을 통해 물류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6월에 착수해 올해 말까지 실제 수출입 물동을 대상으로 블록체인을 해운 물류 프로세스 전반에 적용할 예정이다.

SK주식회사 C&C 역시 물류사업에 블록체인을 접목하겠다고 나섰다. SK(주) C&C는 육상에서 SK텔레콤의 사물인터넷(IoT) 전용망인 로라(LoRa)망을 활용해 컨테이너 화물 위치 추적 및 관리 체제를 구현했으며, 해상에서는 해상 운송 중 상태 정보를 수집했다가 항구 도착 시 정보를 일괄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컨테이너 화물의 위치 정보는 물론 컨테이너의 온도·습도의 관리 정보가 인위적 개입 가능성을 차단하면서 자동으로 수집되고, 물류 관계자 모두에게 실시간으로 공유돼 화물 운송 수단이 ‘육상에서 해상’, ‘해상에서 육상’으로 바뀌더라도 화물 내용과 상태를 확인하고 새롭게 등록할 필요 없이 데이터의 내용이 그대로 유지된다.


미국, 영국 등 다양한 활용 서비스 개발 나서

블록체인이 물류에 적용되면 제품 생산에서부터 최종 소비자까지의 생산, 가공, 보관, 운송 이력이 투명하게 관리돼, 운송 과정에서의 원산지 조작, 제조 및 유통기간 변경, 허위광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물류 관계자들 입장에서는 종이문서 없이 실시간으로 관련 정보를 공유 받을 수 있어 비용절감은 물론 업무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해외 국가들 역시 블록체인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분투중이다. 미국은 블록체인 기반 의료정보 기록 및 공유 서비스를 개발 중이며, 영국의 경우 모든 공공서비스에 블록체인 및 스마트계약 적용을 추진 중이다.

해외 소재 글로벌 기업들은 다양한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위·변조 방지, 지적 재산 및 특허 등의 주요 데이터 보호 등에 목적을 둔 다양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MS, 인텔 등의 글로벌 IT 기업과 더불어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은 ISO 20022(실시간 지급 결제 국제 표준안) 기반의 블록체인 기술 표준 정립을 주도하고 있다.

KT, 블록체인 활용 전자서명 이미지 BC카드에 적용

KT(회장 황창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세계 최초로 전자서명 이미지(Electronic data & Signature Capture, 이하 ESC)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BC카드에 적용했다.

지금까지 금융사는 전자서명 이미지(ESC) 보관 및 처리에 고민이 많았다. 고객들이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이뤄지는 전자서명 이미지(ESC)는 하루에도 수백만 건씩 생성된다. 전자상거래법상 해당 이미지는 금융사가 5년간 의무적으로 보관해야 한다. 이 때문에 금융사는 전달받은 전자서명 이미지(ESC) 파일을 중앙 서버에 모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정보를 등록, 관리해왔다. 중앙 서버 및 백업 서버를 지속해서 확장해야 했으며 서버 구축, 관리 비용 부담은 물론이고 파일 처리 시간도 오래 걸릴 수밖에 없었다.

이에 KT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전자서명 이미지(ESC)를 분산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한, KT 블록체인만의 핵심 기술인 ‘자동화 기술’을 활용해 전자서명 이미지(ESC)를 KT 블록체인 및 데이터베이스에도 실시간으로 등록할 수 있어 서버 구축비용 및 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

지난 3월 BC카드에 KT 블록체인 기술을 시범 적용해본 결과, 전자서명 이미지 파일을 처리하는 시간은 최대 70%까지, 서버 사용 용량은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었다.

조수재 BC카드 솔루션개발팀장은 “KT 블록체인 기반 전사서명 이미지(ESC) 관리시스템을 통해 자동분산 백업을 통한 원본 손실 및 데이터 위·변조 방지를 할 수 있었고, 비용 절감 효과까지 얻을 수 있었다”,며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향후 가맹점 계약서 등 비정형 자료를 대상으로 적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라고 전했다.

이젠파트너스(대표 정재욱)는 지난 4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발주한 ‘블록체인 기반 소형 건물군 대상 에너지 서비스 플랫폼(이하 에너지 블록체인) 개발’ 수행 업체로 선정됐다.

올해 11월 개발이 완료되면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정보 거래가 가능해져 누구나 에너지를 생산, 판매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에너지 블록체인은 탄소 배출 절감 목표를 의무화한 신기후체제 출범과 정부의 에너지 신산업 육성 정책 분야에서 전력 에너지 수요자, 특히 소형 사무실, 상점, 업장에서 에너지 효율화 사업에 참여하는 데 동기 부여를 높이고 안전한 자산의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서비스 플랫폼이다.

에너지 블록체인은 업장이나 매장에서 온도, 습도, 조도, 재실자율 등 실내 사용 조건과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수집, 절감 효과 예측과 실제 절감량을 측정해 절감 기여율에 따라 책정된 크레딧(가상 화폐)을 블록체인에 장부화한 후 거래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 플랫폼 기술은 기존 지자체에서 운영하던 탄소 마일리지 사업을 고도화 할 수 있으며 탄소 크레딧 거래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한 달이나 연간으로 산정되는 에너지 비용 절감량이나 수익의 정산을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공유해 에너지 사용자가 사업 참여의 결과를 바로 확인 할 수 있어 에너지 피드백 효과를 즉각적으로 볼 수 있다.

이젠파트너스는 정부의 E-프로슈머(Energy Prosumer) 과제에 맞춰 제로에너지 빌딩 확산을 위해 수요 제어용 빌딩 내 에너지 정보를 관리하고, 수요자원 거래 시장의 국민 참여를 위해 블록체인의 기술시범을 통해 참여자들의 동기부여를 독려하고 에너지 정보의 거래 안전성과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계획이다.

현재 호주에서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전력거래를 시험 중이며, 영국과 독일에서도 전기나 가스의 계량을 통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오는 2030년까지 최대 사용전력의 5%를 수요자원으로 대체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에너지 블록체인은 성장하는 전력 수요 시장에 에너지 신 서비스 비즈 모델을 개발하는 기반 기술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정재욱 이젠파트너스 대표는 “에너지 사용자의 사용 행위가 핀테크와 융합해 그동안 소극적인 에너지 효율화 사업이나 전력 수요 관리 사업에서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 장부의 데이터를 활용해 에너지 프로슈머 정책 등 새로운 에너지 서비스 사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LG CNS, 금융 특화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하반기부터 사업 본격화

최근 세계 최대 금융 블록체인 컨소시엄인 R3와 사업 협약을 체결한 LG CNS는 R3 고유의 분산원장 기술인 ‘코다(Corda)’와 LG CNS의 블록체인 프레임워크 및 금융 비즈니스 솔루션을 결합한 ‘LG CNS 블록체인 플랫폼’을 출시했다.

‘LG CNS 블록체인 플랫폼’은 금융에 특화된 R3 ‘코다(Corda)’를 채택해 거래 당사자들만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모든 참여자의 합의가 필요한 기존 블록체인 기술에 비해 높은 정보 기밀성 확보와 함께 거래 합의에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LG CNS 블록체인 플랫폼은 국내 금융환경에 최적화된 운영 환경을 제공해 블록체인 개발 생산성을 제고한다. 또한 R3 코다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기존 금융망과 타 블록체인 기반 기술과 유연한 연계가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LG CNS는 하반기부터 금융기관 대상으로 ▲ 블록체인 컨설팅 ▲ 금융 특화 코다 기반의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 개인 및 문서 인증·거래중개 사업자 없는 모바일 결제·포인트 관리와 같은 클라우드 기반의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 고객은 선제적으로 블록체인을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한편, 상황에 적합한 블록체인 단계별 접근이 가능해 블록체인 도입에 대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정적인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김홍근 금융사업담당 상무는 “LG CNS는 국내 금융기관의 혁신을 이끌 4대 핵심 서비스를 중심으로 디지털 금융 사업을 선 제안해 성공사례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금융기관의 효과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R3 코다 동작 방식(출처: R3 CEV)

IBM, 클라우드 기반 기업용 블록체인 서비스 출시

IBM은 지난 3월 리눅스 재단(Linux Foundation)의 ‘하이퍼렛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 버전 1.0’에 기반한 첫 번째 기업용 블록체인 서비스인 ‘IBM 블록체인(IBM Blockchain)’을 출시했다.

리눅스 재단의 오픈소스 하이퍼렛저 패브릭 버전1.0은 하이퍼렛저 컨소시엄 회원사들에 의해 개발됐다. 컨소시엄 내 기술운영위원회(Technical Steering Committee)는 최근 ‘하이퍼렛저 패브릭’을 인큐베이터(incubator) 단계에서 활성(active) 단계로 높였으며, 향후 수 주 내 사용 가능하게 만들 예정이다. ‘하이퍼렛저 패브릭’은 기업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초당 1,000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

‘IBM 블록체인’은 개발자들이 IBM 클라우드 상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배치·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은행 등 피규제산업을 위한 HSBN(High Security Business Network) 서비스를 시장에 출시했다. 스타트업 에버레저(Everledger)부터 금융 서비스 부문의 리더인 도쿄-미쓰미시 UFJ 은행(Bank of Tokyo-Mitsubishi UFJ),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노던 트러스트(Northern Trust)까지 다양한 고객사들은 현재 IBM 클라우드 상에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고 있다.

마리 위크(Marie Wieck) IBM블록체인 총괄은 “IBM은 은행, 항공사, 정부, 유통업체 등을 대상으로 세계 최대 트랜잭션 시스템을 수십 년간 운영해왔다”며, “IBM 블록체인은 높은 신뢰도와 투명성을 갖춘 비즈니스용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찾는 조직들을 위해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 IBM 패브릭 구조(출처: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연합체 다수 출현…기술 확보 위한 분투 시작돼

이외에도 블록체인의 높은 보안성과 투명성에 주목한 많은 기업들 또한 블록체인 도입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금융 업계의 움직임이 발 빠르다. 2016년 11월 금융위원회 주도로 국내 금융권의 역량 결집 및 효율적인 공동 연구 진행에 중점을 둔 ‘블록체인 협의회’가 출범되기도 했다.

블록체인 협의회는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핀테크산업협회가 참여하고 있으며 금융연구원, 핀테크지원센터, 금융보안원, 신용정보원, 전문가 등이 속한 자문그룹을 두고 있다. 협의회는 업권별 컨소시엄 간 정보의 원활한 공유를 돕고 제도 개선사항 등을 검토하는 역할을 한다.

국제적으로는 리눅스 재단이 블록체인 기술 발전을 위해 설립한 업계 간 협업체 ‘하이퍼레저(Hyperledger)’가 있다. 하이퍼레저는 금융, 은행, IoT, 공급망, 제조, 기술 분야의 리더들이 함께하는 글로벌 협업체로, 최근 콜렉터IQ(CollectorIQ Inc.), 한국거래소(Korea Exchange), 원체인 테크놀로지(Shanghai Onechain Information Technology), 폼스 신트론(Shenzhen Forms Syntron Information), 일리노이 주(The State of Illinois), 네덜란드 응용과학연구기구(The Netherlands Organization for applied scientific research, TNO), 원월드블록체인(1worldblockchain) 등이 회원사로 가입한 바 있다. 하이퍼레저에는 현재 한국거래소를 포함한 135개 회원사가 참여하고 있다.

브라이언 벨렌도르프(Brian Behlendorf) 하이퍼레저 이사는 “세계적 수준의 글로벌 기관들이 거의 매주 하이퍼레저에 가입하고 있다”며, “하이퍼레저의 개방형 협업은 성장하는 업계를 더욱 발전시키는 열쇠이며, 올해에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실제 제작할 수 있는 품질 수준의 코드로 발전시키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비금융권을 중심으로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을 주축으로 블록체인 오픈포럼을 모집해 운용 중이다. 포럼은 블록체인 활성화와 정책입안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내년 초 지역센터를 확대 개편해 블록체인 지역특화사업을 준비 중이다. KISA는 블록체인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해외진출을 위한 기술경쟁력 확보 위한 테스트베드로 블록체인센터를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제도장치 마련 시급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과 확산에 있어서 직면한 문제점은 이를 사용·활용하기 위한 ‘법적 정의’ 자체가 전무하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을 무엇으로 정의할 것인지, 이를 위한 진흥법 등 상위법안이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특히 주목받고 있는 ‘비트코인’의 경우, 거래소를 주축으로 자잘한 문제점들이 계속 나타나고 있어 이를 보안할 방법이 절실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비트코인을 상품의 일종으로 ‘묵인’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법적 지위는 아무 것도 없는 실정이다. 현재까지는 상품권과 다를 바 없는 지위를 가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거래소 또한 큰 규제 없이 운영되고 있다. 2014년 최대 비트코인 거래소였던 마운틴곡스는 해킹으로 인해 약 6억 달러에 달하는 손실을 입고 파산에 이르렀다. 국내 비트코인 거래소 역시 상황이 썩 좋지는 않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B거래소로부터 오랫동안 접속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이버 지갑 속 비트코인을 환수당하는 등 불공정 관행이 지속되고 있다는 증언이 쏟아지고 있다.


기술 넘어 패러다임 변화로

시장조사기관 IDC는 블록체인 기술로 금융업계의 비용절감 규모가 2022년 까지 약 2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가트너의 경우 2022년까지 1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매킨지 역시 금융비용 절감효과가 연간 23조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았다.

경제적 이점 뿐 아니라 블록체인의 확산은 제3자의 개입 없는 네트워크 구성원 간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신뢰를 위해서 인증기관이나 중간중개자가 필요했던 기존의 산업구조에 비트 코인의 주요 단점 혁신을 일으킬 가능성 역시 주목받고 있다.

현재 기관 간 신뢰가 필요한 업무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금융기관 간 거래는 청산기관이나 중앙은행을 통해 거래된다. 이 방법을 통하면 거래 보증을 위한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청산기관이 주기적으로 모아 청산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청산이 불가능하다. 만약 기관끼리 블록체인을 구축해 청산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신뢰를 위한 수수료가 감소하고 즉각 청산이 가능해진다.

▲ 블록체인의 분산저장 개념


블록체인을 통해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필요한 내용이 기관들 사이에 공유되고 이해관계에 있는 기관들이 해당 내용을 검증하게 된다. 검증 내용 역시 즉각적으로 공유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뢰보증을 위해 발생하는 많은 비용을 해결할 수 있고 즉각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공격에 강하고 거래 내역 위변조를 즉각적으로 발견하고 모든 기록이 남아 책임 주체도 확인 가능하다.

이 때문에 유통구조가 근본적으로 개선되고 사람들의 네트워크 자체가 신뢰성을 담보하는 장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서버/클라이언트라는 수직적 구조를 벗어나 동등한 P2P 계약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블록체인이 단순한 기술적인 혁신이 아니라 정치·사회적인 혁신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박성준 동국대학교 블록체인연구센터장은 “블록체인은 컴퓨터”라면서 블록체인을 잘못 규정짓는 것에 대해 경계했다. “블록체인은 모든 곳에 사용될 수 있다. 국가, 사회, 조직, 기업의 가치를 상하관계가 아닌 수평관계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이다”라고 강조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